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중등학교 음악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073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f School Arts Education Program : In the case of high school music lessons

      • 형태사항

        ix, 150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조중빈
        참고문헌: p. 118-12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연구자가 교육자로서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앎과 삶이 일치된 지(智)의 교육으로 나가야 하는 방법론 이라고 생각하는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로 경험한 음악수업사례를 통해서 ‘몸’과 ‘감정’이‘한 짝’이 된 ‘몸 체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몸’을 움직여서‘나’의 소중함을 느끼고 자신의 오감을 다양하고 조화롭게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하며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교차학의 창의성 개념을 교육에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문화교차학에서의 인간이란 ‘좋음’을 추구하는 본성을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누가 가르치지 않아도 우리 스스로가 창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음악은 합창과 같이 모두가 함께하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가 ‘내 몸이 좋다’는 감정이‘내 몸’안에 있고 그것이 저절로 우러나오는‘좋음’을 수업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자는 예술교육과 관련하여 특별히 ‘아리랑’에 주목을 하였다. ‘아리랑’은 현대에서도 끊임없이 스스로 모든 것을 수용하고 변하면서 ‘좋음’의 감정을 지닌 채 전해져 내려온 민요다. 아리랑의 상태는 그때그때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했지만 늘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평화의 사상은 자연스러움과 함께 배어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아리랑’이 한국인 모두를 공감하게 하는 언어로 맺어진 노래로서 전통사회의 유산이며 그 의미는 21세기 한국인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아리랑에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론을 적용하여 ‘완전한 나’는 원래부터 있었던 경기민요인 아리랑으로, ‘사랑받은 나’는 신민요 강남아리랑이며 ‘함께하는 나’는 두 개의 민요가 교차하여 만나 어울리는‘아리랑연곡’이라고 보았다. 아리랑에는 ‘몸’은 ‘감정’이요 ‘나’는 혼자가 아닌 부모가 모두 있는 ‘공동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고 본 것이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전통문화의 전승차원에서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가 연구자는 가창과 감상위주의 수동적인 학습이었다고 보았다. 이것은 정규교과의 음악수업이 그동안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무비판적으로 서양위주의 음악을 추종한 결과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문제의 대안으로 남북의 대표적인 아리랑 두곡을 아리랑연곡으로 재구성 하였고 합창을 통하여 학생들이 직접‘몸 체험’을 통하여 흥겹고 신나는 행복한 교실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리랑 연곡에 의한 사물놀이와 퓨전활동도 시도해 보았다. 비정규교과의 동아리활동에서는 기악합주반과 뮤지컬반 그리고 등굣길 음악회를 통해서 아름다운 학교문화를 펼쳐나갈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자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평화이며 행복하게 섞여 사는 인간마음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즉, 교육의 본질은 바로 인간의 마음속에 그대로 있는 좋은 감정을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본다.
      연구자가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행복교육이란 단지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따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만나는 통합적인 교육활동으로 체험할 때 문화교차학적 배움과 삶의 철학을 느낄 수 있다. 자발적으로 우러나온 우리의 몸짓, 소리, 언어 등이 아리랑과 함께 Kculture가 되고 공동체 문화인 우리의 ‘정’이 살아있는 예술과 접목하여 새롭게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 공동체문화의 활동과 가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새로운 대안 제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자는 문화교차학 관점의 ‘몸 철학’을 통해서 우리가 다 함께 섞여 사는 행복한 마음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문화교차학의 ‘몸 철학’을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접목한다면 ‘다 좋은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 확신을 한다.
