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경찰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아닌,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송에 대한 경찰관들의 두려움과 요구(needs)를 파악하여 대응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2825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7-152(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찰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아닌,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송에 대한 경찰관들의 두려움과 요구(needs)를 파악하여 대응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
이 연구는 경찰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아닌,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송에 대한 경찰관들의 두려움과 요구(needs)를 파악하여 대응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 인천, 전라, 충청권역의 경찰서를 임의로 선정하여 이들 경찰서에 근무하는 남녀 경찰관을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653명의 설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설문의 내용은 직무관련소송 경험 여부 및 두려움, 피소의 원인, 직무관련 소송의 문제점, 예방방안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경찰관들은 소송을 제기당하는 주된 이유로 법집행 절차 및 정책의 모호성 때문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소송으로 인한 문제점 중 가장 중대한 것은 경찰 사기의 저하 및 경찰관의 심리적 스트레스라고 답하였다. 또한 직무관련 소송의 두려움을 평균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직무수행을 했음에도 불구 소송을 제기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직무수행관련 소송의 예방방안으로 명확한 법집행 절차 및 가이드라인마련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needs of the police office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rather than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police officer's job-related litig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police job-related li...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needs of the police office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rather than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police officer's job-related litig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police job-related litigation, police stations in Gyeonggi, Incheon, Jeolla, Chungcheong region were randomly selected to randomly sample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and conduct self-reporting survey. Surveys of 653 police officers were utilized in actual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survey are composed of litigation experience and fear, cause of litigation, prevention measures regarding job-related litig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olice officers were more than average (3.11) in fear of job related litigation. It is also highly perceived(3.58)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litigation even though they have performed their duties properly. Also, police officers answered the major cause of job-related litigation was the ambiguity of law enforcement process and policy. Also, they answered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of litigation influencing police organization is demoralization of police. Among the prevention measures of job-related litigation, the police officers evaluated necessity of clear law enforcement process and preparation of guideline the highes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욱, "현장 경찰 법률지원팀 구축 방안 연구" 경찰청 2013
2 박정훈, "행정부작위와 국가배상책임의 구조적 해석" 한국토지공법학회 63 : 163-196, 2013
3 제갈돈,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경찰의 역" 한국공안행정학회 (20) : 415-443, 2005
4 김태진, "경찰활동의 하자와 국가배상책임-적극적 경찰활동기법과 미국의 배상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2) : 259-288, 2006
5 양창수, "경찰관의 위법한 직무집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05
6 Archbold, C. A., "Studying Civil Suits Against the Police: A Serendipitous Finding of Sample Selection Bias" 5 (5): 222-249, 2002
7 Novak, K. J., "Strange bedfellow: Civil liability and aggressive policing" 26 : 352-368, 2003
8 Hughes, T., "Police officers and civil liability:“The ties that bind”?" 24 : 240-262, 2001
9 Garrison, A. H., "Law Enforcement Civil Liability under Federal Law and Attitudes on Civil Liability: A Survey of University, Municipal and State Police Officers" 18 (18): 19-37, 1995
10 Schrader, G. E., "Firearms Training/Civil Liability:Is Your Training Documentation Sufficient?" 57 (57): 1-3, 1988
1 이용욱, "현장 경찰 법률지원팀 구축 방안 연구" 경찰청 2013
2 박정훈, "행정부작위와 국가배상책임의 구조적 해석" 한국토지공법학회 63 : 163-196, 2013
3 제갈돈,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경찰의 역" 한국공안행정학회 (20) : 415-443, 2005
4 김태진, "경찰활동의 하자와 국가배상책임-적극적 경찰활동기법과 미국의 배상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2) : 259-288, 2006
5 양창수, "경찰관의 위법한 직무집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05
6 Archbold, C. A., "Studying Civil Suits Against the Police: A Serendipitous Finding of Sample Selection Bias" 5 (5): 222-249, 2002
7 Novak, K. J., "Strange bedfellow: Civil liability and aggressive policing" 26 : 352-368, 2003
8 Hughes, T., "Police officers and civil liability:“The ties that bind”?" 24 : 240-262, 2001
9 Garrison, A. H., "Law Enforcement Civil Liability under Federal Law and Attitudes on Civil Liability: A Survey of University, Municipal and State Police Officers" 18 (18): 19-37, 1995
10 Schrader, G. E., "Firearms Training/Civil Liability:Is Your Training Documentation Sufficient?" 57 (57): 1-3, 1988
11 Scogin, F., "Fear of litigation among law enforcement officers" 10 (10): 41-45, 1991
12 Ross, D. L., "Emerging trends in police failure to train liability" 23 (23): 169-193, 2000
13 Kappeler, V.E., "Critical issues in police civil liability" Waveland Press 2006
14 Vaughn, M. S., "Assessing legal liabilities in law enforcement: Police chiefs’views" 47 : 3-27, 2001
15 Fishel, J., "A Quantitative Analysis of Wrongful Death Lawsuits Involving Police Officers in the United States: 1995-2005" 10 (10): 455-471, 2007
법원의 心神障碍人 판단경향과 시사점 -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효율적인 최면수사를 위한 단축형 최면감수성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 HGSHS-K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1.05 | 1.468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