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개발: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구체적 기준 = Development of Quality Indicators for Disability-Awareness Programs in Workplaces: Specific Criteria for Positive Perceptions of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6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요구되는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향상을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quality indicat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요구되는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향상을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quality indicato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법제화된 것에 비해 질 높은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실행 실태조사, 정기적 점검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엄격한 연구는 미미한 경향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연구자들의 선행문헌 분석 및 예비문항 작성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가 4가지 하위영역의 25개 지표로 최종 개발되었다. 둘째, 최종 25개 질적 지표의 내용타당도 값(CVR 값)이 모두 0.73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렴도는 0.00-0.50, 합의도는 0.77-1.00으로 전문가들 사이의 25개 질적 지표 내용에 대한 높은 타당도와 합의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연구에 기초해 최초로 개발된 25개 질적 지표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현재와 미래의 질 높은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개발, 선택 및 실시를 위해 최소한의 질적 기준과 지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전문가 패널로부터 최소한의 합의점을 처음으로 이끌어낸 의의가 있다. 이에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4가지 하위영역: ‘교육목표 및 기대효과’, ‘장애에 대한 관점’,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의 25개 질적 지표에 기반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를 향한 프로그램 질 제고를 촉구할 것이 기대되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성과로 기대하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란 과연 ‘무엇인지’ 구체적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경 ; 박승희,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34, 2018

      2 박승희 ; 홍주희 ; 정지희 ; 이성아 ; 이영주,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167-203, 2019

      3 한경인 ; 남혜진 ; 이현주 ; 박승희,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4 박승희 ; 홍정아,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개념화와 적용에서의 쟁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49-83, 2009

      5 박자경,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6 김용탁,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 평가 및 사업주 이행지도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7 노혜영 ; 박승희, "지적장애인의 4년차 지원고용 평가에 대한 질적 연구 - 근로자, 상사, 동료 및 직무지도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235-271, 2013

      8 허일권 ; 김민아 ; 정상미, "지역사회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1 (51): 39-71, 2020

      9 박승희 ; 김유진 ; 이성아 ; 정지희,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161-194, 2020

      10 박승희 ; 김지수 ; 이성아 ; 양여경,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 법학연구소 60 (60): 195-233, 2019

      1 김유경 ; 박승희,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34, 2018

      2 박승희 ; 홍주희 ; 정지희 ; 이성아 ; 이영주,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167-203, 2019

      3 한경인 ; 남혜진 ; 이현주 ; 박승희,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4 박승희 ; 홍정아,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개념화와 적용에서의 쟁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49-83, 2009

      5 박자경,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6 김용탁,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 평가 및 사업주 이행지도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7 노혜영 ; 박승희, "지적장애인의 4년차 지원고용 평가에 대한 질적 연구 - 근로자, 상사, 동료 및 직무지도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235-271, 2013

      8 허일권 ; 김민아 ; 정상미, "지역사회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1 (51): 39-71, 2020

      9 박승희 ; 김유진 ; 이성아 ; 정지희,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161-194, 2020

      10 박승희 ; 김지수 ; 이성아 ; 양여경,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 법학연구소 60 (60): 195-233, 2019

      11 방귀희 ; 권선진, "장애인지 감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일상생활에서의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3 (23): 61-89, 2019

      12 박승희 ; 염지혜 ; 이현주, "장애인의 날이 포함된 4월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인 이미지의 30년(1990-2020)간 변화 추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1 (31): 165-202, 2021

      13 남용현, "장애인식개선교육 개선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14 이대식,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 33 (33): 113-136, 2013

      15 우충완, "장애인식 관련 연극수행활동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입장과 견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23-46, 2017

      16 박승희 ; 나수현,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8 (8): 55-84, 2009

      17 김용탁,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6

      18 김대규, "장애인 고용 인식개선을 위한 EDI 행동프로그램Ⅱ개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19 Berger, R. J., "장애란 무엇인가?: 장애학 입문" 학지사 2016

      20 김유경 ; 박승희, "장애관련전문가 5가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121-147, 2019

      21 한연주 ; 김용회, "장애관련 경험 및 장애관련 교육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S시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253-273, 2018