      번역하기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연구자가 교육자로서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앎과 삶이 일치된 지(智)의 교육으로 나가야 하는 ...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연구자가 교육자로서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앎과 삶이 일치된 지(智)의 교육으로 나가야 하는 방법론 이라고 생각하는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로 경험한 음악수업사례를 통해서 ‘몸’과 ‘감정’이‘한 짝’이 된 ‘몸 체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몸’을 움직여서‘나’의 소중함을 느끼고 자신의 오감을 다양하고 조화롭게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하며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교차학의 창의성 개념을 교육에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문화교차학에서의 인간이란 ‘좋음’을 추구하는 본성을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누가 가르치지 않아도 우리 스스로가 창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음악은 합창과 같이 모두가 함께하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가 ‘내 몸이 좋다’는 감정이‘내 몸’안에 있고 그것이 저절로 우러나오는‘좋음’을 수업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자는 예술교육과 관련하여 특별히 ‘아리랑’에 주목을 하였다. ‘아리랑’은 현대에서도 끊임없이 스스로 모든 것을 수용하고 변하면서 ‘좋음’의 감정을 지닌 채 전해져 내려온 민요다. 아리랑의 상태는 그때그때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했지만 늘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평화의 사상은 자연스러움과 함께 배어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아리랑’이 한국인 모두를 공감하게 하는 언어로 맺어진 노래로서 전통사회의 유산이며 그 의미는 21세기 한국인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아리랑에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론을 적용하여 ‘완전한 나’는 원래부터 있었던 경기민요인 아리랑으로, ‘사랑받은 나’는 신민요 강남아리랑이며 ‘함께하는 나’는 두 개의 민요가 교차하여 만나 어울리는‘아리랑연곡’이라고 보았다. 아리랑에는 ‘몸’은 ‘감정’이요 ‘나’는 혼자가 아닌 부모가 모두 있는 ‘공동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고 본 것이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전통문화의 전승차원에서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가 연구자는 가창과 감상위주의 수동적인 학습이었다고 보았다. 이것은 정규교과의 음악수업이 그동안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무비판적으로 서양위주의 음악을 추종한 결과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문제의 대안으로 남북의 대표적인 아리랑 두곡을 아리랑연곡으로 재구성 하였고 합창을 통하여 학생들이 직접‘몸 체험’을 통하여 흥겹고 신나는 행복한 교실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리랑 연곡에 의한 사물놀이와 퓨전활동도 시도해 보았다. 비정규교과의 동아리활동에서는 기악합주반과 뮤지컬반 그리고 등굣길 음악회를 통해서 아름다운 학교문화를 펼쳐나갈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자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평화이며 행복하게 섞여 사는 인간마음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즉, 교육의 본질은 바로 인간의 마음속에 그대로 있는 좋은 감정을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본다.
      연구자가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행복교육이란 단지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따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만나는 통합적인 교육활동으로 체험할 때 문화교차학적 배움과 삶의 철학을 느낄 수 있다. 자발적으로 우러나온 우리의 몸짓, 소리, 언어 등이 아리랑과 함께 Kculture가 되고 공동체 문화인 우리의 ‘정’이 살아있는 예술과 접목하여 새롭게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 공동체문화의 활동과 가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새로운 대안 제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자는 문화교차학 관점의 ‘몸 철학’을 통해서 우리가 다 함께 섞여 사는 행복한 마음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문화교차학의 ‘몸 철학’을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접목한다면 ‘다 좋은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 확신을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목 차례>
      • 제 1 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동기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목 차례>
      • 제 1 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동기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3절 연구 내용 7
      • 제 2 장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론 9
      • 제1절 문화교차학의 개념과 논점 9
      • 1) 완전한 나 9
      • 2) 사랑받은 나 12
      • 3) 함께하는 나 16
      • 제2절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과 아리랑 22
      • 제 3 장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33
      • 제1절 고등학교 교과서별 국악교육과 아리랑의 실태 35
      • 1) 교과서별 국악비중 36
      • 2) 음악교육에서의 문제점과 학생들의 음악선호도 44
      • 제2절 정규교과의 수업사례 47
      • 1) 아리랑 연곡에 의한 합창 47
      • 2) 아리랑 연곡에 의한 사물놀이와 퓨전 60
      • 제3절 비정규교과의 수업사례 74
      • 1) 기악합주반 74
      • 2) 뮤지컬반 79
      • 3) 등굣길 음악회 88
      • 제 4 장 결 론 105
      • 제1절 연구의 요약 105
      •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109
      • 제3절 제언 및 향후과제 1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말복, "우리 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2 이영구, "『樂記』", (자유문고, 2003

