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 현황 및 결과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3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6~2018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들의 현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영화 프로젝트는 일반회사채와 이익참가부사채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분석기간 동안 전체 채권 중...

      본 연구는 2016~2018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들의 현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영화 프로젝트는 일반회사채와 이익참가부사채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분석기간 동안 전체 채권 중 41.5%인 95억원이 발행되어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대상 영화의 손익분기점과 관객 수를 t-test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평균값은 관객 수가 손익분기점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중개업자는 영화의 손익분기점 달성 가능성과 투자설명서상 영화 흥행 요소 관련 사항 작성 여부에 대한 검토를 강화해야 하며, 흥행 가능성이 높은 대작 영화들에 대한 프로젝트도 적극 유치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아직 국내 연구가 많지 않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에 대해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와 제도 개선 과정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results of equity crowdfunding film projects from 2016 to 2018. The film project is conducted in the form of general corporate bonds and participating bonds, and 41.5% of the total bonds were issued, 9.5 billion won....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results of equity crowdfunding film projects from 2016 to 2018. The film project is conducted in the form of general corporate bonds and participating bonds, and 41.5% of the total bonds were issued, 9.5 billion won. In addition, a t-test analysis of the movies the breakeven point and audience number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verage number of audience members was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equity crowdfunding film project. Equity crowdfunding brokers should reinforce the review of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breakeven point of the film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in the investment manual, and should also actively attract projects on the big films that are likely to be successfu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equity crowdfunding film project, which has not yet been widely studied in Korea, and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the subsequent research and system improvement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 현황 및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크라우드펀딩 영화 프로젝트 현황 및 결과
      • Ⅳ. 시사점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원, "한국형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연구" 102-124, 2014

      2 김상호, "한국 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 분석: 2012년 개봉 상업영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191-214, 2014

      3 왕빈신, "한국 개봉 미국 제외 외국 영화 흥행 결정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6 (16): 96-105, 2016

      4 금융위원회, "크라우드펀딩 출범 및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 영업개시 -’16. 1월 25일 크라우드펀딩 창조경제의 날개를 달다"

      5 금융위원회, "크라우드펀딩 주요 동향 및 향후 계획" 2019

      6 곽현, "크라우드펀딩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1 (21): 3-19, 2014

      7 전성민,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의 벤처창업 활용에 관한 연구: 정보재(Information Goods)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97-105, 2014

      8 천혜숙, "창의적 프로젝트와 후원형 크라우드펀딩:성공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60-569, 2015

      9 고용기,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창조 경제활성화와 국민상상 실현을 위한 새로운 투자방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10 정주영,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설명서 형태소분석을 통한 투자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18 (18): 165-182, 2019

      1 임지원, "한국형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연구" 102-124, 2014

      2 김상호, "한국 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 분석: 2012년 개봉 상업영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191-214, 2014

      3 왕빈신, "한국 개봉 미국 제외 외국 영화 흥행 결정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6 (16): 96-105, 2016

      4 금융위원회, "크라우드펀딩 출범 및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 영업개시 -’16. 1월 25일 크라우드펀딩 창조경제의 날개를 달다"

      5 금융위원회, "크라우드펀딩 주요 동향 및 향후 계획" 2019

      6 곽현, "크라우드펀딩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1 (21): 3-19, 2014

      7 전성민,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의 벤처창업 활용에 관한 연구: 정보재(Information Goods)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97-105, 2014

      8 천혜숙, "창의적 프로젝트와 후원형 크라우드펀딩:성공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60-569, 2015

      9 고용기,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창조 경제활성화와 국민상상 실현을 위한 새로운 투자방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10 정주영,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설명서 형태소분석을 통한 투자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18 (18): 165-182, 2019

      11 박승현, "영화의 흥행성과와 제작비 규모와의 관계 : 2011년 한국영화의 흥행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1 (51): 45-79, 2012

      12 김현정, "영화 생산자 중심으로 본 크라우드 펀딩의 실태" 한국영화학회 (73) : 205-241, 2017

      13 천창민, "미국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규제와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2015

      14 김지환, "다양성 영화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 운영 전략" 한국지역문화학회 2 (2): 19-42, 2015

      15 박현정, "기부형 크라우드펀딩의 성공 요인 :도너스츄즈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15 (15): 1-19, 2016

      16 박혜진,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2019

      17 정주영,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전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16년 이후 현황 및 제도 개선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34 (34): 77-98, 2019

      18 "https://www.crowdnet.or.kr/"

      19 S. Chen, "What Really Makes a Promotional Campaign Succeed on a Crowdfunding Platform? : Guilt, Utilitarian Products, Emotional Messaging, And Fewer But Meaningful Rewards Drive Donations" 56 (56): 81-94, 2016

      20 L. Collins, "The venture crowd : crowdfunding equity investments into business" Nesta 2012

      21 G. K. Ahlers, "Signaling in equity crowdfunding" 39 (39): 955-980, 2015

      22 E. Kirby, "Crown-funding:An Infant Industry Growing Fast" IOSCO 2014

      23 이채린, "Crowdfunding 활성화를 위한 투자자 동기요인 분석 : 후원형(Reward) 플랫폼의 투자자(Funder)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0 (20): 137-151, 2015

      24 G. Burtch,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ntribution patterns in crowd-funded markets" 24 (24): 499-519, 2013

      25 J. Hemer, "A snapshot on crowdfunding(No. R2/2011) , Working papers firms and region"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