      22 최웅선, "장애 인식개선 교육제도의 법률 제ㆍ개정 경과 및 법적 개선방안—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법학회 (34) : 237-269, 2018

      23 박승희, "장애 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7-65, 2004

      24 김성애, "우리나라 장애이해교육의 의미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53-73, 2014

      25 우충완, "수직적 역지사지, 수평적 동병상련: 비/장애체험활동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3-45, 2015

      26 박광옥 ; 이동석 ; 우미정, "수정 IPA를 활용한 장애 인식개선 교육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시⋅도 및 시⋅군⋅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소 64 : 181-207, 2020

      27 변민수, "사업주의 장애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0

      28 이성아 ; 박승희,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 직무 환경에서 사회적 통합의 의미와 사회적 통합 증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71-206, 2020

      29 허순자, "문화 역사적 관점에서의 “장애 이해”"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3-40, 2010

      30 신현기,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07-133, 2014

      31 박광옥 ; 이현주 ; 김경선 ; 박희찬, "델파이 분석을 통한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 활성화 과제 탐색"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93-116, 2020

      32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6

      33 채영문 ; 이성주,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지식 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소 22 (22): 1-28, 2020

      34 박승희, "대학교 환경에서 지적장애인의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내용과 절차 및 성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93-127, 2010

      35 남혜진 ; 박승희, "다양성 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 문화적 민감성 및 장애수용 태도에 미친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3 (13): 53-76, 2014

      36 정남해, "노인의 상황인식 측정을 위한 항목개발: 델파이조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4 (14): 69-78, 2020

      37 최현주 ; 박일수 ; 설양환 ; 하문선, "교육실습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교육실습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연구" 한국교육학회 58 (58): 151-180, 2020

      38 이성규 ; 양숙미,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 인식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1) : 301-320, 2009

      39 이동석, "‘장애 인식개선 교육’모니터링 및 운영교재개발연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국가인권위원회 2019

      40 Baglieri, S., "Undoing ableism: Teaching about disability in K-12 classrooms" Routledge 2022

      41 Chae, S., "School-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 meta-analysis" 66 (66): 343-361, 2019

      42 Valle, J. W., "Rethinking disability: A disability studies approach to inclusive practices" Routledge 2019

      43 Bailey, A., "Polic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An evaluation of awareness training" 45 (45): 344-350, 2001

      44 Christensen-Strynø, M. B., "Mainstreaming and misfitting : Exploring disability and its intersection with gender in online disability awareness-raising videos" 32 (32): 58-75, 2016

      45 Bialka, C. S., "Life after LEAD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what members learned from a collegiate disability awareness group" 43 (43): 415-430, 2018

      46 Mueller, C., "Expanding disability awareness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rough an online course" 32 (32): 199-208, 2019

      47 Swanepoel, L., "Education and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of front line hospitality staffin selected hotels in the Cape Winelands" 9 (9): 402-417, 2020

      48 진홍섭 ; 김대규, "EDI 행동프로그램이 장애인 고용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75-96, 2011

      49 Symeonidou, S., "Disability studies as a framework to design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 No need for‘magic’to facilitate children’s understanding" 33 (33): 1234-1258, 2018

      50 Baglieri, S, "Disability studies and the inclusive classroom: Critical practices for embracing diversity in education" Routledge 2017

      51 Roth, D., "Disability awareness, training and empowerment: A new paradigm for raising disability awareness on a university campus for faculty, staff, and students" 6 (6): 116-124, 2018

      52 Lundälv, J., "Disability awareness arena in Sweden:Voices of learning toward community facilities, universal design and disability perspective" 39 (39): 217-235, 2021

      53 Murry, J. W., "Delphi :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18 (18): 423-436, 1995

      54 Hunt, C. S., "Changing attitud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Experimenting with an educational intervention" 16 (16): 266-280, 2004

      55 Beckett, A. E., "Anti-oppressive pedagogy and disability :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17 (17): 76-94, 2015

      56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57 보건복지부, "2022년 장애인식개선교육 안내"

      58 보건복지부, "2021년 장애인식개선교육 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