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U-learning을 활용한 색채교육의 학습 만족도 =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Color Education through U-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2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U-learning의 교육공간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열린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학습매체로 대두...

      최근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U-learning의 교육공간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열린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학습매체로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색채교육에 대한 연구는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 색채선호도, 색채심리와 인지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론과 실기가 공존하는 U-learning을 활용한 색채학 수업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색채교육의 학습 만족도를 위해 디지털 색채학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주차별 교과과정 만족도,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색의 배색과 마케팅, 색채 심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색을 지각, 색채체계 등의 이론과 색명법에 대한 교과과정의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실기에서는 색채 배색에 의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색의 재현과 정확성을 요하는 조색부분에서는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기수업의 온라인 구성과 더불어 정밀성을 요하는 조색은 오프라인 수업과 병행되는 것이 보완적일 것 같다.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의 요인분석 결과 ‘U-learning을 이용한 색채학 강의 만족도’, ‘U-learning 수업의 편리성’, ‘색채학 이론과 실기의 조화’, ‘사이버 수업의 만족도’, ‘색채학 강의의 전문성’의 5개 요인으로 압축되었으며 상호 관련성 또한 온라인상에서의 ‘색채학 이론과 실기의 조화’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 또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U-learning 콘텐츠의 색채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제한점이며, 오프라인 위주의 색채학 수업을 온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learning, an internet 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es an open education opportunity undeterred by time and space. It is to the fore as a lifelong educational material where learners can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The existing studies ...

      U-learning, an internet 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es an open education opportunity undeterred by time and space. It is to the fore as a lifelong educational material where learners can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The existing studies of color education are mainly studies of color education written in textbooks, color preference, color psychology and recognition. However, the study of U-learning chromatology where theory and practice coexist is at its initial stage .For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U-learning color education, we composed and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digital chromatology class satisfaction, weekly curriculum satisfa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n curriculum satisfaction, learners showed high satisfaction in practical coloration and color psychology whereas low in theory and color nomenclature curriculums such as color perception and color system. Also, in practice, learners showed high satisfaction in color matching whereas low in color mixing which requires color reproduction and accuracy. Thus, color matching, which requires online practice classes and accuracy, should combine online with offline classes.
      We conducted factor analysis on learner"s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and condensed to five factors; ‘U-learning chromatology lecture satisfaction", ‘convenience of U-learning class", ‘balance of chromatology theory and practice", ‘cyber class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of chromatology lecture". The study also analyze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in online ‘balance of chromatology theory and practice", the higher class satisfaction they fel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cluded U-learning content"s color com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a differentiated curriculum program by switching over offline oriented chromatology classes into online cla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U-learning의 이론적 배경
      • 3. 연구검증 및 분석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U-learning의 이론적 배경
      • 3. 연구검증 및 분석결과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철일, "평생교육의 요구와 사이버 대학의 대응 방식 탐색" 2003

      2 전령,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색채 지도 방안 연구 : 색채 선호도 조사와 활용 방법에 대한 지도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황효진, "중학교 미술 교과 분석을 통한 기초디자인 색채 영역 교육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이희복, "유비쿼터스와 U-learning, 도서출판 보성"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5

      6 신나민, "원격현존감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각이 학습자의 사이버강좌 평가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15-240, 2005

      7 교육과학기술부,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현황 자료"

      8 박명인, "색채심리치료를 적용한 교수 학습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2012

      9 김소라, "색채심리교육을 통한 정서함양 사례" 한국색채학회 2012

      10 최재천, "미래 학문과 대학을 위한 범대학 콜로키움" 안산1대학 교수 학습지원센터 2007

      1 임철일, "평생교육의 요구와 사이버 대학의 대응 방식 탐색" 2003

      2 전령,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색채 지도 방안 연구 : 색채 선호도 조사와 활용 방법에 대한 지도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황효진, "중학교 미술 교과 분석을 통한 기초디자인 색채 영역 교육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이희복, "유비쿼터스와 U-learning, 도서출판 보성"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5

      6 신나민, "원격현존감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각이 학습자의 사이버강좌 평가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15-240, 2005

      7 교육과학기술부,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현황 자료"

      8 박명인, "색채심리치료를 적용한 교수 학습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2012

      9 김소라, "색채심리교육을 통한 정서함양 사례" 한국색채학회 2012

      10 최재천, "미래 학문과 대학을 위한 범대학 콜로키움" 안산1대학 교수 학습지원센터 2007

      11 김영숙, "대학생들의 교양강좌에 대한 인식조사:소비자교육 교양강좌 개설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49-162, 2008

      12 정인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 형태에 기반한 이러닝 모델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79-86, 2009

      13 권성호,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이러닝(e-learning) 활용 방안 연구 :대학 간 콘텐츠 공동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9-32, 2012

      14 김희배, "대학 e-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및 활용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5 김정랑, "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및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16 곽덕훈, "고등 교육 이러닝 활성화 방안" 2005

      17 이상희, "u-Learning 시스템 속성이 지각된 상호작용성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혜정, "e-learning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07

      19 Horton, W., "e-Learning by Design" Pfeiffer 2006

      20 Clark, R. C.,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John Wiley & Sons 2003

      21 Janette R. Hill, "Teaching and Learning in Digital Environments" 49 (49): 2001

      22 Khan, B. H., "People, process and product continuum in e-learning: The e-learning P3 model" 44 (4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