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연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  전·중반기를 중심으로 With focus on the early to middle period = The Meaning of Chinese Experience Shown in the 19th Century Travel Literature o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7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에서는 19세기 전·중반기에 사신 또는 사신의 수행인으로 중국에 다녀온 이들의 남긴 연행 문학을 통해 그들의 중국 체험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당시의 선비들의 중국 체험 열망�...

      이글에서는 19세기 전·중반기에 사신 또는 사신의 수행인으로 중국에 다녀온 이들의 남긴 연행 문학을 통해 그들의 중국 체험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당시의 선비들의 중국 체험 열망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 과정에서 군관·자제군관을 비롯하여 종사·반당· 비장이라는 명칭이 신분상으로 엄밀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었다는 점도 밝혔다.
      이 글에서는 유득공(柳得恭)의 『燕臺再遊錄』(1801년), 작가 미상의 『赴燕日記)』(1828년), 박사호(朴思浩)의 『심전고(心田槁)』(1828-1829년), 김경선(金景善)의 『연원직지(燕轅直指)』(1832-1833년), 서경순(徐慶淳)의 『몽경당일사(夢經堂日史)』 (1855-1856년), 김지수(김지수)의 『서행록(西行錄)』(1828년), 홍순학(洪淳學)의 『연행가(燕行歌)』(1866년), 유인목(柳寅睦)의『북행가(北行歌)』(1866년), 작가 미상의 『계산기정(계산기정)』(1803-1804년) 등 9편을 중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19세기 전·중반기 연행문학에서 확인되는 선비들의 인식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중화문화의 유일한 보존자로서의 자존심을 지닌 조선 선비들이 중국의 광대한 문물을 접하고 느끼게 된 당황함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택한 자존심 확인이 하나이고 위정자로서 중국의 현실을 파악하려는 인식 태도가 다른 하나이다. 전자는 조선 사신에 대한 중국 조정의 특별대우를 확인하는 일과, 화이론에 근거하여 중국에서 오랑캐성을 찾아내 멸시하며 중화의 본류로서의 명나라를 회고하는 과거 회상의식으로 나타난다. 후자는 중국의 실정을 세밀히 관찰하고, 민간의 생활 방식을 조선과 비교해서 조선의 민생 수준을 높일 만한 일들을 관찰하는 태도이다. 그러나 이 시기 선비들은 몰락해가는 대국 중국의 실상을 파편적으로 인식하는 데 그쳐 국제 정세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미 서양의 무력에 굴복해가는 과정에 있었던 중국을 확고한 대국이라고 인식하고 중국과 확실한 외교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이미 조선에도 시작된 서양 세력의 침투를 막으려는 인식에 머물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 of Chinese Experience through the travel literature on China recorded by those who had been to China in the early to mid-19th century as either envoys or their attendants. We first examined how earnestly the scholars of ...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 of Chinese Experience through the travel literature on China recorded by those who had been to China in the early to mid-19th century as either envoys or their attendants. We first examined how earnestly the scholars of that time desired to experience a trip to China, and through this process also discovered that designations such as Gungwan-Jajegungwan and Jongsa-Bandang-Bejang were not strictly divided according to social positions.
      The main research subjects are Yudeuggong's "Yeondaejaeyurok" (1801), "Buyeon Diary" (1828) by an unknown author, Park Saho's "Shimjeongo" (1828-1829), Kim Gyeongseon's "Yeonwonjikji" (1832-1833), Seo Gyeongsun's "Monggyeongdangilsa" (1855-1856), Kim Jisu's "Seohaengrok" (1828), Hong Sunhak's "Yeonhaengga" (1866), Yu Inmok's "Bukhaengga" (1866), "Gyesangijeong" (1803-1804) by an unknown author - a total of nine books.
      The attitudes of the scholars that could be confirmed from the travel literature on China in the early and mid-19th centur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sisted of Joseon scholars who took pride in being the only conservators of the Chinese culture. They confirmed their pride as a way of overcoming the feeling of bewilderment they felt when they experienced the vast civilization in China. The other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as administrators, had the attitude of wanting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in China. The first group showed itself in the mindset of reminiscing on the past, in its effort to confirm that Joseon envoys received special treatment from the Chinese royal court, to find the castles of the barbarians and denigrate them with its belief in "Hwairon", a theory that China will defeat all foreigners, and in its looking back to the Ming dynasty as the pinnacle of Chinese civilization. The latter group had the attitude of carefully observing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hina, of comparing the lives of people in China and Joseon in order to find things that could raise the livelihood level of people in Joseon. The scholars of this period, however, could only attain a fragmented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ircumstances in that great but crumbling country, China, and therefore arrived at the mid-19th century without a proper grasp of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y saw China to be a great and firm country, which was actually in the process of surrendering to the military power of the West, and thus held on to their view of trying to stop the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that had already started in Joseon by maintaining a faithfu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조선 선비의 중국 체험에 대한 열망
      • Ⅲ. 조선의 사상적 추이와 중국의 대외 상황
      • Ⅳ. 조선 선비의 자존심
      • Ⅴ. 실용적 관심과 반성적 시각
      • Ⅰ. 머리말
      • Ⅱ. 조선 선비의 중국 체험에 대한 열망
      • Ⅲ. 조선의 사상적 추이와 중국의 대외 상황
      • Ⅳ. 조선 선비의 자존심
      • Ⅴ. 실용적 관심과 반성적 시각
      • Ⅵ.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