1 김경린, "화요일이면 뜨거워지는 그 사람" 문학사상사, 1994
2 김경린, "현대의 온도" 도시문화사, 1957
3 김경린, "현대시와 언어의 실험" 시와 시론 (가을), 1995
4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5 김규동, "해방 30년의 시와 시 정신" 심상, 1975
6 장사선, "한국현대시연구" 민음사, 1989
7 전기철, "한국 전후 문예비평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김경린, "한국 모더니즘 시운동 대표 동인시선" 앞선 책, 1994
9 김규동, "하나의 세상" 자유문학사, 1987
10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0
1 김경린, "화요일이면 뜨거워지는 그 사람" 문학사상사, 1994
2 김경린, "현대의 온도" 도시문화사, 1957
3 김경린, "현대시와 언어의 실험" 시와 시론 (가을), 1995
4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5 김규동, "해방 30년의 시와 시 정신" 심상, 1975
6 장사선, "한국현대시연구" 민음사, 1989
7 전기철, "한국 전후 문예비평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김경린, "한국 모더니즘 시운동 대표 동인시선" 앞선 책, 1994
9 김규동, "하나의 세상" 자유문학사, 1987
10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0
11 김경린, "태양이 직각으로 떨어지는 서울" 청담문화사, 1985
12 밀란 쿤데라, "커튼" 민음사, 2008
13 김규동, "죽음 속의 영웅" 근역서재, 1977
14 이진영, "전후 현실의 조응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론" 한국문예비평연구 33 (33) : 319 ~ 340, 2010
15 문혜원, "전후 주지주의 시론 연구 -김규동, 문덕수, 송욱의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33) : 91 ~ 115, 2004
16 오문석, "전후 시론에서 현대성 담론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6) : 7 ~ 32, 2005
17 김경린, "알기 쉬운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주변 이야기" 문학사상사, 1994
18 손미영, "속도에 매혹된 모더니스트의 초상 -김경린론" 비평문학 (51) : 67 ~ 98, 2014
19 김경린, "서울은 야생마처럼" 문학사상사, 1987
20 조달곤, "새롭다는 것의 의미-김규동의 『새로운 시론』 비판" 동남어문논집 9, 1999
21 김규동, "새로운 詩論" 산호장, 1957
22 박몽구, "모더니티와 비판 정신의 지평" 한중인문학연구 (19) : 395 ~ 428, 2006
23 김규동, "느릅나무에게" 창비, 2005
24 김규동, "나비와 광장" 산호장, 1955
25 김규동, "깨끗한 희망" 창작과비평사, 1985
26 김은영, "김규동의 시세계 연구" 국어국문학 156 (156) : 173 ~ 206, 2010
27 이동순, "김규동(金奎東) 시세계의 변모과정과 회복의 시정신" 동북아 문화연구 1 (26) : 229 ~ 242, 2011
28 김규동, "김규동 시전집" 창비, 2011
29 맹문재, "김규동 깊이 읽기" 푸른사상, 2011
30 김명옥, "김경린 시인, 그의 삶과 문학세계" 문예운동 93, 2007
31 권경아, "김경린 시에 나타나는 현대성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17 : 183 ~ 207, 2009
32 김경린, "그 내일에도 당신은 서울의 불새" 경운출판사, 1988
33 맹문재,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우리문학연구 (35) : 207 ~ 236, 2012
34 김규동, "‘후반기’ 동인시대의 회고와 반성" 시와시학 (1), 1991
35 이경수, "1950년대의 시인들" 나남, 1994
36 권경아, "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근대성 연구 : <후반기 >동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 2011
37 윤여탁, "1950년대 모더니스트의 자기 모색" 신청어문 25, 1997
38 강정구, "1950년대 김규동의 문학에 나타난 모더니티 고찰" 외국문학연구 (46) : 31 ~ 52, 2012
39 김지연, "1950년대 김규동 시의 시정신" 어문연구 108, 2000
40 박윤우, "1950년대 김규동 시론에 나타난 현실성 인식" 비평문학 (33) : 173 ~ 18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