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침묵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Nursing Manager’s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ilence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on Workplace Bully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95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 소재 종합병원 2곳, 인천 소재 종합병원 1곳과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5곳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2024년 6월 11일부터 2024년 8월 17일까지 오프라인과 온라인 조사 2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은 Liden et al.(2015)이 개발한 SL-7(7-item servant leadership scale)을 김경아(2021)가 국문화한 도구, 조직침묵은 Dyne et al.(2003)이 개발한 조직침묵 척도를 강제상과 고대유(2014)가 국문화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 직장 내 괴롭힘은 이윤주와 이미형(2014)이 개발한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 유형도구 WPBN-TI(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Type Invento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30.0 program 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입력 방식의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 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7점 만점에 평균 4.61±1.15점이었다. 조직침묵은 5점 만점에 평균 2.71±0.50점으로, 3개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침묵이 평균 3.51±0.64점으로 가장 높았고, 체념적 침묵 2.37±0.72점, 방어적 침묵 2.23±0.74점 순이었다.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직장 내 괴롭힘은 4점 만점에 평균 1.83±0.64점(64점 만점에 29.33±10.24점)이었으며, 3개의 하위요인 중 부적절한 업무부여의 평균이 1.99±0.69점으로 가장 높았고, 언어적 공격 및 소외 1.87±0.75점, 신체적 위협 1.35±0.57점 순이었다. 2.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성에 따른 직장 내 괴롭힘은 소속 의료기관 유형(t=4.342, p<.001), 연봉(F=3.448, p=.033),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t=6.53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가 종합병원 간호사보다, 연봉이 5,000만원 이상인 경우 4,001만원~5,000만원인 경우보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직장 내 괴롭힘에 더 노출되고 있었다. 3.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은 서번트 리더십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99, p<.001), 조직침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34, p<.001). 4.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β=.292, p<.001), 서번트 리더십(β=-.242,p=.015)과 조직침묵(β=.174, p=.006)이 직장 내 괴롭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6.8%였다(F=14.978,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을 향상하고, 간호조직 내 조직침묵을 줄이기 위한 병원과 간호조직 차원의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간호관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의 시행과 직장 내 괴롭힘 개념 및 현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임상간호사, 간호관리자,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 소재 종합병원 2곳, 인천 소재 종합병원 1곳과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5곳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2024년 6월 11일부터 2024년 8월 17일까지 오프라인과 온라인 조사 2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은 Liden et al.(2015)이 개발한 SL-7(7-item servant leadership scale)을 김경아(2021)가 국문화한 도구, 조직침묵은 Dyne et al.(2003)이 개발한 조직침묵 척도를 강제상과 고대유(2014)가 국문화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 직장 내 괴롭힘은 이윤주와 이미형(2014)이 개발한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 유형도구 WPBN-TI(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Type Invento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30.0 program 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입력 방식의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 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7점 만점에 평균 4.61±1.15점이었다. 조직침묵은 5점 만점에 평균 2.71±0.50점으로, 3개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침묵이 평균 3.51±0.64점으로 가장 높았고, 체념적 침묵 2.37±0.72점, 방어적 침묵 2.23±0.74점 순이었다.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직장 내 괴롭힘은 4점 만점에 평균 1.83±0.64점(64점 만점에 29.33±10.24점)이었으며, 3개의 하위요인 중 부적절한 업무부여의 평균이 1.99±0.69점으로 가장 높았고, 언어적 공격 및 소외 1.87±0.75점, 신체적 위협 1.35±0.57점 순이었다. 2.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성에 따른 직장 내 괴롭힘은 소속 의료기관 유형(t=4.342, p<.001), 연봉(F=3.448, p=.033),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t=6.53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가 종합병원 간호사보다, 연봉이 5,000만원 이상인 경우 4,001만원~5,000만원인 경우보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직장 내 괴롭힘에 더 노출되고 있었다. 3.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은 서번트 리더십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99, p<.001), 조직침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34, p<.001). 4.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목격 경험(β=.292, p<.001), 서번트 리더십(β=-.242,p=.015)과 조직침묵(β=.174, p=.006)이 직장 내 괴롭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6.8%였다(F=14.978,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을 향상하고, 간호조직 내 조직침묵을 줄이기 위한 병원과 간호조직 차원의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간호관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의 시행과 직장 내 괴롭힘 개념 및 현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임상간호사, 간호관리자,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iv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국문요약 iv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문헌고찰 7
      • 1.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7
      • 2. 간호조직 내 조직침묵 10
      • 3.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13
      • Ⅲ. 연구방법 16
      • 1. 연구 설계 16
      • 2. 연구 대상 16
      • 3. 연구 도구 18
      • 4. 자료 수집 방법 20
      • 5. 자료 분석 방법 22
      •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23
      • Ⅳ. 연구결과 24
      • 1.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성 24
      • 2.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 28
      • 3.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성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의 차이 30
      • 4.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조직침묵, 직장 내 괴롭힘 간 상관관계 36
      • 5.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 Ⅴ. 논의 40
      • Ⅵ. 결론 및 제언 50
      • 1. 결론 50
      • 2. 제언 50
      • 참고문헌 51
      • 부록 75
      • ABSTRACT 92
      • 감사의 글 94
      • 연구 윤리 서약서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