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印度 樂器의 中國 傳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1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크로드는 중국의 비단을 비롯한 여러 문물이 서역을 지나 멀리는 로마까지 옮겨간 길이며, 음악적으로는 서역 음악이 아시아 전역에 전파된 길이기도 하다. 五絃琵琶ㆍ鳳首箜篌ㆍ螺貝ㆍ...

      실크로드는 중국의 비단을 비롯한 여러 문물이 서역을 지나 멀리는 로마까지 옮겨간 길이며, 음악적으로는 서역 음악이 아시아 전역에 전파된 길이기도 하다. 五絃琵琶ㆍ鳳首箜篌ㆍ螺貝ㆍ正鼓ㆍ和鼓ㆍ都曇鼓ㆍ毛員鼓ㆍ羯鼓ㆍ答臘鼓 등 이국적인 여러 악기들은 실크로드를 통해 東傳하였으며, 특히 중국에 유입되어 胡樂 열풍을 일으켰고 한반도와 일본에까지 전파되었다. 五代 永陵 24伎樂은 唐과 五代 당시의 중국 전통 악기와 외래 악기가 어떠했는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화석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永陵 24伎樂의 石刻을 기초로 다른 도상과 문물 그리고 여러 문헌을 분석한 끝에 螺貝ㆍ細腰鼓ㆍ答臘鼓ㆍ羯鼓 네 가지 악기가 인도에서 기원하여 중국으로 전파되었다는 관점을 갖게 되었다. 螺貝(나패:소라 나팔)는 인도에서 매우 오래된 악기 중의 하나였다. 나패는 천축악과 함께 중원 지역으로 들어왔고, 이후 나패는 불교의 성행과 함께 중원 지역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세요고는 인도에서 발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에는 대략 육조시기에 서역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서기 6세기에 세요고가 이미 남방 지역에서 성행하고 있었다. 答臘鼓도 인도에서 기원했으며, 중국에 전래된 시기는 六朝 후반기로 추정된다. 羯鼓는 인도에서 유래하였지만 그 전파는 구자와 무관할 수 없다. 인도에서 발생한 羯鼓는 중앙아시아를 거쳐 구자 지역에 전래되었고, 이후 구자악의 성행과 함께 羯鼓는 당시 장안에서 크게 성행했다. 이제까지 실크로드의 악기에 관한 연구는 매우 많았지만, 그 기원과 전파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 연유는 증명이 쉽지 않아 논란이 존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출토 유물과 각종 圖像 그리고 여러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네 가지 악기의 인도 기원과 중국 전파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lk Road is a road where Chinese silk and other artifacts have moved through the Western Regions and into Rome. Musically, the music of Western Regions has spread throughout Asia. The five-stringed pipa, phoenix-shou kongzhu, snail shell, sing drum, ...

      Silk Road is a road where Chinese silk and other artifacts have moved through the Western Regions and into Rome. Musically, the music of Western Regions has spread throughout Asia. The five-stringed pipa, phoenix-shou kongzhu, snail shell, sing drum, harmony drum, Mao Yuan drum, dotan drum, tara drum, exhaust drum and other musical instruments spread from Silkroad to China, setting off the upsurge of Hu music. These instruments sprea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he Twenty-Four Musical Instruments of Yongling in the Five Dynasties can be said to be living fossils showing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usical instruments and foreign musical instruments in the Tang and Five Dynasties. After analyzing other images, cultural relics and various documents based on the stone carvings of Yongling 24 Jiyue,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four musical instruments, snail shell, thin waist drum, tara drum, and Jiegu, originated in India and spread to China. "Snail shell" is one of India's oldest musical instruments. Snail shells and Tianzhu Le entered the Central Plains together, and then the shells became popular in the Central Plains with the prevalence of Buddhism. It is speculated that the slender drum originated in India. Probably it was introduced to China through the Western Regions during the Six Dynasties. In the 6th century AD, the slender drum was already popular in the south. The Dala drum also originated from India, and it is assumed that it was introduced to China in the late Six Dynasties. Although Jiegu originated from India, its spread is related to Qiuci. Jiegu, which originated in India, was introduced to the Qiuci region through Central Asia, and then spread widely as Qiuci music became popular in Chang'an. So f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ilk Road musical instruments, but not many studie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musical instruments. The reason is that the history is long and difficult to prove, so there can only be disputes. Despite the controversy, this paper discusses the Indian origin and Chinese spread of the four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unearthed cultural relics, various images and various documents. If there are errors in the article, I hope that experts and scholars can correct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螺貝의 기원과 전파
      • Ⅲ. 細腰鼓의 기원과 전파
      • Ⅳ. 答臘鼓의 기원과 전파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螺貝의 기원과 전파
      • Ⅲ. 細腰鼓의 기원과 전파
      • Ⅳ. 答臘鼓의 기원과 전파
      • V. 羯鼓의 기원과 전파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혜진, "이성산성(二聖山城) 출토 목제 요고(腰鼓)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 요고류 도상자료를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10 (10): 57-76, 2006

