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9
2 양운덕, "『미쉘 푸코』", 나남출판, 2007
3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15
4 고광윤, "『The Antconc book』", LARRBEE LEARNING, 2019
5 백선기, "『미디어 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박남기, "『실력의 배신』", 쌤앤파커스, 2018
7 서덕희, "“담론분석방법.”", 『교육비평』 28: 218-239, 2011
8 최윤선,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14
9 이경숙, "『시험국민의 탄생』", 푸른역사, 2017
10 김부태, "『한국 학력사회론』", 내일을 여는 책, 1995
11 허은주,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2018
12 김천기,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2018
13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14(3): 106-145, 2006
14 교육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2019
15 김동석, "『한국의 교육선발과 경쟁』", 문음사, 2006
16 남인숙, "학력사회와 한국교육의 모순", 『사회이론』 40: 101-127, 2011
17 이종일, "“사회변동과 시민성 논쟁.”", 『사회과교육연구』 25(3): 1-19, 2018
18 교육부, "“입학자원 추계 정책연구.”", 2017
19 오찬호,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개마고원, 2013
20 최선주, "“시험형 인간으로 살아가기.”", 『아시아교육연구』 13(1): 73~103, 2012
21 강창동, "學力 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1): 1-24.8, 2010
22 임연기, "“대학설립 준칙주의 공과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4): 147-167, 2008
23 권성민, 정명선, "“실력주의의 이해와 비판적 고찰", ” 『인문학논총』 30: 439-468, 2012
24 유재용, "『우리는 왜 세습에 열중하는가』", 나남, 2019
25 문정주, 최율,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 『한국사회학』 53(3): 175~215, 2019
26 손흥숙,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2015
27 박혜경, "“대학의 학생선발권 쟁점과 과제.”", 『교육법학연구』 29(2): 71-94, 2017
28 서덕희, "“적정규모 학교라는 담론의 질서.”", 『교육사회학연구』 29(2): 195-233, 2019
29 성열관,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한국교육학회』 53(2): 55-79, 2015
30 경항신문, "년 1월 1일 ~ 2020년 6월 2일. ‘대입제도", 대입정책’ 검색 기사 총 74건, 1990
31 이재선, "“북한의 국가 이데올로기와 언어정책", ” 『언어사실과 관점』 36: 123-166, 2015
32 형정은, "“전문대학 입학제도에 대한 인식분석", ” 『열린교육연구』 27(4): 1-24, 2019
33 박혜경, "“대학교 학생선발권의 범위와 한계.”", 『교육법학연구』 25(2): 53-80, 2013
34 이정표, "“주요국 초등교사 선발제도 비교 연구", ” 『한국비교교육 학회』 23(1): 81-101, 2013
35 왕혜숙, 최우영, "“한국과 대만의 1인 가구 담론 비교.”", 『문화와사회』 25: 255-295, 2017
36 우인수, "“한주 이진상의 현실인식과 경세론.”", 『한국학논집』 60: 115-142, 2015
37 신진욱, "비판적 담론분석과 비판적 해방적 학문", 『경제와 사회』 89: 10-45, 2011
38 김윤경, 임상훈, "“대학에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교육공학 연구』 34(4): 1179-1112, 2018
39 김영욱, "“세월호 침몰은 참사인가? 사고인가?”", 『홍보학연구』 19(4): 83-115, 2015
40 김대기, "“중국 원대 의료관원의 선발과 관리.”", 『의사학』 26(3): 455-502, 2017
41 김병욱, "“질적 연구유형별 정당화 논거 탐색.”", 『교육사회학 연구』 24(1): 55-76, 2014
42 신서인, "“코퍼스를 이용한 담화 분석 방법론.”", 『한국어 의미학』 55: 53-79, 2017
43 김동석, "“학생 선발정책의 특성과 쟁점 분석.”", 『교육연구』 17: 3-26, 2009
44 남진영, 탁병주, "“대학입학 수학 시험 국제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 연구』 26(2): 287-307, 2016
45 김영욱, "“사회 쟁점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커뮤니케이션이 론』 13(4): 40-91, 2017
46 김경용, "『科擧制度와 韓國 近代敎育의 再認識』", 교육과학사, 2005
47 부르디, "(P. Bourdieu). 『파스칼적 명상』. 김응권 역", 동문선, 2001
48 강창동, "“과거제 선발경쟁의 교육사회적 성격.”", 『교육문제연구』 22: 177-240, 2005
49 김은아, "“언론에 나타난 정신장애인 담론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미간행, 2020
50 전경애, "“입학사정관제 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제주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미간행, 2014
51 지정민, "“고대 중국의 교사선발제도: 학관고시.”", 『한국교육사학회』 29(2): 211-230, 2007
52 강홍재, "“일본의 대학입학 시험의 현상과 전망.”", 『한국일본교육학연 구』 23(2): 51-73, 2018
53 강진국, "“조세담론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미간행, 2017