      3 김상운, "『리듬』", (정신세계사, 2013

      4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14

      5 위키백과, "ko.wikipedia.org", 2016

      6 성진숙, 조연순,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7 이기동, "『맹자 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8 장쟈크, "루소, 『에밀』", (한길사, 2007

      9 여조겸, 주희, "저, 『근사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10 요한 호이징하, "『호모루덴스』", 까치, 2014

      1 김말복, "우리 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2 이영구, "『樂記』", (자유문고, 2003

      3 김상운, "『리듬』", (정신세계사, 2013

      4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14

      5 위키백과, "ko.wikipedia.org", 2016

      6 성진숙, 조연순,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7 이기동, "『맹자 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8 장쟈크, "루소, 『에밀』", (한길사, 2007

      9 여조겸, 주희, "저, 『근사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10 요한 호이징하, "『호모루덴스』", 까치, 2014

      11 레이먼드 윌리엄스, "『기나긴 혁명』", 문학동네, 2011

      12 전 헌, "『다 좋은 세상』", (어떤 책, 2016

      13 이광호, 이황저, "역, 『성학십도』", (홍익출판사, 2001

      14 김상봉, "「호모에티쿠스」", (한길사, 1999

      15 김재익, 정영록, 이형렬, 이채식, 이은영, "『장애인복지론』", 신정, (창지사, 2014

      16 최봉영, "『말과 바탕공부』", 고마누리, (고마누리, 2013

      17 마셜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12

      18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88

      19 조중빈, "『안심논어(論語)』", (국민대학교출판부, 2016

      20 이기동, "『대학․중용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5

      21 발터 벤야민, "『가면드의 병기창』", (한길사, 2014

      22 최봉영, "『한국문화의 성격』", (사계절, 1997

      23 최상진, "『한국인의 심리학』", 학지사, (학지사, 2011

      24 전우택,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25 김영순, 최민성,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10

      26 김양식, "『은장도여, 은장도여』", (행림출판사, 1999

      27 진봉규, "『판소리 이론과 실제』", 수서원, (수서원, 1995

      28 이원진, "“規矩方圓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정문성,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문화예술교육포럼, 2012

      30 민은기, "『고등학교 음악과진로』", (천재교육, 2013

      31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4

      32 황태연,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 (청계, 2014

      33 허훈, "『마음은 몸으로 말한다』", (아담, 2014

      34 최문기, "“한국 巫와 종교의 습합”", (한국윤리학회, , vol.1, no.76), 2010

      35 문국진, "『명화로 보는 인간의 고통』", (예담, 2005

      36 주대창, "『중학교 음악교과서 1학년』", (태성음악출판사, 2011

      37 주대창, "『중학교 음악교과서 3학년』", (태성음악출판사, 2011

      38 김동진, "『파란 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좋은친구, 2010

      39 박택상,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12

      40 조중빈, "“선택의 여지없음에 대하여”", (사회과학 연구 22집, 국민대 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41 문준희, "“수학과 음악 통합교육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2 조용호, "“아리랑 연구의 現況과 課題”", (중앙어문학회, 제23차 전국 학술대회, 2010

      43 허영림, "『내 아이의 자신감과 자존감』", (아주좋은날, 2015

      44 최윤경, "“메기고 받는 형식 민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5 박영수, "『유물 속의 동물 상징 이야기』", 내일아침, (내일아침, 2005

      46 김기덕,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북코리아, 2008

      47 임학순, "“지역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포럼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2015

      48 이지현, "“중학교 국악 교육 실태 조사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9 민경훈,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진단과 평가”", (교원대 문화예술교육포럼, 2014

      50 조선미, "“통합교과를 지향한 문학교육 연구”", 9동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9

      51 이승환, "“현대철학에서 감성의 위상과 역할”",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 학회 봄철학술대회, 2013

      52 염윤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53 진정민, "“음악과 통합교육을 위한 방법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2005

      54 조중빈, "“한국정치연구와 문화교차학적접근”",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37집, 한국정치학회, 2003

      55 김경은, 홍애령, 송미숙, "공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레인 보우북, 2014

      56 송화자, "『특기적성계발을 위한 기악곡집 1,2,3』", 현대음악출판사, 2002

      57 송화자, "“최병철의 칸타타 <한국>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9

      58 권덕원, "“학교 음악 교육 : 50년의 회고와 전망”",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vol 27, 2004

      59 유선덕, "“문화교차학적 기업 상담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60 장영란, "『플라톤의 교육-영혼을 변화시키는 힘』", 살림, (살림출판사, 2009

      61 김진선, "“민요를 활용한 교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2 H.B, "헐버트 저, 신복룡 옮김,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1999

      63 김승우, "『(19세기 서구인들이 인식한) 한국의 시와 노래", 소명, (소명출판, 2014

      64 김헌영, "“예술강사의 소명!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이다”", (문화예술교 육포럼, 문화예술교육, 사회적역할을 묻다, 2012

