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의 지향과 의미 = A Study on the Literary Features and Meaning of Sino-Korean Novels Wri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7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nt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and shed light on the literary features and meaning of Sino-Korean Novels wri -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esearch was done focusing individually on Jeonkisoseol, the main current of pre to mid 17th century Sin-Korean Novel history, and th -e new appearance of Jeongyesoseol, during the 17th century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done on Jeonkisose -ol and Jeongyesoseol, the main patterns of literary work at this time, it seems as though something is lacking, in that t -hey don’t properly show the landscape of early 17th century Sino-Korean literature.I propose that early 17th century Sino -Korean novel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and hist -orical aspects of the period, such as variable succession, tra -nsfiguration, and negotiation customs. Hence, I chose to re -evaluate the value of Sino-Korean novels by closely observ -ing the author’s recognition of reality and motive in their works.
      The novels analyzed in this thesis include <Joosengjeon> <Choicheokjeon><Yuyeonjeon><Namgoongsunsaengjeon><Ganlojeon><Ansangseojeon> which were writt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fter the invasion, and known for their distinct authors. These works of literature are considered to form a bridge, highlighting the inner changes of each genre eventua -lly leading to the birth of a new genre later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novels. In this regard, this thesis strives to analyze the results caused by the inner and outer transfigura -tion of Sino-Korean novels, including negotiation customs, and advance this field of study one more step in the directi -on of true understanding.
      번역하기

      The intent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and shed light on the literary features and meaning of Sino-Korean Novels wri -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esearch was done focusing individually on Jeonkisoseol, the main current of pre to ...

      The intent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and shed light on the literary features and meaning of Sino-Korean Novels wri -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esearch was done focusing individually on Jeonkisoseol, the main current of pre to mid 17th century Sin-Korean Novel history, and th -e new appearance of Jeongyesoseol, during the 17th century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done on Jeonkisose -ol and Jeongyesoseol, the main patterns of literary work at this time, it seems as though something is lacking, in that t -hey don’t properly show the landscape of early 17th century Sino-Korean literature.I propose that early 17th century Sino -Korean novel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and hist -orical aspects of the period, such as variable succession, tra -nsfiguration, and negotiation customs. Hence, I chose to re -evaluate the value of Sino-Korean novels by closely observ -ing the author’s recognition of reality and motive in their works.
      The novels analyzed in this thesis include <Joosengjeon> <Choicheokjeon><Yuyeonjeon><Namgoongsunsaengjeon><Ganlojeon><Ansangseojeon> which were writt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fter the invasion, and known for their distinct authors. These works of literature are considered to form a bridge, highlighting the inner changes of each genre eventua -lly leading to the birth of a new genre later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novels. In this regard, this thesis strives to analyze the results caused by the inner and outer transfigura -tion of Sino-Korean novels, including negotiation customs, and advance this field of study one more step in the directi -on of true understan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의 지형을 살펴보고 그 지향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7세기 전반에는 초기 소설사의 주류로 명맥을 이어온 전기소설이 발전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며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기소설 본연의 특성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여 점차적으로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17세기에 새로이 등장한 전계소설이 전기소설과 영향관계를 맺으며 소설사에 부상하게 되었다.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유형별 변모의 양상만을 단면적으로 살피거나 혹은 개별 작품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17세기 한문소설사의 지형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에 나타난 전기소설과 전계소설의 계승ㆍ변모ㆍ교섭 양상이 17세기 사회ㆍ역사적 측면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인식과 창작의도 등을 살핌으로써 이 시기 한문소설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본고의 직접적인 대상은 임란 이후 17세기 전반에 창작된 한문소설로 작자가 명확하게 알려진 <주생전>ㆍ<최척전>ㆍ<유연전>ㆍ<남궁선생전>ㆍ<강로전>ㆍ<안상서전> 등 이다. 이 작품들은 전대의 작품들에서 축적된 소설사적 역량을 토대로 각각 양식 내부의 변모와 새로운 양식의 탄생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후대 소설의 시대를 발현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17세기 전반 한문소설 내ㆍ외부의 변모와 교섭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고자 하는 이 논문은 방대하지만 산재되어 있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종합ㆍ심화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한 걸음 진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의 지형을 살펴보고 그 지향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7세기 전반에는 초기 소설사의 주류로 명맥을 이어온 전기소설이 발전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의 지형을 살펴보고 그 지향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7세기 전반에는 초기 소설사의 주류로 명맥을 이어온 전기소설이 발전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며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기소설 본연의 특성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여 점차적으로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17세기에 새로이 등장한 전계소설이 전기소설과 영향관계를 맺으며 소설사에 부상하게 되었다.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유형별 변모의 양상만을 단면적으로 살피거나 혹은 개별 작품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17세기 한문소설사의 지형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에 나타난 전기소설과 전계소설의 계승ㆍ변모ㆍ교섭 양상이 17세기 사회ㆍ역사적 측면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인식과 창작의도 등을 살핌으로써 이 시기 한문소설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본고의 직접적인 대상은 임란 이후 17세기 전반에 창작된 한문소설로 작자가 명확하게 알려진 <주생전>ㆍ<최척전>ㆍ<유연전>ㆍ<남궁선생전>ㆍ<강로전>ㆍ<안상서전> 등 이다. 이 작품들은 전대의 작품들에서 축적된 소설사적 역량을 토대로 각각 양식 내부의 변모와 새로운 양식의 탄생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후대 소설의 시대를 발현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17세기 전반 한문소설 내ㆍ외부의 변모와 교섭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고자 하는 이 논문은 방대하지만 산재되어 있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종합ㆍ심화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한 걸음 진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문소설과 국문소설의 관련양상" 한국한문학회 22 : 1998

