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연기(緣起)와 성기(性起)의 관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 On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Nature arising``-Focusing on the Hwaeomgyeong-mund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4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기(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엄(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지론교학(地論敎學)의 연기설(緣起說)인 연집...

      연기(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엄(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지론교학(地論敎學)의 연기설(緣起說)인 연집설(緣集說)을 삼승(三乘)의 연기설로 비판하고, 삼승(三乘)의 연기설인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기의 이면에 성기(性起)를 제기하고 있다. 당시 지론교학 내에서는``자체(自體)``의 의미에 대한 좀 더 발전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이해된다. 기본적으로 ``자체``는 여래장(如來藏)과 같은 의미이다. 여래장은 여래의 잠재태인 인(因)의 입장으로 이해되지만, 그 의미가 분화되는 과정에서 여래의 현실태인 과(果)의 입장에 대한 이해도 나타나고 있다. ``자체``라는 용어에서 우리는 여래장사상에서 성기사상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엄은 이를 수용하여 자체를 성기와 통용하고 있다. 하지만 의상(義相)(625~702)은 자체와 성기를 구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자체연기를 일승연기와 구분하는 과정에서 성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성기사상은 지엄으로부터 발현된 것이지만, 지엄은 법계연기의 체계 안에 성기를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의상도 법계연기의 사유를 수용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다만 법계연기의 정문(淨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상은 정문의 본유(本有)와 본유수생(本有修生), 그리고 수생(修生)과 수생본유(修生本有)를 각각 성기와 연기로 병립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는 行을 중심으로 법계를 이해했던 법계도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의상은 증분[성기]과 연기분[연기]의 관계를 무주중도(無住中道)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다. 의상은 성기가 곧 무주(無住)의 법성(法性) 임을 밝히고 법성을 중심으로 법계를 노래하고 있다. 의상은 연기의 이면에서 성기를 밝혔던 지엄의 법계연기의 사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법성성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의상은 중생의 근기에 따른 수 행을 중시함과 동시에, 성기를 연기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의상은 성기(性起)사상을 중심에 내세움으로써 그의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입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 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 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Co-gathering``(緣集說), Dependent Co - arising of Jilun(地論) School on the grounds that it is Dependent Co - arising of Tri-vehicle(三乘), On the contrary, he suggests the theory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tu``(法界緣起), viz,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 And he proposes the existence of ``Nature-arising`` present deeply within Dependent Co-arising. It seems that Jilun School at that time holds a advance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自體, K. Jache), which may be generally identified with the Tathagata - garbha(如來藏). Ordinarily Tathagata - garbha tends to be understood as potentiality of Buddha. But the detailed discussions of ``Self - noumenon``(Jache) sometimes makes Tathagata - garbha understood as actuality of Buddha. I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Jache),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vestiges of transitional move from Tathagata - garbha to Nature - arising. Zhiyan accepts the term of ``Self-noumenon`` and uses it in the same context as ``Nature-arising``. But in the Hwaeomgyeong - mundap(華嚴經問答), Uisang(義相, 625~702) distinguishes ``Self - noumenon`` and ``Nature-arising``, and makes clear the meaning of Nature - arising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elf - noumenon``(自體緣起) and the ``Dependent Co-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緣起). The thought of Nature-arising begins with Zhiyan. He introduces the Nature - arising into the system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Also Uisang accepts and develops Zhiyan`s idea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He pays more attention to the the purity part(淨門) of ``Dependent Co-arising of Dharmdhatu``. And he understands ``Originally - existing``(本有) and ``Developing - by - practice of Originally - existing``(本有修生) in the place of Nature-arising, and in parallel with it, ``Developing - by - practice``(修生) and ``O riginally - existing of D eveloping - by - practice``(修生本有) in the place of Dependent Co - arising. His approaches in the Hwaeomgyeong - mundap correspond to the system of Ilseungbeopgye - do focusing on practice. Uisang understands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Nature-arising`` from th viewpoint of ``midway without abiding in anything``(無住中道). He explains that the Nature - rising is the ``Dharma-nature``(法性) without abiding in anything, and sings ``Dharmdhatu`` based on ``Dharma - nature. ``He posits Nature - arising in front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thinks highly of the differentiation of practice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positions. He strengthens the practical tendency by putting a great emphasis on Nature-aris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