54 신서인, "“코퍼스를 활용한 신문기사 담화 분석.”", 『텍스트 언어학』 39: 111-156, 2015
55 안진현,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8
56 김윤경, 정석환, "“한국 입시교육의 사회사적 의미 고찰.”", 『동아인문 학』 41: 449-476, 2017
57 이혜정, "“교육 공정성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0(3): 853-882, 2019
58 박현숙, 박혜숙, "“교육과정의 변천과 대학수학능력시험.”", 『교육발전』 36(1): 25-43, 2016
59 최인선, "“대만 대학 입학제도의 주요 특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6). 429-449, 2019
60 임창국, "“미국의 공증인 선발 및 양성제도 연구.”", 『형사법의 신동향』 25: 206-276, 2010
61 김필승, "“여성 경찰 선발 및 체력검사제도 고찰.”", 『한국공안행정학 회보』 28(3): 39-70, 2019
62 이두휴, "“대학서열체제의 구조와 해소방안 연구.”", 『교육사회학 연구』 17(3): 131-157, 2007
63 이지영, "“신문사설에 나타난 보육정책 담론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9
64 김은준, "“신자유주의 시대 교육담론과 주체형성.”", 충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2
65 박병락, "“Foucault의 권력-지식론과 그 교육적 의미.”",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01
66 김학실, "“여성고용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자치행정학 보』 29(3): 189-215, 2015
67 정연춘, "년 1월 31일. 「재수생 〈4〉 유형도 가지가지", 」 중앙일보, 1976
68 김윤경, 이진화, "“입학전형 유형별 대학생활 적응 및 성과.”", 『교육문 화연구』 25(1): 317-338, 2019
69 홍정화, "“비판적 담론 분석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정책분석평 가학회보』 23(1): 223-268, 2013
70 백선기, 백은정, "“촛불집회에 대한 보도 경향과 이데올로기.”", 『기 호학 연구』 29: 227-269, 2011
71 김진해, "“코퍼스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 의미 학』 31: 75-104, 2006
72 김용기, "“한국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정책 평가.”", 중앙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미간행, 2017
73 손흥숙, "“유보통합정책 형성과정의 비판적 담론분석”", 『유아교육학 논집』 21(5): 399-419, 2017
74 김정해, "대학입시에서의 기회균등선발효과에 관한 연구", 강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1
75 서민원, "“교원선발제도의 평가학적 검토와 개선과제.”", 『한국교육평가 학회』 20(2): 51-76, 2007
76 박동균, "“미국 경찰관 모집 선발제도의 특징 및 함의.”", 『한국콘텐츠 학회』 11(5): 384-392, 2011
77 이호현, "“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언론정 보학보』 82: 29-71, 2017
78 장수빈, "“초등 도덕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시민교육연구』 51(1): 175-206, 2019
79 서봉언,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교육성과 간 메타분석.”", 『교육사회학 연구』 28(1): 35-62, 2018
80 박태순, "“디지털 뉴미디어와 정치 공론장의 구조변동.”", 정치정보연 구. 11(2): 119-140, 2008
81 강진숙, 이주연, "“청년실업 뉴스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 국방송학보』 32(1): 96-134, 2018
82 김보림, "“최근 한국과 일본의 대학입학시험 비교 연구.”", 『일본문화 연구』 52: 75-100, 2014
83 김자중, "“경성제국대학의 여성입학허용문제 관한 연구.”", 『한국교육 학연구』 24(3): 27-53, 2018
84 박철희, "“대학입학예비고사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고찰.”", 『한국교육 사학회』 36(4): 79-109, 2014
85 김원기, 조민상, "“민간조사제도의 민간조사원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4(1): 87-102, 2012
86 손철성, "“적극적 우대 조치의 정당화 논변에 대한 고찰.”", 『윤리교육 연구』 35: 197-212, 2015
87 려군, "“중국소수민족의 대학입학 우대정책에 관한 연구", ” 『한국 열린교육학회』 24(2): 175-196, 2016
88 오성배,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한국교육 문제연구』 33(1): 1-18, 2015
89 천도정, 황인태, "“법조인 선발제도별 비용분석과 진입유인 분석.”", 『한국회계학회』 25(4): 67-98, 2016
90 차세영, "“조선의 인사임용제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8
91 윤철수, "“대통령 탄핵사건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제주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8
92 김성언, "“치안활동의 구조변동에 대한 담론 지형과 쟁점.”", 『형사정 책연구』 65: 239-300, 2006
93 임영빈, "“19세기 말 조선 시대 사회 변동과 집합 의식 변화.”", 『현 상과인식』 40(1, 2): 97-121, 2016
94 김경회, "“AP와 IBDP의 대학입학전형자료로 활용가능성 탐색.”", 『교 육문화연구』 22(4): 135-156, 2016
