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영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상담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중요한 이슈와 주제, 연구의 흐름과 경향성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영재 상담 연구 동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영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상담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중요한 이슈와 주제, 연구의 흐름과 경향성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목적 본 연구는 영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상담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중요한 이슈와 주제, 연구의 흐름과 경향성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영재 상담 연구 동향 분석은 2002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출판된,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거나 상담 모형, 상담의 효과 등을 확인한 문헌 6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문헌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수집하였고, 텍스톰과 엑셀을 활용하여 세부 정제작업을 수행하였다.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여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또한 CONCOR 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과 군집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영재 상담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어 2009년-2012년 사이에 가장 활발한 연구 활동을 보였으나, 2013년이후 연구 활동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빈도 분석 결과 주요 키워드로는 ‘집단상담’, ‘개발’, ‘초등’, ‘집단상담프로그램’, ‘미성취영재’, ‘과학영재’, ‘상담심리’, ‘진로상담’, ‘상담요구’, ‘진로성숙도’ 등을 확인하였다. 셋째, CONCOR 분석과 연결 중심성 분석을 통해 ‘진로상담 및 개입 전략’, ‘상담 요구분석 및 개념 정립’, ‘미성취 영재 상담 및 심리적 지원’, ‘정서적 지원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상담 연구의 주요 연구 주제 및 동향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영재 상담 연구 방향에 대한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 on counselling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nd to identify important issues, themes, research trends and trends. Methods The trend analysis of gifted cou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 on counselling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nd to identify important issues, themes, research trends and trends.
Methods The trend analysis of gifted counseling research was conducted on 60 literatures published from 2002 to October 2024 that developed and applied counseling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or confirmed counseling models and the effects of counseling. The literature for the study was collected using RISS, and detailed refine ment was performed using Textom and Excel.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an alyze, and visualize key words. CONCO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lusters and connection centrality of keywords.
Results First, gifted counseling research began in the early 2000s and was most active between 2009 and 2012, but research activities have gradually decreased since 2013. Second,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main keywords were ‘group counseling’,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group counseling pro gram’, ‘underachieved gifted’, ‘science gifted’, ‘counseling psychology’, ‘career counseling’, ‘counseling needs’, and ‘career maturity’. Third, through CONCOR analysis and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lusters were formed around ‘career counsel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counseling needs analysis and con cept establishment’,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and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gifted counseling research were deriv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gifted counseling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권리 연구 의미연결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2000년 ~ 2024년까지
민간기관 직업상담사가 지각한 직업상담 성과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영아교사의 자기자비와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림책 관련 문헌연구 동향 분석: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