      65 문주석,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 <아리랑> 고찰”", (국악원논문 집 제27집, 2013

      66 최지영, "“협동학습을 적용한 민요 수업 지도방법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양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8

      67 이찬승, "『교육평론』, “한국학교교육의비전,『제4의길』", 은 어떤 길인가?, SEP.VOL.18~29), 2015

      68 김한순, "아리랑의 음악 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9 박흥주, "“전남 마을굿 전승에 기여할 학술연구 방안 모색”", 한국무속학회, (한국무 속학회 제26집, 2013

      70 김도경, "배추흰나비의 사랑 이야기를 통한 생태 교육적 접근", (국민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1 김미라,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국악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국악교 육연구 제9권 제1호, 2015

      72 황나연, "“조선시대 동물화의 상징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학교, 동양화과 석사학위논문, 2013

      73 박준구,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양성의 방향과 과제”", (제1회 창의인재 교육포럼, 2013

      74 안현상, "“한국인의 정치적 상상에 관한 문화교차학적 연구”", (국민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5 정길선,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국악교육의 연계성 지도 연구”", (용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76 최인덕, "“한국 중학생들의 음악적 태도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77 제갈윤,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체험뮤지컬’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 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8 허재희, "“고등학생들의 국악교육 수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79 송명훈, "“왜 같은 민요가 북한과 남한에 다르게 느껴지는 것일까”", (KBS 9시뉴스 기사, 2015

      80 김원희, "“창의상 발현을 위한 어린이 문화예술교육전시기획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1 조중빈, "“아버지 죽이기와 효도: 개인주의와 공동체사상의 갈림길”", (사회과학연구 제27집, 2014

      82 한지선,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교과 통합적 강강술래 지도방안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3 우쉬, "빌마이어, 이영용, 박주현 역, 『마마디 케이타 젬베는 내 인 생』", (나모리 출판사, 2014

      84 김연희, "“소통으로서 물고기의 상징 작업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 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5 이상인, "플라톤의 국가철학 -『국가』에 나타난 개인-국가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Vol.45 No.1, 1999

      86 김지희,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통합유형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09

      87 이두성, "“공감공동체를 향한 자전적스토리텔링 공연만들기 프로그램연 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8 왕창수,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89 김선영, "“중학교 미술교과와 음악교과의 통합지도방안 –주제를 중심으 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90 양종모, "「케이 팝(K-pop)의 학교 음악교육에 수용 탐색을 위한 음악적 특성 분석」", 한국음악응용학회, (음악응용연구, Vol.4, 2011

      91 김진선, "“민요를 활용한 교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2 최승은,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관 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5

      93 강상희, "미적 경험 기반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고찰: 음악교육을 중심 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94 유다인, "“음악교과와 인문학을 연계한 통합교육과정의 설계 및 수업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5 태진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예술교육연구”", (제8권 제2호, 2010

      96 김동철, "“소아청소년 심리치료를 위한 공간지각치료 프로그램 및 운영 에 관한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97 박정아, "“음악교과와 타 교과 간 통합교육 실태분석 :인천지역 중등학 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98 조유선, "“고통과 상상력 그리고 글쓰기: 도스토예프스키의『지하로부 터의 수기』를 중심으로”", (슬라브 학보 제 27권 3호), null

      99 김윤지,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 수업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0 박해림, "“중등학교 통합적 음악교육에 관한 석사학위논문의 경향분석 –교과간 통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1 심지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 제 중심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2 김주영,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 학습 방안연구 – 뮤지컬 <레미제라블>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03 김형숙, 조남용, "“‘한국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공교육 내에서 전 통예술문화교육의 실태, 현황분석 및 대안 탐색”", 2009

      104 전헌, "“21세기 지구촌의 새로운 철학, 퇴계”, (제23차 퇴계학 국제학술회의). 전헌, “서양철학의 흐름과 한계”", 2013

      105 이유나, "“각 지방 민요 토리 이해를 위한 창작곡 제작 연구 – 아리랑, 강원 도 아리랑, 진도 아리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06 최윤지, "“음악 교과와 한국사 교과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가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4

      107 강서진,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중등 미술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8 서예정,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의 통합적 접근방법 연구 -‘진도 아리랑’을 제재곡으로 한 창작수업을 중심으로-”", (단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