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옥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3 (3): 5-29, 2004
2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노선규, "텍스트의 시각화 자료 활용을 통한 독해력 신장 방안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 전지영,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쓰기 전략 연구: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화진,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6 조숙남, "자기 교시적 이야기문법 학습전략을 적용한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표현력 개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박민정,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읽기교수가 읽기부진아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8 신경화, "이야기 구성도 훈련이 ADHD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수자,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 구성도 작성법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류지춘,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발달 단계별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2, 4, 6 학년 독해활동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 강옥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3 (3): 5-29, 2004
2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노선규, "텍스트의 시각화 자료 활용을 통한 독해력 신장 방안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 전지영,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쓰기 전략 연구: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화진,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6 조숙남, "자기 교시적 이야기문법 학습전략을 적용한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표현력 개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박민정,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읽기교수가 읽기부진아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8 신경화, "이야기 구성도 훈련이 ADHD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수자,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 구성도 작성법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류지춘,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발달 단계별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2, 4, 6 학년 독해활동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문수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실험설계․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학지사 1999
12 고성종, "독해학습 전략훈련이 읽기 지체 아동의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7
13 김남연, "도해조직자를 이용한 설명적인 글의 구조 지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이소현, "단계적 그래픽 조직자 활용 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한국교육개발원, "기초학습기능검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98
16 이승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이야기 문법 교수가 초등학교 5학년 읽기학습 장애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 2009
17 양선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스폐인어 읽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강옥이, "그래픽 조직자를 적용한 학습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이창선,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국어학습부진아의 어휘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조복련, "그래픽 조직자 학습전략이 읽기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노명완, "국어과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2002
22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23 DiCecco, V. M., "Using graphic organizers to attain relational knowledge from expository text" 34 (34): 306-321, 2002
24 Mede. E, "The effects of instruction of graphic organizers in term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s reading in English" 2 (2): 322-325, 2010
25 Pearson, P. D,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NY: Holt, Rinehart & Winston 1978
26 Raaijmakers, J. G. W, "Measurement error and ANCOVA: Function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pproaches" 52 (52): 521-538, 1987
27 이종구, "KMIS-E 다중지능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009
28 Berkowitz, S, "Effects of instruction in text organization on sixth grade students’ memory for expository reading" 21 (21): 161-179, 1986
29 Simmons, D. C., "Effectiveness of teacher-constructed pre- and post-graphic organizer instruction on sixth-grade science students’' comprehension and recall" 82 : 15-21, 1988
30 Boudah, D. J., "Don't water down? Content learning through the unit organizer routine" 32 (32): 48-56, 2000
31 Elashoff, J. D, "Analysis of covariance: A delicate instrument" 6 (6): 383-401,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