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체제는 위축되어가는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고 가정경제의 지나친 사교육비 지출을 막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첫째, 학교교육과 가정학습이 연계된 사이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381692
강릉 :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2008
한국어
373.3
강원특별자치도
v, 111 p. : 삽도 ; 26 cm.
참고문헌 : p.15-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체제는 위축되어가는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고 가정경제의 지나친 사교육비 지출을 막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첫째, 학교교육과 가정학습이 연계된 사이버교...
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체제는 위축되어가는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고 가정경제의 지나친 사교육비 지출을 막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첫째, 학교교육과 가정학습이 연계된 사이버교육환경을 구축하고 둘째,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학습이 가능한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고 셋째, 자율학습을 위한 수준별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신장시키며 넷째, 이상을 토대로 저소득층, 농어촌 및 도서벽지의 학생들에게 교육적 혜택을 제공하고 지역 계층간 불균형을 해소해 궁극적으로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사교육 현황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에 대한 교육주체(교사․학생․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검증 내용은 사이버가정학습 실시에 따른 학업성취도 결과, 사교육 현황, 그리고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On-Line과 Off-Line 상의 교수․학습 활동인 학급배정형 사이버가정학습 학급 운영과 수업활동 특화형 학습활동이다.
연구의 결과는 학업성취도, 사교육현황,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인식, 자기주도적 학습력 등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 제시하였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 정도는 본교에서 실시한 매월 학력검사로 조사하였으며 필수 운영 교과인 수학, 과학과의 평균점수를 살펴보았다. 4월 수학과와 과학과의 평균은 각각 71.75점과 78점이며, 9월 수학과와 과학과의 평균은 76.50과 81.50으로 각각 4.75점과 3.5점이 향상되었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한 기간이 길면 길수록 학업성취도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수는 사이버가정학습을 시작한 후 방학 중 고학년에서 다소 증가하였지만 전체적으로 14명에서 4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의 의지 및 학부모 인식 변화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사교육 비용 또한 4월 1,960,000원이 지출된 반면 9월 600,000원이 지출되어 전체적으로 1,360,000원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이용 장소는 가정과 학교라는 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학교에서 수업활동 특화형으로 운영하고 있고, 학교 여건이 가정에 비해 좋을 수 있어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용 시간은 30분 이상 활용하는 학생이 약 90%로 나타났다. 현재 사이버가정학습의 한 차시 콘텐츠가 20분 정도이고 학생들이 하루 이용 시간 30분 이상을 동일한 교과만 계속 학습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면 학생들이 필수 운영교과인 수학, 과학 뿐 아니라 국어, 사회, 영어 등의 자율 운영교과도 적극적으로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이버가정학습이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67% 이상이었다. 강원에듀월드 콘텐츠가 학생의 흥미를 고려하여 구성되었고, 학교에서 제작 배부한 강원에듀월드 학습지, 활용 학습장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된 걸로 판단된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부모들은 46% 이상이 잘 알고 있다고 했다. 사교육비 경감 효과에 대해서는 56%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에 대해서는 71%의 학부모가 만족한다라고 하였다. 이는 학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학교에서 제작 활용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 활용 학습지, 활용 일지 등이 학습에 효율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교사들은 대부분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의 취약, 상호작용의 미흡, 즉각적인 피이드백의 부재 등에 관한 것으로 학생들이 좀 더 안정된 시스템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활발하게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식을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 결과는 개방성, 자아개념, 내재적 동기, 자율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 등의 5개 영역에서의 평균값으로 나타낸 결과 각 영역의 평균값이 3점대 이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