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과불안척도(DFS)에 근거한 치과공포 연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Dental Anxiety Based on Dental Fear Scale (DF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9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치과공포는 주로 과거의 부정적인 치과 치료 경험에 기인하여 치과 방문 시 중재되지 않은 불안과 두려움의 감정을 의미하며, 성인에서는 치과치료의 필요함을 인식함에도 불구...

      연구목적: 치과공포는 주로 과거의 부정적인 치과 치료 경험에 기인하여 치과 방문 시 중재되지 않은 불안과 두려움의 감정을 의미하며, 성인에서는 치과치료의 필요함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진료회피로 이어져 구강건강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치과공포 및 불안 수준을 측정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Kleinknecht's의 치과 공포 척도(Dental Fear Survey scale)를 이용하였고, SPSS 21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과공포도가 높을수록 "치과병원 문을 열고 들어설 때 두려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의자에 낮아 치료를 기다릴 때 두려움", "치과의사를 쳐다볼 때 두려움", "치과기구가 돌아가는 소리가 들릴 때 두려움", "치과 진료실에서 병원 냄새가 날 때 두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고안: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는 환자가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을 이해하여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치과 불안에 대한 여러가지 중재법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Dental fear is a feeling of anxiety and fear without intervention during a dental visit, mainly due to past negative dental treatment experiences, and in adults, despite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dental treatment, it can lead to avoid...

      Objective: Dental fear is a feeling of anxiety and fear without intervention during a dental visit, mainly due to past negative dental treatment experiences, and in adults, despite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dental treatment, it can lead to avoidance of dental treatment,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of oral health.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 in some adult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and their causes. Methods: This study used Kleinknecht's Dental Fear Survey scale and the SPSS 21 program (IBM SPSS Statistics 21) was used for analysis. Result: When the dental fear was the higher, the "access to the dental clinic"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sitting in dental unit chair" and "smell of dental clinic" in that order. Conclusions: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fear, anxiety, and concerns of the dentist office and to find various ways to provide systematic medical servi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