      2 전인평, "아시아 음악 오디세이" 아시아음악학회 808-, 2015

      3 전인평,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107-114, 1999

      4 전인평,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107-, 1999

      5 전인평, "실크로드 음악과 한국음악" 아시아음악학회 17-, 2001

      6 吳巧雲, "雲岡石窟音樂窟中的北魏音樂" 3 : 49-, 2017

      7 魏徵, "隋書" 中華書局 380-, 1973

      8 杜佑, "通典" 中華書局 3676-, 1988

      9 王希丹, "論集安高句麗墓壁畫中的細腰鼓" 44-, 2016

      10 劉昫, "舊唐書, 권29 ‘音樂二’" 中華書局 1079-, 1975

      1 송혜진, "이성산성(二聖山城) 출토 목제 요고(腰鼓)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 요고류 도상자료를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10 (10): 57-76, 2006

      2 전인평, "아시아 음악 오디세이" 아시아음악학회 808-, 2015

      3 전인평,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107-114, 1999

      4 전인평,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107-, 1999

      5 전인평, "실크로드 음악과 한국음악" 아시아음악학회 17-, 2001

      6 吳巧雲, "雲岡石窟音樂窟中的北魏音樂" 3 : 49-, 2017

      7 魏徵, "隋書" 中華書局 380-, 1973

      8 杜佑, "通典" 中華書局 3676-, 1988

      9 王希丹, "論集安高句麗墓壁畫中的細腰鼓" 44-, 2016

      10 劉昫, "舊唐書, 권29 ‘音樂二’" 中華書局 1079-, 1975

      11 周豔, "羯鼓錄研究" 武漢音樂學院 2007

      12 南卓, "羯鼓錄"

      13 翟敏, "羯鼓論略" 科教文彙 264-, 2008

      14 戴寧, "羯鼓論" 黃鍾 34-, 1992

      15 張衛東, "羯鼓漫談" 華夏文化 56-, 2001

      16 周菁葆, "絲綢之路的音樂文化" 新疆人民出版社 96-, 1987

      17 周菁葆, "絲綢之路上的細腰鼓" 7 : 158-160, 2014

      18 周菁葆, "絲綢之路上的細腰鼓" 新疆艺术 44-, 2015

      19 陳暘, "樂書, 제211冊" 台北台灣商務印書館 553-, 1896

      20 安忠義, "梵乐之螺贝—以南北朝至隋唐佛教石窟圖像爲例" 10 : 83-88, 2015

      21 林謙三, "東亞樂器考" 人民音樂出版社 139-, 1962

      22 朝鮮總督府, "朝鮮古跡圖譜, 第4冊" 青雲堂 1670-, 1916

      23 三本稔, "日本樂器法" 人民音樂出版社 173-, 2000

      24 鄭汝中, "新發現的莫高窟 275 窟音乐图像" 2 : 1-, 1992

      25 歐陽修, "新唐書" 中華書局 6312-, 1975

      26 馬端臨, "文獻通考" 中華書局 1208-, 2018

      27 史敦宇, "敦煌樂舞" 甘肅人民美術出版社 78-, 2014

      28 高德祥, "敦煌古代樂舞" 人民音樂出版社 259-, 2008

      29 周華斌, "散樂中的單杖細腰鼓" 24-, 2015

      30 薛克翹, "從兩大史詩看印度古代音樂" 2 : 58-, 1985

      31 沈約, "宋書" 中華書局 1329-, 2000

      32 李昉, "太平御覽" 中華書局 59-, 1960

      33 沈括, "夢溪筆談" 中華書局 183-, 1959

      34 李林甫, "唐六典" 中華書局 404-, 1992

      35 段文, "唐代佛教樂器螺貝源流考" 3 : 4-, 2017

      36 岸邊成雄, "古代絲綢之路的音樂" 人民音樂出版社 85-, 1988

      37 劉文榮, "古今同名樂器考)(六)—腰鼓" 8 : 31-, 2017

      38 張華, "博物志․外七種" 上海古籍出版社 161-, 2001

      39 田蕾, "五代王處直墓樂器圖像研究" 山東大學 2019

      40 馮文慈, "中外音樂交流史" 湖南教育出版社 132-, 1998

      41 嚴昌洪, "中國鼓文化研究" 廣西教育出版社 318-, 1997

      42 劉再生, "中國古代音樂史簡述" 人民音樂出版社 276-277, 2006

      43 中國敦煌壁畫全集編輯委員會, "中国敦煌壁画全集5" 天津人民美术出版社 42-, 2006

      44 월터 카프만, "上古時代的音樂" 文化藝術出版社 161-165, 1989

      45 "『大正藏』 제34책, 727쪽; 제20책, 227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