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메리 램의 셰익스피어 문제극 각색 과정 연구 = A Study on Mary Lamb’s Process of Adaptation of Shakespeare’s Problem P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90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찰스 램과 메리 램이 집필한 『셰익스피어 이야기』(1807)는 19세기 초반의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 원전인 셰익스피어 작품의 희곡을 산문 형식으로 개작한 작품이다. 찰스 램과 메리 램은 ...

      찰스 램과 메리 램이 집필한 『셰익스피어 이야기』(1807)는 19세기 초반의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 원전인 셰익스피어 작품의 희곡을 산문 형식으로 개작한 작품이다. 찰스 램과 메리 램은 공동 작업을 하였지만 각자가 맡은 비극과 희극 개작 작업에서 상이한 태도를 드러낸다. 찰스 램은 당시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경향과 맞서는 “동화의 상상력”을 강조하는 태도를 견지하면서 비극을 각색한 반면, 메리 램은 어린 여성독자들을 “바람직하고 품위 있는 태도”를 지닌 여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희극의 개작에서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그들의 상이한 각색 태도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집필하는 공동 작업 과정에서 서로 얽히게 된다. 그리하여 『셰익스피어 이야기』는 상상력을 강조하는 찰스 램의 입장과 교훈성을 강조하는 메리 램의 입장으로 인해 “이중적인 태도”를 띠게 되는데 이는 당시 비평가들의 논쟁을 야기한다. 그러나 램 남매는 상상력의 관점에서 “아이보다 더 훌륭한 것은 없다”고 생각하고 교육적인 관점에서 아이들을 덕스런 어른들로 성장시키기 위해 『셰익스피어 이야기』를 읽히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자신들의 입장을 방어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인 『끝이 좋으면 다 좋다』와『자에는 자로』를 원전과 각색본의 내용을 플롯과 인물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검토하여 『셰익스피어 이야기』의 저술 의의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셰익스피어 이야기』에 반영된 메리 램의 각색 의도와 각색 방향을 논의함과 동시에 메리와는 상이한 찰스의 각색 태도 역시 논의한다. 본 논문은 9구체적으로 두 문제극에 등장하는 부차적인 인물과 중심 인물을 메리 램이 어떻게 각색 하였는지를 그녀의 네 가지 각색 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메리 램의 첫 번째 각색 방향은 원전으로부터 부차적 줄거리와 인물의 삭제와 축소이다. 부차적인 인물이 삭제된 경우는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 등장하는 퍼롤레스와 러배슈의 경우이고 부차적인 인물이 축소된 경우는 『자에는 자로』에 등장하는 루시오와 전옥의 경우이다.
      셰익스피어는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서 부차적인 인물 퍼롤레스와 대응되는 인물인 주인공 버트럼을 통해 당시 사회의 진정한 귀족에 대한 올바른 도덕적인 덕목을 제시하려 했다. 그러나 메리 램은 퍼롤레스를 삭제하는데, 이는 헬레나를 통해 외적인 신분보다는 내적인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 하려한 의도에 연유한다. 그 결과 메리 램의 개작에서는 관심의 초점이 버트럼에서 헬레나로 이동한다. 또 다른 부차적인 인물인 러배슈는 작품 전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극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인물로, 셰익스피어 원전에서 주 플롯의 전개를 주도하도록 계획된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광대 러배슈를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생략한다. 첫째, 러배슈가 입체적인 희곡의 구도에서 단선적인 이야기체 구도로 옮겨오게 되면 플롯의 짜임을 흩뜨리는 경향이 있고, 둘째, 독자가 광대에게 주는 곁눈질은 주 플롯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으며, 셋째, 러배슈가 추구하는 삶의 자세에 대한 철학적 통찰은 어린 독자의 텍스트 접근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자에는 자로』에서 셰익스피어가 의도한 루시오는 공작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으며 절대 권력의 배후에서 지배 세력을 견제하고 대항하며 도전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지배 세력에 도전적이며 공작의 정체를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인 루시오가 대단원에서 공작의 정체를 드러내는 장면을 삭제한다. 