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효욱, "한국과 중국의 산림관리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21 (21): 59-70, 2014
2 박기형, "중국의 퇴경환림 사업(退耕還林事業) 및 보상제도에 대한 고찰" 산림과학연구소 27 (27): 101-111, 2011
3 추장민, "중국의 숲이 무너진다"
4 이철호, "중국의 산림행정체제와 녹색성장" 한국행정학회 2009
5 오지진, "중국의 사막화와 방사치사 : 산시성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6 바이젠엔화, "중국 사막화 방지의 현황과 대책" 15 (15): 16-24, 2006
7 백을선,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임업연구원 2001
8 김수영,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산림관리 변화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27-157, 2016
9 "일일중국경제정보"
10 "우리나라 최대 국유삼림지구 63년 상업성 채벌 종료"
1 남효욱, "한국과 중국의 산림관리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21 (21): 59-70, 2014
2 박기형, "중국의 퇴경환림 사업(退耕還林事業) 및 보상제도에 대한 고찰" 산림과학연구소 27 (27): 101-111, 2011
3 추장민, "중국의 숲이 무너진다"
4 이철호, "중국의 산림행정체제와 녹색성장" 한국행정학회 2009
5 오지진, "중국의 사막화와 방사치사 : 산시성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6 바이젠엔화, "중국 사막화 방지의 현황과 대책" 15 (15): 16-24, 2006
7 백을선,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임업연구원 2001
8 김수영,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산림관리 변화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27-157, 2016
9 "일일중국경제정보"
10 "우리나라 최대 국유삼림지구 63년 상업성 채벌 종료"
11 곽상수, "사막화방지를 위한 한중 생명공학 연구협력 현황" 22 (22): 65-73, 2012
12 추장민, "사막화방지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환경운동연합 2003
13 명수정, "북한의 자연재해 취약지 추정 및 남북 협력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14 빙현지, "북한에너지 현황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7
15 이영훈,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 행 2006
16 "무수현 산림경제발전 적극 추진(2015,06.09)"
17 강광규, "동북아지역의 황사피해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협 력방안 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18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4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19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3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86
20 박소영, "그린데탕트와 남북산림협력의 의미와 가능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103-130, 2015
21 박종호, "국제사회에서의 동북아 산림협력방안-한반도 산림복구를 위한 통합 거버넌스 구축방안" 아시아산림협력기구 2014
22 주홍승, "退耕還林工程典型技術模式" 中國林業出版社 2014
23 Li. S. D., "Research on conversion of farmland to forests in China" Science Press 2004
24 Chokkalingam, U. Zhou Zaichi, "Learning lessons from China’s forest rehabilitation efforts : national level review and special focus on Guangdong Province"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