      2 박희병, "한국한문학에 있어 전과 소설의 관계양상" 한국한문학회 12 : 1989

      3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5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과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서울대 국문학과 17 : 1992

      6 장효현, "한국고전소설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7 김문희, "최척전의 가족지향성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6 : 2000

      8 정환국,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소명출판 2005

      9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서울대 1991

      10 권도경, "조선후기 전기소설사의 전변과 새로운 시각" 보고사 2004

      1 박희병, "한문소설과 국문소설의 관련양상" 한국한문학회 22 : 1998

      2 박희병, "한국한문학에 있어 전과 소설의 관계양상" 한국한문학회 12 : 1989

      3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5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과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서울대 국문학과 17 : 1992

      6 장효현, "한국고전소설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7 김문희, "최척전의 가족지향성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6 : 2000

      8 정환국,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소명출판 2005

      9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서울대 1991

      10 권도경, "조선후기 전기소설사의 전변과 새로운 시각" 보고사 2004

      11 권혁래,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성격" 박이정 2000

      12 송하준,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변모양상과 주제의식" 고려대 2004

      13 신해진, "조선조 전계소설" 월인 2003

      14 신해진, "조선전기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형상의 특징과 그 의미 -전기소설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3) : 305-342, 2004

      15 김대현,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6

      16 윤재민, "조선 후기 전기소설의 향방" 민족문학사학회 15 : 1999

      17 강상순, "전기소설의 해체와 17세기 소설사적 전환의 성격" 안암어문학회 36 : 1997

      18 김종철, "전기소설의 전개양상과 그 특성"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8 : 1995

      19 윤재민, "전기소설의 인물성격"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8 : 1995

      20 이정원, "전기소설에서 ‘전기성’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 363-392, 2003

      21 장효현, "전기소설 연구의 성과와 과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8 : 1995

      22 박일용, "전기계 소설의 양식적 특징과 그 소설사적 변모 양상"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8 : 1995

      23 조태영, "전계소설의 역사적 변모과정, in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1993

      24 박일용,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 <최척전>의 특징과 소설사적 위상" 한국고전문학회 5 : 1990

      25 박희병, "이인설화와 신선전 1" 일지사 14 : 1988

      26 이헌홍, "실사의 소설화-<유연전>을 중심으로, in 한국 고소설의 조명" 아세아문화사 1990

      27 정출헌,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16세기 소설사" 소명출판 2007

      28 신해진, "권칙과 한문소설" 보고사 2008

      29 李政沅, "傳奇系 小說에 등장하는 女主人公의 형상과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153-170, 2002

      30 신해진, "〈紅桃이야기〉의 受容 敷衍樣相과 그 意味 ―題名과 評決을 중심으로, in 한국 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1996

      31 신해진, "<柳淵傳>의 惡人 형상과 그 행방" 어문연구학회 54 : 243-274, 2007

      32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2000

      33 신해진, "<최척전>에서의 '장육불'의 기능과 의미" 민족어문학회 35 : 1996

      34 민영대, "<최척전>과 그 전후대에 나타난 소설과의 영향관계(1)" 한국언어문학회 42 : 1999

      35 박희병, "<최척전>-16ㆍ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가족이산, in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36 박희병, "<최척전> : 일사문고본, in 소용돌이 속에서" 돌베개 2007

      37 이상구, "<주생전> : 김구경본, in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38 신해진, "<유연전> : 《백사집》 수록본, in 조선조 전계소설" 월인 2003

      39 신해진, "<안상서전> : 《죽창한화》병기본, in 권칙과 한문소설" 보고사 2008

      40 신해진, "<남궁선생전> : 『성소부부고』 수록본, in 조선조 전계소설" 월인 2003

      41 신해진, "<강로전> : 《동사잡록》본, in 권칙과 한문소설" 보고사 2008

      42 신해진, "17세기초 전기소설의 양식적 변모에 대한 일고, in 한국고전문학논총" 한국문화사 1998

      43 오춘택, "17세기의 소설비평" 안암어문학회 35 : 1996

      44 박희병, "17세기 초의 숭명배호론과 부정적 소설주인공의 등장-<강로전>에 대한 고찰, in 한국 고전소설과 서사문학 상" 집문당 1998

      45 양승민, "17세기 전기소설의 통속화 경향과 그 소설사적 의미" 고려대 2003

      46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47 김문희, "17세기 애정소설의 장르적 역동성" 한국고전연구회 7 : 2001

      48 박일용, "17세기 애정소설의 사실적 경향과 낭만적 경향, in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일지사 1993

      49 정환국, "17세기 애정류 한문소설 연구" 성균관대 1999

      50 송성욱, "17세기 소설사의 한 국면" 한국고전연구학회 8 : 2002

      51 김현양, "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민족문학사학회 25 : 12-37, 2004

      52 정출헌, "16세기 서사문학사의 지평과 그 미학적 층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1-3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