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기공공임대주택 유형별 편익배분에 관한 연구 - 영구임대, 50년 공공임대(재개발임대), 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 The Distribution of Tenant Benefits in Public Housing Program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9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stimate tenant benefits of three public housing programs in Korea: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50-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Public Rnetal Housing. We also examine distributional aspects of the benefits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regions. Tenant benefits are estimated using Hicksian equivalent variation of consumer surplus derived from a Stone-Geary utility function.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efficiency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tenant benefits to implicit subsidy is 0.73∼0.83, the value of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U.S. public housing programs. The distribution of the tenant benefits is found to be inequitable in terms of income except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Moreover, regional equity is not well achieved for all three public housing programs. Tenants who live in Seoul get much more benefits than those who live in the other region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estimate tenant benefits of three public housing programs in Korea: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50-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Public Rnetal Housing. We also examine distributional aspects of the benefits by househo...

      In this paper, we estimate tenant benefits of three public housing programs in Korea: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50-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Public Rnetal Housing. We also examine distributional aspects of the benefits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regions. Tenant benefits are estimated using Hicksian equivalent variation of consumer surplus derived from a Stone-Geary utility function.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efficiency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tenant benefits to implicit subsidy is 0.73∼0.83, the value of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U.S. public housing programs. The distribution of the tenant benefits is found to be inequitable in terms of income except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Moreover, regional equity is not well achieved for all three public housing programs. Tenants who live in Seoul get much more benefits than those who live in the other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기공공임대주택인 영구임대주택, 50년공공임대주택(재개발임대주택), 그리고 국민임대주택 프로그램의 소비 효율성 및 편익배분의 형평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국을 범위로 조사된 ‘2011임차가구주거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해 Stone-Geary효용함수를 가정하여 입주자 편익 및 편익배분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의 효율성은 0.73∼0.83으로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저소득층을 정책대상으로 하여 정부의 지원액이 가장 큰 영구임대주택 프로그램이 다른 임대주택에 비해 소비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주자 편익의 배분 분석결과를 보면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과거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소득에 따라 편익이 증가하는 소득의 역진성이 해소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공공임대주택 프로그램은 여전히 소득의 증가에 따라 편익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프로그램별 입주자의 소득분포별 거주비율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89%의 거주자가 정책대상계층인 소득 1분위 계층이고 부적격자 비율이 과거 2002년 현재 41.4%에서 2011년 현재 12%로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더불어 입주자 자격상실 후 재계약시, 30%씩의 할증 임대료가 부과된 것이 편익배분 개선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다른 프로그램의 경우 정책대상계층이 폭넓은 이유로 입주자가 소득 1분위에서 5분위까지 고루 분포하고 있다.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규모별로 계수를 적용하여 임대료를 차등부과 하고는 있지만 소득의 역진성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50년공공임대주택(재개발임대주택)은 입주자 자격기준에 소득제한이 없으며 임대료산정 방법도 소득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 소득에 따라 편익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지역에 따른 편익의 차이는 서울지역 입주자들의 편익이 다른 지역의 입주자들의 편익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주거취약계층인 65세 이상의 노인가구의 경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고도 젊은 가구보다 편익이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대상계층을 명확히 설정하여 입주자 자격 기준을 세우고 임대료산정과정에 있어서 입주자의 소득 및 지역 그리고 주거취약계층을 고려하는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기공공임대주택인 영구임대주택, 50년공공임대주택(재개발임대주택), 그리고 국민임대주택 프로그램의 소비 효율성 및 편익배분의 형평성을 평가하기 위...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기공공임대주택인 영구임대주택, 50년공공임대주택(재개발임대주택), 그리고 국민임대주택 프로그램의 소비 효율성 및 편익배분의 형평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국을 범위로 조사된 ‘2011임차가구주거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해 Stone-Geary효용함수를 가정하여 입주자 편익 및 편익배분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의 효율성은 0.73∼0.83으로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저소득층을 정책대상으로 하여 정부의 지원액이 가장 큰 영구임대주택 프로그램이 다른 임대주택에 비해 소비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주자 편익의 배분 분석결과를 보면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과거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소득에 따라 편익이 증가하는 소득의 역진성이 해소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공공임대주택 프로그램은 여전히 소득의 증가에 따라 편익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프로그램별 입주자의 소득분포별 거주비율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89%의 거주자가 정책대상계층인 소득 1분위 계층이고 부적격자 비율이 과거 2002년 현재 41.4%에서 2011년 현재 12%로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더불어 입주자 자격상실 후 재계약시, 30%씩의 할증 임대료가 부과된 것이 편익배분 개선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다른 프로그램의 경우 정책대상계층이 폭넓은 이유로 입주자가 소득 1분위에서 5분위까지 고루 분포하고 있다.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규모별로 계수를 적용하여 임대료를 차등부과 하고는 있지만 소득의 역진성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50년공공임대주택(재개발임대주택)은 입주자 자격기준에 소득제한이 없으며 임대료산정 방법도 소득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 소득에 따라 편익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지역에 따른 편익의 차이는 서울지역 입주자들의 편익이 다른 지역의 입주자들의 편익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주거취약계층인 65세 이상의 노인가구의 경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고도 젊은 가구보다 편익이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대상계층을 명확히 설정하여 입주자 자격 기준을 세우고 임대료산정과정에 있어서 입주자의 소득 및 지역 그리고 주거취약계층을 고려하는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우현, "주택백서 :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노력과 발자취" 건설교통부 2002