이처럼 루시오의 성격을 축소하고 단순화시키는 것은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난폭한 감정과 상스러운 행위를 제공하지 않으려는 메리 램의 의도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리 램의 각색 태도는 플롯의 밀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루시오의 경우와는 달리 전옥은 셰익스피어의 원전에서 긍정적으로 의도된 인물이다. 대단원에서 공작이 전옥의 공적을 보상함으로서 『자에는 자로』의 제목이 잘못에 대한 응징의 의미만 지니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보상의 의미로도 해석 가능하게 한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감옥 장면이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이를 대폭 삭제한다. 그 결과 닫힌 공간인 감옥에서 죄수들을 열린 마음으로 관리하는 전옥의 긍정적인 성격이 축소된다. 이는 그를 통해 좋은 본보기를 제시하려 했던 셰익스피어의 의도를 배제한 것이고, 그 결과 어린 독자들을 위한 교육적인 측면이 축소되어 버린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서 메리 램이 가장 많은 변형을 가한 부분은 ‘침실 장면’으로 이는 셰익스피어와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는 메리 램의 태도를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이다. AWT의 침실 장면에서 메리 램이 강조하려는 점은 “생기 넘치는 대화”를 구사하는 여주인공 헬레나의 “지적인 면모”이며, 이는 원작과 구별되는 결정적인 차이이다. 그리고 이러한 침실 장면은 결말 부분에서 자신의 낭군이 되어 달라는 헬레나의 요청이 버트럼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결과를 낳는다. 원전의 침실 장면에서 헬레나는 지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말”을 하지 않고 오직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재현되어 있다. 침실 장면에서 아내의 조건을 이행한 헬레나의 요청에 버트럼은 헬레나가 아닌 제 3자인 국왕에게 또 다른 조건을 제시하며 자신의 대답을 유보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문제극의 성격을 띠게 된다. 헬레나의 요구에 대한 버트럼의 이러한 유보적인 태도의 원인은 침실 장면에서 버트럼이 헬레나의 ‘지적인 면모’를 확인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버트럼을 통해서 당시 귀족 남성의 성적 욕망에 내재한 부도덕하고 무분별한 속성을 지적하려는 셰익스피어의 의도를 반영한다. 셰익스피어가 침실 장면을 통해 보여 주려고 한 것과는 달리, 메리 램은 ‘대화’를 통한 지적인 매력으로 버트럼의 사랑을 되찾은 헬레나를 통해 그 시대의 ‘올바른 여성의 모습’을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전하려고 했다.
      『자에는 자로』의 중심 인물인 앤젤로와 공작 그리고 이사벨라에 대해서, 메리 램은 자신이 세운 각색 방향 네 가지 모두를 적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점은 작품을 종결짓는 메리 램의 태도이다. 셰익스피어는 원작에서 이사벨라로 하여금 공작의 두 번에 걸친 청혼에 모두 침묵으로 대응하게 함으로써 관객이 ‘침묵’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작품의 결말을 느슨하게 풀어놓고 있다. 그러나 메리 램은 MMT에서 이사벨이 공작의 청혼을 기뻐하며 받아 들어 공작과 결혼 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메리 램은 결말 부분을 ‘열린 침묵’으로 일관하도록 한 셰익스피어와는 달리 원전에 결여되어 있는 종결 감을 이야기에 부여하여 느슨한 결말 부분들을 단단하게 묶어 주고 있다. 그러나 메리 램의 이러한 태도는 작품의 다양한 해석의 기회를 독자에게 제공해 주지 못함으로서 셰익스피어 원작의 문학성을 훼손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셰익스피어 이야기』는 교훈적인 동시에 풍부한 “상상력”을 고무시키는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은 문학 작품을 성별에 기초하여 구분하고 개작한 것으로 주목을 끈다. 메리 램의 각색이 어떤 면에서는 원전의 문학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지만 어린 여성독자들을 가르친다는 자신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원전을 변형했고, 그 변형은 교육적인 관점에서 볼 때 타당한 것이다. 그리고 메리 램은 원전의 난해한 언어에 접근하기 어려운 어린 독자들을 위해 원전을 쉽고 명쾌한 산문으로 개작하여 그들이 문학 작품을 쉽게 읽고 즐길 수 있도록 했을 뿐 만 아니라 그들의 도덕성을 함양하는데 성공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les from Shakespeare, written by Charles and Mary Lamb in 1807, is an adaptation of Shakespeare’s plays which was intended for children. Shakespeare’s poetic language is transmitted into prose, which enables children to easily read his works. Ch...

