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정원, 식물, 환경을 이용한 생태 미술 교육 프로젝트 연구 = Art Project for Ecology Awarenes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2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ic) 감각은 촉각으로 해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햅틱(Haptic)을 단순히 촉각뿐만 아니라 공간,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 감각을 의미한다. 이 생태 미술 프로젝트는 햅틱(Haptic) 감각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시감각(visual sense)적 미술에서 더 나아가 직접 사물을 만져보고 공간을 느끼고 탐구하며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작품의 완성과 결과물 보다는 미술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미술을 “경험”하고 “느끼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미술작품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만들어지고,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더라도 그 대안을 모색하거나 다른 방식을 찾아 그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있다. 이 생태 미술 교육은 교사에 의한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고민하여 자신의 힘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의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는 학교 정원이나 자연환경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 안의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며, 평소 무심히 지나쳤던 학교안의 생물들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으로 발전하여 지역 사회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higher concerns about ecological problems and to actively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haptic?multi-sensory perceptual system (Lee, 2010) in visual culture, Freire’s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nd ecology art will b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creating an art project in which children can enthusiastically engage. To the children engaged in the project created with the concept listed above, the process will not only elicit a sense of awareness of ecologic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ut also a chance to develop social commitment, spiritual growth,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provides various ecology art education project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to develop a sense of haptic, critical thinking, caring for the nature, and empathy for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An Art Education Ecology Project
      • Ⅱ. Visual Culture and Haptic
      • Ⅲ. Critical Pedagogy and Aesthetic Experience
      • Ⅳ. Ecology Art
      • Ⅴ. Art Education for Ecology
      • Ⅰ. An Art Education Ecology Project
      • Ⅱ. Visual Culture and Haptic
      • Ⅲ. Critical Pedagogy and Aesthetic Experience
      • Ⅳ. Ecology Art
      • Ⅴ. Art Education for Ecology
      • Ⅵ. Conclusion
      •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