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에서의 창작동요 수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Receiving Recent Children’s Songs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6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창작되는 동요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새로운 경향의 동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방송사의 창작동요제들은 참신한 창작동요의 발굴과 보급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

      오늘날 창작되는 동요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새로운 경향의 동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방송사의 창작동요제들은 참신한 창작동요의 발굴과 보급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 발표된 동요들은 수년 단위로 개편되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될 때까지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발표된 동요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점검되고 있지않으며, 그것들을 지도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축적되지 못하였다.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노래를 제공하는 수업을 지양하고, 음악교과의 취지를 살린 포괄적인 접근법으로 창작동요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창작동요제의 입상곡들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호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반응과 노래의 유형을 고려하여 수업에 사용할 제재곡들을 선정하고, 그것들을 현장에서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ren's song which are taught in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chiefly come out of music textbook, while great number of children's song have been recently compo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nerations, we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lso in ...

      Children's song which are taught in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chiefly come out of music textbook, while great number of children's song have been recently compo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nerations, we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lso in educational activities of music lesson. Viewed from this angle, it is important to choose impartially new songs as teaching materials in music class.
      When teachers are intending to deal with these new songs in public school, there are great problems how to introduc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main aspects of receiving recent children's songs that have been published through musical contests about composition of children's song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taking advantage of them in classroom. This paper thus attempts to outline methodical models of handling new children's songs in elementary school.
      In exploring the question of teaching method which includes choosing songs as teaching materials, this paper demonstrates three lesson plans for fifth and sixth grades applying systematical frames. There are three viewpoints to be regarded, so that teaching integrated arts, interpreting music in social context, and making full use of human senses, in order to materialize instruction for the whole ma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시작하면서
      • Ⅱ. 제재곡의 선정
      • Ⅲ. 수업을 위한 단원 설정
      • Ⅳ. 수업의 구성
      • 〈요약〉
      • Ⅰ. 시작하면서
      • Ⅱ. 제재곡의 선정
      • Ⅲ. 수업을 위한 단원 설정
      • Ⅳ. 수업의 구성
      • Ⅴ. 마치면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대창, "통합적 음악수업의 구성 원리 및 전개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낭만음악사 16 (16): 23-55, 2004

      2 양종모, "창의성 계발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In 음악수업은 창의성을 기르는가?" 2003

      3 Nolte, Eckhard, "음악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및 과제" (창간) : 2001

      4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5 임미경,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예종 2003

      6 권덕원,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5

      7 함희주, "음악과교육과정에서 사회학적 접근의 필요성" 한국음악교육학회 31 : 223-244, 2006

      8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9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10 주대창, "근대 미학적 사고에 비추어 본 음악교과교육의 근거" 민족음악학회 28 (28): 301-323, 2004

      1 주대창, "통합적 음악수업의 구성 원리 및 전개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낭만음악사 16 (16): 23-55, 2004

      2 양종모, "창의성 계발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In 음악수업은 창의성을 기르는가?" 2003

      3 Nolte, Eckhard, "음악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및 과제" (창간) : 2001

      4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5 임미경,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예종 2003

      6 권덕원,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5

      7 함희주, "음악과교육과정에서 사회학적 접근의 필요성" 한국음악교육학회 31 : 223-244, 2006

      8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9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10 주대창, "근대 미학적 사고에 비추어 본 음악교과교육의 근거" 민족음악학회 28 (28): 301-323, 2004

      11 김원명, "국제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음악과 교과과정의 특성 분석독일·미국·영국·일본·프랑스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24 (24): 317-354, 2002

      12 교육인적자원부,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2007

      13 Eckhardt, Rainer, "Wunsch und Wirklichkeit, In Macht Musik wirklich klüger?" Wißner-Verlag 2003

      14 Campbell, Linda,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Pearson 2003

      15 Bloomfield, Anne, "Teaching Integrated Arts in the Primary School" David Fulton 2000

      16 Bimberg, Siegfried, "Polyästhetische Erziehung, In Neues Lexikon der Musikpädagogik" Gustav Bosse 1994

      17 Elliott, David J., "Music Matt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8 Labuta, Joseph A., "Music Education" Prentice Hall 1997

      19 Gruhn, Wilfried, "Lernziel Musik" Georg Olm 2003

      20 Gardner, Howard,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Basic Books 1993

      21 Abeles, Harold F.,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2nd ed" Thomson Schirmer 1995

      22 Neumann, Friedrich, "Duett" Schott 2005

      23 Woodford, P., "Democracy and Music Educ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24 Webster, Peter R., "Creative Thinking in Music: Advancing a Model, In Creativity and Music Education" Britannia Printers 2002

      25 Mark, Michael L.,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3rd ed" Schirmer Thomson Learning 1996

      26 Reimer, B.,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3rd ed" Prentice Hall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0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낭만음악
      외국어명 : Nangman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