95 김호원, "“노란 조끼 시위에 대한 프랑스 미디어 보도 분석.”", 『불 어불문학연구』 119: 215-242, 2019
96 정희모, "“비판적 담화 분석의 문제점과 국어교육에의 적용.”", 『작문 연구』 35: 161-194, 2017
97 박상완, "“프랑스 대학입학제도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분석.”", 『비교 교육연구』 26(4): 1-30, 2016
98 이황우,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경찰학회보』 5(2): 175-202, 2003
99 홍종윤, "“방송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연구.”", 『한 국방송학보』 25(3): 349-394, 2011
100 심규성,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변화와 스포츠복지개념 형성.”", 한국 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2
101 윤소정, "“국내 대학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실태와 확보방안.”", 『한국수산해양교육』 27(1): 74-82, 2015
102 강창동, "한국 대학입시제도의 사회사적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28: 83-113, 2007
103 이수정, "“대입제도의 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교 육재정경제연구』 20(1): 121-141, 2011
104 이민희, "“대학입학시험 문학능력 평가의 비판적 검토 및 과제.”", 『국 어교육연구』 66: 271-310, 2018
105 이지은, "“경찰 통역인 선발제도 개선 및 교육 필요성에 관한 소고", ” 『통역과 번역』 21(2): 169-193, 2019
106 이원석, "“입학사정관전형의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에 관한 연구.”", 『교 육문제연구』 28(2): 261-283, 2015
107 강창완, "“D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합격생들의 학교 충성도 연 구.”", 『한국자료분석학회』17(2): 767-774, 2015
108 최민호, "“중국사회변동이 조선족 주거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지』 52: 285-312, 2017
109 부르디, "(P. Bourdieu).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최종철 역", 새물결, 2005
110 이광호, "“근대 한국사회의 학력주의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Ⅰ)”", 『정신문화연구』 17(3): 151-183, 1994
111 윤웅장, "“보호관찰공무원의 선발제도 및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 『보호관찰』 7(2): 107-147, 2007
112 김혜영, "“신문 사설의 비판적 담화분석을 위한 언어적 기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13
113 이민경, "“정시 확대를 둘러싼 대학입시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동향과 전망』 108: 9-45, 2020
114 강진숙,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질적 방법론』", 지금, 2016
115 김영욱, 함승경, "“담론경쟁을 통한 PR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차원 확 대 연구.”", 『홍보학연구』 18(1): 276-319, 2014
116 손충기, "“한국의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변천과정 및 발전방향 탐색.”", 『교육연구』 22: 17-42, 2003
117 배상목, 한미현, "“대학입학유형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1): 46-53, 2015
118 김복영, 이가기, "“王雅玄의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 (CDA) 모형 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3): 66-76, 2019
119 전경희, "“대학 입학전형 인성평가 요소에 대한 예비대학생의 인식 분석.”", 『교육문화연구』 23(5): 199-221, 2017
120 권순정, 유성상, "“비판적 미디어 담론 분석을 통한 혁신학교 언론보도 비교연구.”", 『교육과학연구』 47(3): 75-107, 2016
121 고동우, "“인사선발 제도로서 인턴십이 직무 태도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15(2): 23-38, 2009
122 송경자, "“학업성취가 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사학위논문. 미간행, 1997
123 최희경, "“미국 대학입학정책에서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위헌성여 부.”", 『세계헌법연구』 25(2): 97-129, 2019
124 전홍주,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39(2): 51-78, 2018
125 최봉제, "“대학입학경쟁과 사교육: 공교육 강화와 교육비 보조 정 책의 효과.”", 『경제학연구』 64(2): 5-31, 2016
126 김미원, "“대학입학전형 관련 요인에 따른 간호학과 1학년의 학 업성취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20(4): 596-605, 2014
127 정제영, "“고른기회전형 입학생의 대학입학 및 적응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4(1): 87-116, 2017
128 박휴용, "“자유학기제 실행 과정에서의 정체성 갈등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교육과정연구』 33(3): 1-27, 2015