      2 오동훈, "우리나라 대도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편익에 관한 연구" 9 (9): 237-257, 2000

      3 홍경구, "서울시 재개발 임대주택 입주자의 주택서비스규모와 편익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25-136, 2003

      4 김근용, "국민임대주택의 입주자 편익효과"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10-23, 2004

      5 정의철,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편익 추정 및 임대료 조정의 편익배분 효과" 한국주택학회 14 (14): 5-27, 2006

      6 김혜천, "공공주택 입주가구의 경제적 편익과 분배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7 권대철,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소비효율성 : 건설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의철, "공공임대주택 입주자편익배분에 관한 연구" 13 (13): 353-374, 1999

      9 김진욱, "계층별 동등화 소비단위" 한국재정학회 8 (8): 27-55, 2003

      10 廉燉玟, "賃貸住宅 供給政策의 評價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3

      1 조우현, "주택백서 :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노력과 발자취" 건설교통부 2002

      2 오동훈, "우리나라 대도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편익에 관한 연구" 9 (9): 237-257, 2000

      3 홍경구, "서울시 재개발 임대주택 입주자의 주택서비스규모와 편익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25-136, 2003

      4 김근용, "국민임대주택의 입주자 편익효과"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10-23, 2004

      5 정의철,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편익 추정 및 임대료 조정의 편익배분 효과" 한국주택학회 14 (14): 5-27, 2006

      6 김혜천, "공공주택 입주가구의 경제적 편익과 분배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7 권대철,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소비효율성 : 건설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의철, "공공임대주택 입주자편익배분에 관한 연구" 13 (13): 353-374, 1999

      9 김진욱, "계층별 동등화 소비단위" 한국재정학회 8 (8): 27-55, 2003

      10 廉燉玟, "賃貸住宅 供給政策의 評價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3

      11 Reeder, William J,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Section 8 Existing Housing Program" 20 : 299-332, 1985

      12 Olsen, Edgar O, "The benefits and Costs of Public Housing in New York City" 20 : 299-332, 1983

      13 Murray, Stephen K, "The Distribution of Tenant benefits in Public Housing" 43 (43): 771-788, 1975

      14 DeSalvo, Joseph 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Housing Programs" 11 (11): 1971

      15 "2011 임대주택주거실태조사"

      16 국토해양부, "2008 임대주택업무편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