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퇴경환림(退耕還林) 정책을 통해 본북한 산림복구사업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Returning Land for Farming to Forestry Policy in China for North Korean Rehabilitation Fore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45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which was under the socialist state, has increasingly made a lot of degraded and devastated forests and lands due to reckless development and excessive land use, to the extent that it finally becomes a social problem. Continuous and severe land use changes led to the expanded desertification throughout northwest arid climate zones and increased numbers of large scaled flood and natural diasters. In particular, the great flood of Yangtze river in 1998 with its critical damages was the typical case showing the seriousness of Chinese forest's degradation and devastation. To cope with this problem,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Grain for Green Project” from 2008 to 2011, turning farmlands into forestlands. The project has been achieving some desired outcomes until now. The Grain for Green Project, enforced based on the central government’s strong political will, turned farmlands into forestlands, through direct rewards and supports to forest villages. The government also improved its previous methods for forest restoration and forest management, by learning advanced forest technologies and management methods from abroad, through supports from international society. Such experiences and lessons of forest devastation and restoration that China has experienced, though they are not exactly same with those of North Korea, are expected to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circumstances more clearly, which is also a socialist state as China.
      번역하기

      China, which was under the socialist state, has increasingly made a lot of degraded and devastated forests and lands due to reckless development and excessive land use, to the extent that it finally becomes a social problem. Continuous and severe land...

      China, which was under the socialist state, has increasingly made a lot of degraded and devastated forests and lands due to reckless development and excessive land use, to the extent that it finally becomes a social problem. Continuous and severe land use changes led to the expanded desertification throughout northwest arid climate zones and increased numbers of large scaled flood and natural diasters. In particular, the great flood of Yangtze river in 1998 with its critical damages was the typical case showing the seriousness of Chinese forest's degradation and devastation. To cope with this problem,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Grain for Green Project” from 2008 to 2011, turning farmlands into forestlands. The project has been achieving some desired outcomes until now. The Grain for Green Project, enforced based on the central government’s strong political will, turned farmlands into forestlands, through direct rewards and supports to forest villages. The government also improved its previous methods for forest restoration and forest management, by learning advanced forest technologies and management methods from abroad, through supports from international society. Such experiences and lessons of forest devastation and restoration that China has experienced, though they are not exactly same with those of North Korea, are expected to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circumstances more clearly, which is also a socialist state as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산림 및 국토황폐화는 기후변화와 무계획․무절제한 방식의 농지개간과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심각한 산림전용은 북서쪽 건조기후대에서의 사막화 현상을 확산시켰고, 이로 인한 대규모 홍수와 자연재해가 증가했다. 특히 1998년의 양쯔강 대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는 중국 산림 훼손의 심각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중국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농지를 산림으로 환원시키는 퇴경환림(退耕還林) 정책을 실시하여 많은 농지를 산림으로 바꾸는 성과를 거두었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 퇴경환림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바탕으로 산지를 경작하던 농민들에게 직접적인 보상과 지원을 통해 경작지를 산림으로 환원하는 정책이다. 또한 명확한 모니터링과 검사가 병행되었고, 산림파괴와 비탈면 경작에 대한 법적 처벌이 진행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또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통해 선진임업기술과 경영방식을 학습하여 중국의 산림복구와 관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이같은 중국의 산림황폐화와 산림복구과정, 그리고 결과가 북한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사회주의체제 국가인 북한의 상황에서 충분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중국의 산림 및 국토황폐화는 기후변화와 무계획․무절제한 방식의 농지개간과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심각한 산림전용은 북서쪽 건조기후대에서의 사막화 현상을 확산시켰고, 이로...

      중국의 산림 및 국토황폐화는 기후변화와 무계획․무절제한 방식의 농지개간과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심각한 산림전용은 북서쪽 건조기후대에서의 사막화 현상을 확산시켰고, 이로 인한 대규모 홍수와 자연재해가 증가했다. 특히 1998년의 양쯔강 대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는 중국 산림 훼손의 심각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중국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농지를 산림으로 환원시키는 퇴경환림(退耕還林) 정책을 실시하여 많은 농지를 산림으로 바꾸는 성과를 거두었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 퇴경환림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바탕으로 산지를 경작하던 농민들에게 직접적인 보상과 지원을 통해 경작지를 산림으로 환원하는 정책이다. 또한 명확한 모니터링과 검사가 병행되었고, 산림파괴와 비탈면 경작에 대한 법적 처벌이 진행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또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통해 선진임업기술과 경영방식을 학습하여 중국의 산림복구와 관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이같은 중국의 산림황폐화와 산림복구과정, 그리고 결과가 북한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사회주의체제 국가인 북한의 상황에서 충분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효욱, "한국과 중국의 산림관리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21 (21): 59-70, 2014

      2 박기형, "중국의 퇴경환림 사업(退耕還林事業) 및 보상제도에 대한 고찰" 산림과학연구소 27 (27): 101-111, 2011

      3 추장민, "중국의 숲이 무너진다"

      4 이철호, "중국의 산림행정체제와 녹색성장" 한국행정학회 2009

      5 오지진, "중국의 사막화와 방사치사 : 산시성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6 바이젠엔화, "중국 사막화 방지의 현황과 대책" 15 (15): 16-24, 2006

      7 백을선,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임업연구원 2001

      8 김수영,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산림관리 변화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27-157, 2016

      9 "일일중국경제정보"

      10 "우리나라 최대 국유삼림지구 63년 상업성 채벌 종료"

      1 남효욱, "한국과 중국의 산림관리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21 (21): 59-70, 2014

      2 박기형, "중국의 퇴경환림 사업(退耕還林事業) 및 보상제도에 대한 고찰" 산림과학연구소 27 (27): 101-111, 2011

      3 추장민, "중국의 숲이 무너진다"

      4 이철호, "중국의 산림행정체제와 녹색성장" 한국행정학회 2009

      5 오지진, "중국의 사막화와 방사치사 : 산시성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6 바이젠엔화, "중국 사막화 방지의 현황과 대책" 15 (15): 16-24, 2006

      7 백을선,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임업연구원 2001

      8 김수영,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산림관리 변화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27-157, 2016

      9 "일일중국경제정보"

      10 "우리나라 최대 국유삼림지구 63년 상업성 채벌 종료"

      11 곽상수, "사막화방지를 위한 한중 생명공학 연구협력 현황" 22 (22): 65-73, 2012

      12 추장민, "사막화방지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환경운동연합 2003

      13 명수정, "북한의 자연재해 취약지 추정 및 남북 협력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14 빙현지, "북한에너지 현황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7

      15 이영훈,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 행 2006

      16 "무수현 산림경제발전 적극 추진(2015,06.09)"

      17 강광규, "동북아지역의 황사피해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협 력방안 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18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4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19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3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86

      20 박소영, "그린데탕트와 남북산림협력의 의미와 가능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103-130, 2015

      21 박종호, "국제사회에서의 동북아 산림협력방안-한반도 산림복구를 위한 통합 거버넌스 구축방안" 아시아산림협력기구 2014

      22 주홍승, "退耕還林工程典型技術模式" 中國林業出版社 2014

      23 Li. S. D., "Research on conversion of farmland to forests in China" Science Press 2004

      24 Chokkalingam, U. Zhou Zaichi, "Learning lessons from China’s forest rehabilitation efforts : national level review and special focus on Guangdong Province"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3 0.60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