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N시에 거주하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73523
2016
-
300
학술저널
139-164(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N시에 거주하며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N시에 거주하며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
4-6학년 아동으로 연구대상 선정기준에 따라 총 24명을 선정하여 각각 12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
치하였다. 집단의 특성상 실험집단을 6명씩 2집단으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로 회기 당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검증을 위해 회복탄력성 척도검사(YKRQ-27)의 사전. 사후변
화를 양적 분석하였으며, 집단 활동참여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집단활동
참여에 언어적 표현, 행동, 미술활동 작품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
트폰 중독 아동과 관련된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임이 확인되었고, 스마트폰 중독 상담 및
심리치료현장에서의 실제적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현실치료 기법을 적용한 성적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해산물을 이용한 ADHD 아동·청소년 푸드아트테라피 사례연구
삶의 질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 저소득층 청소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