129 나경식, 이지수, "“신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본 국내 정보화의 경향 과 도서관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18(9): 14-33, 2018
130 박승민, 변복수,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입학 후 대학생활 적 응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문제연구』 27(1): 29-56, 2014
131 이현우, 조명희,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전공계열별 신입생의 학 습역량 차이 분석.”", 『한국진로교육연구』 27(3): 163-179, 2014
132 송지은,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학연구』 24(2): 221-250, 2017
133 배구택, "“온라인 육아커뮤니티에 나타난 미세먼지 담론형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 393-406, 2019
134 권용재, 이광현,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과 일반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 27(2): 23-47, 2014
135 서부원, "년 9월 21일. 「아이들이 ‘학종’보다 ‘수능’선호한다고 말하는 진짜 이유", 」 오마이뉴스, 2019
136 윤혜경, 이경민,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혁명 담론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적 함의.”", 『한국유아교육학과』 37(3): 137-155, 2017
137 윤회정, "“학습자 특성과 대학입학전형요소에 따른 사교육에 대 한 인식 및 현황 비교.”", 『교육문화연구』 23(4): 25-56, 2017
138 이기혜, 최윤진,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 가정배경 및 학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연구』 22(1): 135-163, 2016
139 김평원, "“대입제도의 공정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학생부종합전형 의 개선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24(3): 105-126, 2018
140 양은목, "“대학입학전형유형별 신입생의 입학 후 대학생활 비교 연구 –K대학 사례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4(4): 437-448, 2016
141 김지연, 박소영, "“대입 전형 간소화 정책 이후 한국 고등학생의 대학 입학 준비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4(5): 69-95, 2016
142 이수정,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2015
143 최정욱, "“미국 텍사스의 내신 상위 10% 자동입학제와 지역격차 해 소를 위한 대학입학정책.”", 『기억과 전망』 37: 238-276, 2017
144 이수정, 조원기,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 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673-700, 2016
145 손병권, "“대통령 선거의 정당후보 선발제도: 미국. 대만. 멕시코의 예비선거 도입과정과 비교.”", 『한국정당학회보』 8(1): 169-196, 2009
146 이숙의, 진두현, "“코퍼스를 이용한 ‘호남’과 ‘영남’지역 신문에서의 ‘5.18’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한국어학』 76: 83-112, 2017
147 강충서, 윤민종, "“대학은 성적순? 대학 입학에 있어 언더매칭 현상 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관계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28(4): 1-29, 2018
148 이혜연,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9(2): 109-127, 2016
149 조영권,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대학입학유형, 학업성취도, 대학생 활만족도의 상관관계에 관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124-131, 2016
150 김태영, 차경환, "“입학전형별 사범대학 학생들의 전공. 교직. 교양 수업에서의 학습 태도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한국교육문제연구』 32(2): 133-153, 2014
151 김천기, "“대학 입학사정관전형의 편향성: 서울대 입학전형에서의 잠 재력. 환경. 다양성 교육의 의미 구성.”", 교육사회학연구. 29(3): 37-59, 2019
152 김경화, "“4년제 대학교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청각 장애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조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6(3): 187-202, 2015
153 김천기, "“사회적 불평등 맥락에서 본 대학입학 기회배분의 주류적 공정성 모델 한계와 대안적 공정성 모델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25(4): 1-24, 2015
154 백승희, "“대학 입학생의 대학생활 성과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여부를 중심으로.”", 『아시아 교육연구』 17(1): 251-28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