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사회들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 의무를 강조해왔다. 그리고 자녀가 왜 부모에게 효를 행해야 하는가의 이유나 근거를 다루는 논변도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사회들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 의무를 강조해왔다. 그리고 자녀가 왜 부모에게 효를 행해야 하는가의 이유나 근거를 다루는 논변도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효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사회들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 의무를 강조해왔다. 그리고 자녀가 왜 부모에게 효를 행해야 하는가의 이유나 근거를 다루는 논변도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효 의무의 근거에 관한 논의는 주로 호혜성, 우정, 부모의 필요(need)나 취약성, 관습이나 사회적 약속, 부모-자녀의 특수 관계에서의 특수 선 등을 통해 전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1) 이러한 논의들에서 밝힌 효 의무의 이론적 근거를 비교하고, 2) 각각의 논의들이 지닌 장단점을 평가해서, 오늘날 서구화된 현대사회에서 우리의 전통적 효 의무의 근거를 어떻게 조화롭게 수용할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long time, all societies have emphasized filial piety on parent. And There have been presented various arguments about rationale why children must do filial piety to their parent. Arguments about rationale of filial piety were mainly stated...
From the long time, all societies have emphasized filial piety on parent. And There have been presented various arguments about rationale why children must do filial piety to their parent. Arguments about rationale of filial piety were mainly stated through reciprocity, friendship, need of parent, social custom, and special good in parent-children relation. In this paper, I search for two themes, 1) comparison on rationale of filial piety, 2) how to receive rationale of filial piety. But these arguments about filial piety have lots of limitation. They focus on individual level, and too theoretical or abstract to be lack of possibility of practice. As complemental alternatives to strength practice, I present institutionalization of legal or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strengthening of filial piety education or activities programs. These complemental alternatives will contribute to build more comprehensive filial piety model, and enlarge capability of filial piety prac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무, "효 윤리의 형성과 철학적 근거" 동양철학연구회 29 : 293-312, 2002
2 최문기, "현대사회에서 부모부양의 내실화 방안" 한국효학회 (15) : 1-30, 2012
3 황경식, "충효사상의 현대적 의의 : 효도의 의무와 그 정당 근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2 : 2001
4 옥정희,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 의무에서 성숙의 차원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4 (14): 1996
5 최정묵, "인간다움에 대한 공자의 논변" 한국동서철학회 (39) : 43-64, 2006
6 윤무학, "先秦 儒家의 五倫과 父子 倫理" 동양철학연구회 (47) : 247-278, 2006
7 최문기,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성과 및 후속 과제" 한국효학회 (16) : 99-129, 2012
8 최문기, "‘효제’의 확장과 보편윤리 : 공·맹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효학회 (14) : 1-18, 2011
9 최문기, "‘효’ 의무의 윤리학적 근거" 한국효학회 (13) : 1-22, 2011
10 Plato, "The Laws of Plat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 임수무, "효 윤리의 형성과 철학적 근거" 동양철학연구회 29 : 293-312, 2002
2 최문기, "현대사회에서 부모부양의 내실화 방안" 한국효학회 (15) : 1-30, 2012
3 황경식, "충효사상의 현대적 의의 : 효도의 의무와 그 정당 근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2 : 2001
4 옥정희,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 의무에서 성숙의 차원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4 (14): 1996
5 최정묵, "인간다움에 대한 공자의 논변" 한국동서철학회 (39) : 43-64, 2006
6 윤무학, "先秦 儒家의 五倫과 父子 倫理" 동양철학연구회 (47) : 247-278, 2006
7 최문기,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성과 및 후속 과제" 한국효학회 (16) : 99-129, 2012
8 최문기, "‘효제’의 확장과 보편윤리 : 공·맹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효학회 (14) : 1-18, 2011
9 최문기, "‘효’ 의무의 윤리학적 근거" 한국효학회 (13) : 1-22, 2011
10 Plato, "The Laws of Plat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1 Cheung, Chau-Kiu, "The Erosion of Filial Piety by Modernization in Chinese Cities, In Ageing &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2 Chang-Ki, Lee,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odel through the Fusion of the Easton and the Western Idea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13 Blustein, J., "Parents and Childre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14 Kyu-taik, Sung, "Measures and dimensions of filial piety in Korea" 35 (35): 1995
15 Keller, Simon, "Four Theories of Filial Duty" Blackwell Publishing 56 (56): 2006
16 Stuifbergen, Maria C., "Filial obligations to elderly parents: a duty to care?" 14 : 2011
17 Weiming, Tu, "Filial Piety as the Root of Humanity" 한국효학회 (5) : 2007
18 Schinkel, Anders, "Filial Obligations : A Contextual, Pluralist Model" 16 : 2012
19 Fan, Ruiping, "Confucian Filial Piety and Long Term Care for Aged Parents" 18 (18): 2006
20 Yuan, Xinrui, "A Tentative Study on Differences and Integration of Sino-Western Filial Piety Culture" 7 (7):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699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