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밈 마케팅의 주요 결정요인 및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mpirical Study on The Key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f Meme Marke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4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디지털 기기 조작에 익숙한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등장하면서 밈(Meme)을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밈의 광고 및 홍보 효과에도 불구하고, 밈을 마케팅에 적용하는 기업들은 업종이나 규모 등의 측면에서 제한적이고 밈을 마케팅 차원에서 실증 또는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도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기업들이 밈을 활용해 브랜드 홍보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고할 수 있도록 밈 마케팅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실증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밈 마케팅의 주요 결정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밈의 주요 요인들로 기대되는 시의성ㆍ창의성ㆍ상호작용성 등이 마케팅 성과, 즉 제품 이미지 제고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MZ세대 등 젊은 수요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의성ㆍ창의성ㆍ상호작용성 모두 제품 이미지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밈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디지털 기기 조작에 익숙한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등장하면서 밈(Meme)을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밈의 광고 및 홍보 효과에도 불구하고, ...

      최근 디지털 기기 조작에 익숙한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등장하면서 밈(Meme)을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밈의 광고 및 홍보 효과에도 불구하고, 밈을 마케팅에 적용하는 기업들은 업종이나 규모 등의 측면에서 제한적이고 밈을 마케팅 차원에서 실증 또는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도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기업들이 밈을 활용해 브랜드 홍보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고할 수 있도록 밈 마케팅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실증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밈 마케팅의 주요 결정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밈의 주요 요인들로 기대되는 시의성ㆍ창의성ㆍ상호작용성 등이 마케팅 성과, 즉 제품 이미지 제고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MZ세대 등 젊은 수요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의성ㆍ창의성ㆍ상호작용성 모두 제품 이미지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밈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c measures for meme marketing to help many companies effectively enhance their brand promotion effects using mem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determinants of successful meme market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hypothese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cted main factors of memes, such as timeliness,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on marketing performance, specifically product image enhancement and purchase intention.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as collected from young consumer groups, including the MZ generation,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i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imeliness,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image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Research Conclusion: When using memes for marketing, timely execution is vital to stay relevant. Creativity enhances consumer enjoyment, and successful meme marketing requires bidirectional interactivity.
      번역하기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c measures for meme marketing to help many companies effectively enhance their brand promotion effects using mem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determinants ...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c measures for meme marketing to help many companies effectively enhance their brand promotion effects using mem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determinants of successful meme market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hypothese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cted main factors of memes, such as timeliness,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on marketing performance, specifically product image enhancement and purchase intention.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as collected from young consumer groups, including the MZ generation,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i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imeliness,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image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Research Conclusion: When using memes for marketing, timely execution is vital to stay relevant. Creativity enhances consumer enjoyment, and successful meme marketing requires bidirectional interactiv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