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은 결핍에서 이루어진 불안과 우울에 대한 심상적 표현 연구와 이로 인한 감정과 이성의 내적 갈등과 혼란의 형태인 존재가 불가피한 감정인 불안에 대해 가치를 지니기까지의 과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37300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759.95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Presence Using the Abstractness of knaur : Based on my works
vii, 71장 : 삽화 ; 26 cm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이선우
참고문헌 : 장 68-69
I804:11064-0000000279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은 결핍에서 이루어진 불안과 우울에 대한 심상적 표현 연구와 이로 인한 감정과 이성의 내적 갈등과 혼란의 형태인 존재가 불가피한 감정인 불안에 대해 가치를 지니기까지의 과정을 ...
논문은 결핍에서 이루어진 불안과 우울에 대한 심상적 표현 연구와 이로 인한 감정과 이성의 내적 갈등과 혼란의 형태인 존재가 불가피한 감정인 불안에 대해 가치를 지니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본인의 지속적인 불안이 현재 어떤 형태의 방어기제로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나무의 옹이를 통해 드러난 작품의 회화적 특징과 심리의 변화를 분석하며 입증하고자 한다.
본인의 불안은 죄책감과 결핍 그리고 욕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애도와 비애의 감정을 가진 ‘멜랑콜리’로 상정되며 본인의 주된 감정의 형상은 나무의 옹이와 결합하여 이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이 과정 중 본인의 불안 원인이 결핍에서부터 생겨났다는 것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본인의 결핍으로 인해 생겨난 불안의 멜랑콜리는 성장 과정을 거치며 죄책감에서 형성된 감정이다.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으로 불안에 관하여 고찰한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1856 – 1936)의 이드(id), 자아, 초자아의 단계적 분석을 통해 본인의 불안에 관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기반으로 불안과 욕망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 분석을 제시한 자크 라캉 (Jacques Lacan, 1901 ~1981)과 함께 비교 분석하며 본인의 멜랑콜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이로 인해 본인의 주된 감정인 불안은 잘못된 방어기제로 인하여 죄책감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을 자각하고, 과거의 결핍으로 인한 불안에 가치의 기준을 두는 것이 아닌 현재의 존재에 기준점을 맞추며 본인의 존재에 대한 변화의 단계를 노자의 유무상생<有無相生>을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한다. 작품의 객관적인 형상물로 나타나게 된‘옹이’에 관해서 의경론(意境論)을 근거로 제시하며 본 논문은 본인의 감정 형태를 작품 속의 옹이로 상징화하여 표현하고 불안의 감정이 현재의 가치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본인의 주관적인 내면의 감정이 예술로써 승화됨을 나타내고 불안에 순응함으로써 존재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진정한‘나’를 마주하는 승화의 방어기제임을 도출한다. 이는 본인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자아의 불완전함이 가치가 되는 것에 대한 심리적 연구분석에 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