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ANCOVA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raphic Organizer on Reading Comprehension of Low-achieving Students in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8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raphic Organize (GO) in expository texts for enhanc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fourth-grade elementary low-achieving students. The targeted population consisted of 24 fourth-grade low-achieving students in reading from two different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sing a matching design that facilitated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During the stud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at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received typical reading instruction instead of GO. The measures were used as pre- and post-test measures to evaluate participant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out the study. We executed the activities for participants through 15 sessions 5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set from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O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Regarding subcategories of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in the GO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terms of literal and interpretive comprehen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raphic Organize (GO) in expository texts for enhanc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fourth-grade elementary low-achieving students. The targeted population consisted of 24 fourth-gra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raphic Organize (GO) in expository texts for enhanc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fourth-grade elementary low-achieving students. The targeted population consisted of 24 fourth-grade low-achieving students in reading from two different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sing a matching design that facilitated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During the stud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at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received typical reading instruction instead of GO. The measures were used as pre- and post-test measures to evaluate participant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out the study. We executed the activities for participants through 15 sessions 5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set from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O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Regarding subcategories of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in the GO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terms of literal and interpretive compreh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2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슷한 유형의 집단이 되도록 짝짓기 표집을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는 그래픽 조직자 활용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국어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중재시간은 회기 당 40분으로,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해력 검사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 활용은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 24명을 연구...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 4학년 국어학습부진학생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2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슷한 유형의 집단이 되도록 짝짓기 표집을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는 그래픽 조직자 활용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국어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중재시간은 회기 당 40분으로,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해력 검사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 활용은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옥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3 (3): 5-29, 2004

      2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노선규, "텍스트의 시각화 자료 활용을 통한 독해력 신장 방안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 전지영,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쓰기 전략 연구: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화진,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6 조숙남, "자기 교시적 이야기문법 학습전략을 적용한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표현력 개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박민정,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읽기교수가 읽기부진아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8 신경화, "이야기 구성도 훈련이 ADHD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수자,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 구성도 작성법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류지춘,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발달 단계별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2, 4, 6 학년 독해활동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 강옥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3 (3): 5-29, 2004

      2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노선규, "텍스트의 시각화 자료 활용을 통한 독해력 신장 방안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 전지영,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쓰기 전략 연구: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화진,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6 조숙남, "자기 교시적 이야기문법 학습전략을 적용한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표현력 개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박민정,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읽기교수가 읽기부진아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8 신경화, "이야기 구성도 훈련이 ADHD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수자,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 구성도 작성법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류지춘,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발달 단계별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2, 4, 6 학년 독해활동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문수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실험설계․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학지사 1999

      12 고성종, "독해학습 전략훈련이 읽기 지체 아동의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7

      13 김남연, "도해조직자를 이용한 설명적인 글의 구조 지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이소현, "단계적 그래픽 조직자 활용 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한국교육개발원, "기초학습기능검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98

      16 이승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이야기 문법 교수가 초등학교 5학년 읽기학습 장애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 2009

      17 양선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스폐인어 읽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강옥이, "그래픽 조직자를 적용한 학습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이창선,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국어학습부진아의 어휘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조복련, "그래픽 조직자 학습전략이 읽기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노명완, "국어과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2002

      22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23 DiCecco, V. M., "Using graphic organizers to attain relational knowledge from expository text" 34 (34): 306-321, 2002

      24 Mede. E, "The effects of instruction of graphic organizers in term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s reading in English" 2 (2): 322-325, 2010

      25 Pearson, P. D,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NY: Holt, Rinehart & Winston 1978

      26 Raaijmakers, J. G. W, "Measurement error and ANCOVA: Function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pproaches" 52 (52): 521-538, 1987

      27 이종구, "KMIS-E 다중지능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009

      28 Berkowitz, S, "Effects of instruction in text organization on sixth grade students’ memory for expository reading" 21 (21): 161-179, 1986

      29 Simmons, D. C., "Effectiveness of teacher-constructed pre- and post-graphic organizer instruction on sixth-grade science students’' comprehension and recall" 82 : 15-21, 1988

      30 Boudah, D. J., "Don't water down? Content learning through the unit organizer routine" 32 (32): 48-56, 2000

      31 Elashoff, J. D, "Analysis of covariance: A delicate instrument" 6 (6): 383-401, 19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