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돼지 피부를 이용한 시체 피부 잠재지문 현출실험 = Discovering Latent Fingerprints from Skin of Carcass using Pig Sk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6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체의 피부에 유류된 용의자의 지문을 현출하는 것은 수사관의 능력이며 이렇게 현출된 지문은 사건해결에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피부에 유류된 잠재지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특히 실제 시체를 이용하여 지문현출실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피부와 해부 생리학적으로 가장 유사한 돼지피부를 이용하여 피부에 유류된 잠재지문 현출법을 적용해보았다. 분말법(Powder method)과 전사법(Transfer method), 시약법(Reagent method)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적용환경은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권장하는 실내 환경 매뉴얼의 조건에 따라 실험하였다. 분말법의 경우 magnetic powder에 비하여 흑색(형광)분말의 입자가 수분에 영향을 덜 받았으나, 선명도에 있어서 흑색(형광)분말은 magnetic powder보다 가시성이 떨어졌다. 또한 black magnetic powder보다는 fluorescent magnetic powder의 선명도가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사법은 분말과 Ruthenium tetroxide(이하 RTX)를 이용하여 kromekote, glossy paper, 금전등록기용 감열지(이하 thermal paper), slide glass에 적용하였으며, 분말의 적용에 있어서는 kromekote와 thermal paper가, RTX의 적용에 있어서는 kromekote에서 보다 나은 융선이 관찰되었다. 시약법은 Cyano acrylate(이하 CA)와 RTX, Sudan black을 적용하였으며, CA 적용 시에는 자연증발법이 Fuming gun(CYANOWAND)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주었다. RTX는 적용 후 UV조사를 통해 최대 72시간까지 융선 관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Sudan black의 경우 융선 관찰은 이루어지나 그 식별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사건현장에서 시체에 대한 지문현출을 활성화하여 사건해결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번역하기

      시체의 피부에 유류된 용의자의 지문을 현출하는 것은 수사관의 능력이며 이렇게 현출된 지문은 사건해결에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피부에 유류된 잠재지문에 대한 연...

      시체의 피부에 유류된 용의자의 지문을 현출하는 것은 수사관의 능력이며 이렇게 현출된 지문은 사건해결에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피부에 유류된 잠재지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특히 실제 시체를 이용하여 지문현출실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피부와 해부 생리학적으로 가장 유사한 돼지피부를 이용하여 피부에 유류된 잠재지문 현출법을 적용해보았다. 분말법(Powder method)과 전사법(Transfer method), 시약법(Reagent method)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적용환경은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권장하는 실내 환경 매뉴얼의 조건에 따라 실험하였다. 분말법의 경우 magnetic powder에 비하여 흑색(형광)분말의 입자가 수분에 영향을 덜 받았으나, 선명도에 있어서 흑색(형광)분말은 magnetic powder보다 가시성이 떨어졌다. 또한 black magnetic powder보다는 fluorescent magnetic powder의 선명도가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사법은 분말과 Ruthenium tetroxide(이하 RTX)를 이용하여 kromekote, glossy paper, 금전등록기용 감열지(이하 thermal paper), slide glass에 적용하였으며, 분말의 적용에 있어서는 kromekote와 thermal paper가, RTX의 적용에 있어서는 kromekote에서 보다 나은 융선이 관찰되었다. 시약법은 Cyano acrylate(이하 CA)와 RTX, Sudan black을 적용하였으며, CA 적용 시에는 자연증발법이 Fuming gun(CYANOWAND)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주었다. RTX는 적용 후 UV조사를 통해 최대 72시간까지 융선 관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Sudan black의 경우 융선 관찰은 이루어지나 그 식별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사건현장에서 시체에 대한 지문현출을 활성화하여 사건해결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시체피부의 특성과 지문 현출법
      • Ⅲ. 실험조건
      • Ⅳ. 결과 및 고찰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시체피부의 특성과 지문 현출법
      • Ⅲ. 실험조건
      • Ⅳ. 결과 및 고찰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isher, B. A., "현장감식과 수사 CSI" 수사연구사 2006

      2 Saferstein, R., "수사와과학 법과학에 대한 소개" 한림원 2005

      3 이회일, "생체피부에서의 잠재지문 현출" 한국분석과학회 21 (21): 222-228, 2008

      4 Gardner, R. M., "범죄현장의 재구성(범죄현장 감식기법)" 형사정책연구원 2010

      5 환경부, "권장 주택실내 공기관리를 위한 매뉴얼"

      6 Knight, M. T., "The Use of Ardrox® and Fingerprint Powder to Recover Latent Fingerprints from Pig Skin" 2006

      7 Laforte, M. F., "The Libby Miller Case" 2012

      8 Sampson, W. C., "Recovery of Latent Prints from Human Skin. Sampson" 55 (55): 362-385, 2005

      9 Peak, P., "PPWC Session Report : Tom Adair on Fingerprinting" 2012

      10 Trapecar, M., "Lifting techniques for finger marks on human skin previous enhancement by Swedish Black powder - A preliminary study" 49 : 292-295, 2009

      1 Fisher, B. A., "현장감식과 수사 CSI" 수사연구사 2006

      2 Saferstein, R., "수사와과학 법과학에 대한 소개" 한림원 2005

      3 이회일, "생체피부에서의 잠재지문 현출" 한국분석과학회 21 (21): 222-228, 2008

      4 Gardner, R. M., "범죄현장의 재구성(범죄현장 감식기법)" 형사정책연구원 2010

      5 환경부, "권장 주택실내 공기관리를 위한 매뉴얼"

      6 Knight, M. T., "The Use of Ardrox® and Fingerprint Powder to Recover Latent Fingerprints from Pig Skin" 2006

      7 Laforte, M. F., "The Libby Miller Case" 2012

      8 Sampson, W. C., "Recovery of Latent Prints from Human Skin. Sampson" 55 (55): 362-385, 2005

      9 Peak, P., "PPWC Session Report : Tom Adair on Fingerprinting" 2012

      10 Trapecar, M., "Lifting techniques for finger marks on human skin previous enhancement by Swedish Black powder - A preliminary study" 49 : 292-295, 2009

      11 Wilkinson, D., "Iodine & a-Naphthoflavone for Visualising Fingerprints on Human Skin" 2003

      12 Trapecar, M., "Fingerprint recovery from human skin surfaces" 47 : 136-140, 2007

      13 Flynn, K., "Evaluation of Iodine-Benzoflavone and Ruthenium Tetroxide Spray Reagents for the Detection of Lantent Fingermarks at the Crime Scene" 49 (49): 2004

      14 King, W. R., "Effects of Differential Cyanoacrylate Fuming Times on the Development of Fingerprint on Skin" 59 (59): 537-544, 2009

      15 "Developing Fingerprints on Human skin(RTX)"

      16 Seguin, T. J., "A Study of Iodine & RTX method, A comparative study of Iodine and ruthenium tetroxide fingerprint development methods, In MOIA Newletter" CCSI National University 2012

      17 Feldman, M.A., "A New Method for Recovering Latent Fingerprints from Skin" JFSCA 27 (27): 806-811, 1982

      18 Reichardt, G. J., "A Conventional Method for Lifting Latent Fingerprints from Human Skin Surfaces" JFSCA 23 (23): 135-141,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