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위한 인물중심의 데이터 시각화 = Data Visualiz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s for Analyzing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13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록유산은 기록을 담고 있는 정보 또는 그 기록을 전하는 매개물이다. 유네스코(Unesco)는 1995년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훼손되거나 사라질 위험에 있는 기록문화유산의 효과적인 보존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사업을 시작하였다. 현재 유네스코의 세계기록 유산목록에 선정된 한국의 세계기록 유산은 조선왕조실록을 포함한 총 11건으로 세계에서 네 번째, 아태지역에서는 첫 번째로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문을 디지털화하여 콘텐츠의 훼손을 막기 위한 기록유산의 전산화 및 디지털화작업은 1990년대부터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이를 활용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에 예전보다 유리한 상황에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자 텍스트 중심의 지식정보와 그 방대한 양으로 인해 주된 이용자층은 전문연구자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의 정보를 읽지 않더라도 시각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전체집단이 대표하는 주제 및 세부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시각화에 관한 이론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벤 프라이(Ben Fry) 및 마티아스 샤피로(Matthias Shapiro)의 시각화 방법론을 혼용하여 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과 정보를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선왕조실록의 시각화를 통해 방대한 양의 텍스트에서 역사적인 숨은 의미 및 특징적인 패턴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조선왕조실록의 시각화 결과물은 기록 문헌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시각화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실록을 대상으로 한 사회, 문화, 경제, 예술 등의 다방면의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기록유산은 기록을 담고 있는 정보 또는 그 기록을 전하는 매개물이다. 유네스코(Unesco)는 1995년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훼손되거나 사라질 위험에 있는 기록문...

      기록유산은 기록을 담고 있는 정보 또는 그 기록을 전하는 매개물이다. 유네스코(Unesco)는 1995년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훼손되거나 사라질 위험에 있는 기록문화유산의 효과적인 보존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사업을 시작하였다. 현재 유네스코의 세계기록 유산목록에 선정된 한국의 세계기록 유산은 조선왕조실록을 포함한 총 11건으로 세계에서 네 번째, 아태지역에서는 첫 번째로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문을 디지털화하여 콘텐츠의 훼손을 막기 위한 기록유산의 전산화 및 디지털화작업은 1990년대부터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이를 활용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에 예전보다 유리한 상황에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자 텍스트 중심의 지식정보와 그 방대한 양으로 인해 주된 이용자층은 전문연구자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의 정보를 읽지 않더라도 시각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전체집단이 대표하는 주제 및 세부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시각화에 관한 이론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벤 프라이(Ben Fry) 및 마티아스 샤피로(Matthias Shapiro)의 시각화 방법론을 혼용하여 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과 정보를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선왕조실록의 시각화를 통해 방대한 양의 텍스트에서 역사적인 숨은 의미 및 특징적인 패턴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조선왕조실록의 시각화 결과물은 기록 문헌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시각화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실록을 대상으로 한 사회, 문화, 경제, 예술 등의 다방면의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cumentary Heritage is medium to convey the informations and the records. In 1995, UNESCO, started the project "Memory of the World" to preserve effectively the written world heritage sites which are important inheritance of the human culture but have the possibility of damage and disappearance. Korea has the fourth largest written world heritage in UNESCO, total 11 cases, in the world and the first largest in the Asia-Pacific region.
      Korea had digitalized the ancient documents to prevent the content damages from 1990s. Korea is more advantageous to study the contents than the past.
      However, the users are limited to professional researcher because of the written chinese characters on the big data.
      This study researched to make the data visualization to understand the topic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whole group, even though users don't read the letters. First, it analyzed the theory and the cases of the visualization for this study. This study preceeded to organize the data using the visualization methods both of Ben Fry and Matthias Shapiro and visualize it. It makes results as historical hidden meaning and characteristic pattern in the massive amount of text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visualization resul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uld advance a new method for the written heritage study. More meaningful results are expected in may different fields like society, culture, economic, art and so on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of the visualization.
      번역하기

      Documentary Heritage is medium to convey the informations and the records. In 1995, UNESCO, started the project "Memory of the World" to preserve effectively the written world heritage sites which are important inheritance of the human culture but hav...

      Documentary Heritage is medium to convey the informations and the records. In 1995, UNESCO, started the project "Memory of the World" to preserve effectively the written world heritage sites which are important inheritance of the human culture but have the possibility of damage and disappearance. Korea has the fourth largest written world heritage in UNESCO, total 11 cases, in the world and the first largest in the Asia-Pacific region.
      Korea had digitalized the ancient documents to prevent the content damages from 1990s. Korea is more advantageous to study the contents than the past.
      However, the users are limited to professional researcher because of the written chinese characters on the big data.
      This study researched to make the data visualization to understand the topic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whole group, even though users don't read the letters. First, it analyzed the theory and the cases of the visualization for this study. This study preceeded to organize the data using the visualization methods both of Ben Fry and Matthias Shapiro and visualize it. It makes results as historical hidden meaning and characteristic pattern in the massive amount of text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visualization resul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uld advance a new method for the written heritage study. More meaningful results are expected in may different fields like society, culture, economic, art and so on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of the visu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
      • 나. 연구의 범위와 구성 2
      • Ⅱ. 이론적 고찰 4
      • 가.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 4
      • Ⅰ. 서론 1
      •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
      • 나. 연구의 범위와 구성 2
      • Ⅱ. 이론적 고찰 4
      • 가.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 4
      • 나. 데이터 시각화의 장점 5
      • 다. 시각화 기법 5
      • 1. 시각화 방법론 6
      • 2. 시각적 표현기법 7
      • 3. 시각화를 위한 도구 10
      • 라. 디지털 텍스트를 이용한 정보시각화 적용 사례 11
      • 1. 족보시각화(Visual Genealogy) 12
      • 2. 텍스트아크(TextArc) 13
      • 3. Mapping God's Bloodline 14
      • 4. History Flow 14
      • 5. Similar Diversity 16
      • Ⅲ. 조선왕조실록을 이용한 데이터시각화 구현 17
      • 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 및 구성 17
      • 나. 조선왕조실록의 데이터 시각화 단계 18
      • 다. 조선왕조실록의 정보 조직화 19
      • 1. 실록 데이터 추출 19
      • 2. 색인어 추출 21
      • 3. 가중치 부여이론 적용 22
      • 4. 단어 랭킹 사전 제작 23
      • 5. 조선시대의 인물정보 추출 25
      • 라. 조선왕조실록의 정보 시각화 30
      • Ⅳ. 결과 분석 35
      • 가. 왕별 데이터 시각화 35
      • 1. 대중에게 친숙한 역사 인물들의 등장 36
      • 2. 왕의 재위기간에서 보이는 패턴의 차이 38
      • 3. 왕별 인물의 활동분야 분포에 관한 특이점 38
      • 나. 연도별 데이터 시각화 39
      • 1. 중심인물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경우 40
      • 2. 여러 해 동안 중심인물로 부각되는 경우 45
      • 3. 특정 해에 많은 인물들이 사망하는 경우 48
      • 4. 기타 53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55
      • 가. 연구결과의 요약 55
      • 나.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 56
      • 참고문헌 59
      • 국문초록 62
      • Abstract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