      Tales from Shakespeare, written by Charles and Mary Lamb in 1807, is an adaptation of Shakespeare’s plays which was intended for children. Shakespeare’s poetic language is transmitted into prose, which enables children to easily read his works. Charles and Mary Lamb collaborated in adapting Shakespeare’s plays, but they undertook separate duties which revealed different attitudes in their approach to the adaptation. Charles Lamb was in charge of the adaptation of tragedies, while Mary Lamb took control of adapting comedies. Charles Lamb stressed the “imagination of a fairy tale,” which was against the trend in children’s literature of the time, while Mary Lamb stressed “the moral and didactic element.” Mary Lamb was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of female childre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s a result, the Tales presents “a double movement” or perspective, which stresses didactic elements, as well as imagination. These ambivalent attitudes caused critical debates in the nineteenth-century. However, the Lambs defended criticism against “the double movement,” suspecting themselves to be “no bigger than a child,” from the viewpoint of “the imagination,” and reading the Tales to be effective at “making a child a virtuous man,” from the viewpoint of “an education.”
      This dissertation examines Mary Lamb’s adaption of Shakespeare’s problem plays All’s Well That Ends Well and Measure for Measure, with an adapted pattern focusing on the plot and character. It debates Charles Lamb’s attitude in his adaptations, which was different from Mary Lamb’s, as well as her intent and direction in the adaptation used in Tales from Shakespear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nalyses how Mary Lamb adapted secondary and main characters in the problem plays by focusing on the four directions of her adaptation.
      In All’s Well That Ends Well, Shakespeare tried to present the healthy moralistic virtue of the genuine nobility of society through a hero, Bertram. However, Mary Lamb tri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inner spirit through Helena. In consequence, the focus of interest moves from Bertram into Helena in her adaptation of the play. Lavatch was designed to play a leading role in developing the main plot of Shakespeare’s play. However, Mary Lamb omits Lavatch, the clown, from the Tales, because transferring him from the play would complicate the plot. In addition, Lavatch’s philosophical insights would be difficult for young readers.
      In Measure for Measure, Shakespeare intends Lucio to have an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Duke. However, Mary Lamb reduces and simplifies Lucio’s personality with the intention of not providing young ladies with examples of violent feelings and vulgar behaviors. Unlike Lucio, the provost is an affirmative character in Shakespeare’s play. However, Mary Lamb largely omits scenes which take place in prison, as those scenes are unsuitable for young female readers. As a result, the provost’s influence is reduced.
      In All’s Well That Ends Well Mary Lamb transforms the scene of the bed-trick illustrating her clear differences with Shakespeare. Mary Lamb intends to highlight the intellect of a female character, Helena, shown by “a lively conversation.” The scene of the bed-trick in Shakespeare’s play, which bans “a word,” exposes a disposition toward intellect and only describes Helena as an object of sexual desire. As opposed to Shakespeare, Mary Lamb tried to let the young female audience see the “honorable feminine state” transmitted by Helena, who won Bertram’s love with intellectual attractiveness, via “a conversation.”
      Mary Lamb transforms the main characters in All’s Well That Ends Well. The most conspicuous adaptation is her attitude in closing the work. Shakespeare allows readers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ilence in the play by having Isabella answer twice to Duke’s proposal of marriage with silence. However, Mary Lamb shows Isabel consenting to the Duke’s proposal of marriage with pleasure and then subsequently marrying the Duke. To make a conclusion consistent with “open silence,” Mary Lamb gives the Tales the feeling of closure which is predominantly lacking in Shakespeare’s play.
      Tales from Shakespeare is didactic and at the same time inspiring. It is a prominent example of gender-based division and revision of literature. Mary Lamb transformed the original to conform through her intent to teach young female readers. In addition, she adapted an original work into easy, clear prose for young readers. Mary Lamb’s efforts enabled them to read and enjoy a literary work more easily, and moreover, succeeded in the goal of fostering a sense of their mor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19세기 아동문학과 『셰익스피어 이야기』 8
      • 1. 19세기 아동문학과 램 남매의 입장 8
      • 2. 메리 램의 각색 의도와 방향 26
      • Ⅲ 『끝이 좋으면 다 좋다』와 메리 램의 각색 36
      • Ⅰ 서론 1
      • Ⅱ 19세기 아동문학과 『셰익스피어 이야기』 8
      • 1. 19세기 아동문학과 램 남매의 입장 8
      • 2. 메리 램의 각색 의도와 방향 26
      • Ⅲ 『끝이 좋으면 다 좋다』와 메리 램의 각색 36
      • 1. 부차적 줄거리와 부차적 인물 각색 36
      • 2. 중심 인물 각색 68
      • Ⅳ『자에는 자로』와 메리 램의 각색 116
      • 1. 부차적 줄거리와 부차적 인물 각색 120
      • 2. 중심 인물 각색 140
      • Ⅴ 결론 169
      • 인용문헌 177
      • 영문초록 182
      • 국문초록 1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