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두뇌 보상체계에 기반한 발달원리 재해석에서 본 아동 놀이 환경 호감정서 연구 = A Study on the Positive Emotions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Child Development Principle with the Reward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uroscience defines unpleasant and unpleasant emotions as the state of mind that occurs in the brain limbic system. It also interprets the various emotional states that reach the prefrontal cortex as a combination of four basic emotions: happiness, s...

      Neuroscience defines unpleasant and unpleasant emotions as the state of mind that occurs in the brain limbic system. It also interprets the various emotional states that reach the prefrontal cortex as a combination of four basic emotions: happiness, sadness, fear, and anger. Evolutionary psychology defines the emotion of ‘happiness’ as a reward state that strengthens through pleasure so that the behavior favorable to survival persist, and views it as an intelligent method that leads to automatic learning. In other words, evolutionary psychologists infer that human beings feel happy about a condition favorable for survival and repeat this to obtain traits beneficial for survival.
      In pedagogy, development means that the brain, nerves, and muscles grow so that they can solve external tasks well by repeatedly learning the tasks given the appropriate tasks. Physic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growth process of children, so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even development by supporting mutual development. In architecture, the play environment is meaningful as a spatial tool that trains the brain and body so that the body is expressed in the intended direction by providing the experiences and stimuli needed during the child’s growth.
      Studies in the field of pedagogy interpret play as an important stimulating environment that leads to balanced development, not just play. Meanwhile, studies on the brain reward system produced in the field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provide cognitive structures that can reinterpret the play space design method that has been conducted with only clinical experience. This is not an empirical construction of the play space, but a stimulus with a reward system that must be provided in the growth process to develop into a balanced adult and the growth of the body and mind expressed from the stimulu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s related to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omains and supports mutual development.
      In addition, in the study of the field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he structure of the reward concept was applied to secu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emotion of happiness expressed as ‘pleasure’ in play induces repetitive actions to beneficial experience stimuli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this, the main tasks in the child’s development stage were set to 1. to increase physical manipulation ability, 2. to increase semantic memory ability, and 3. to increase sociality. Based on this, prior to the design of children’s play or educational spa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spat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ovide a meaningful experience in child development and serving as applicable guidelines.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kable element and the developmental task was mentioned based on the literature case describing the design and experiment process of the play and experience space where children’s feelings can be reviewed for case analysis by task. As a rewarding environmental condition for child development through case analysis are as follow. 1.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a free and diverse experience of physical manipulation, 2.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complex information that induces curiosity, and that leads to exploration, 3. Growth through peer play And a play environment to learn strategies of utilizing various intelligences. In addition, in the play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physical and brain development was examined through developmental psychology.
      By doing so, we interpreted the meaning of emotion of happiness as a reward system in the developmental area of children, and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present spatial and environmental structures that provide 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경과학은 불⋅유쾌의 감정을 두뇌 변연계에서 발생하는 마음 상태로 정의한다. 또한 전전두피질에 도달하는 다양한 감정 상태를 호감, 혐오, 공포, 분노의네 가지 기본 감정이 조합된 것...

      신경과학은 불⋅유쾌의 감정을 두뇌 변연계에서 발생하는 마음 상태로 정의한다. 또한 전전두피질에 도달하는 다양한 감정 상태를 호감, 혐오, 공포, 분노의네 가지 기본 감정이 조합된 것으로 해석한다. 진화심리학은 이 중 ‘호감’의 감정을 생존에 유리한 행동이지속되도록 쾌감을 통해 강화하는 보상 상태로 규정하여, 자동적 학습을 이끌어내는 지능 방식으로 본다.
      즉 진화심리학자들은 인간은 생존에 유리한 상태에대해 호감을 느껴 이를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생존에 유리한 형질이 획득된 것이라 추론한다.
      교육학에서 발달이란 시기별로 적절한 과제가 주어져 이를 반복 학습함으로서 뇌와 신경 그리고 근육이외부 과제를 잘 해결할 수 있게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의 성장 과정에서 신체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은 서로 연관성을 지니고 있어 상호 발달을 지원함으로서 고른 발달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건축에서 놀이 환경은 아동의 성장기에 필요한 경험과 자극을 제공하여 신체가 의도된 방향으로발현되도록 뇌와 신체를 단련시키는 공간적 도구로서의미를 갖는다.
      교육학 분야의 연구들은 놀이를 단순 유희가 아닌균형 잡힌 발달을 이끄는 중요한 자극 환경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편 진화심리학과 신경과학 영역에서 생산되는 보상 체계에 대한 연구들은 그 동안 단지 임상적 경험으로 진행되었던 놀이 공간 디자인 방법을재해석할 수 있는 인식 구조들을 제공한다. 이는 놀이공간의 경험적 구축이 아닌, 균형 잡힌 성인으로 발달해 가기 위한 성장 과정에서 제공받아야 하는, 보상구조를 가진 자극과 그 자극으로부터 발현되는 신체와 정신의 성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은 신체, 인지, 정서 영역이 연계성을 갖고 상호 발달을 지원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진화심리학과 신경과학 영역의 연구에서 보상 개념의 구조를 적용하여 놀이에서 ‘즐거움’으로 표출되는 호감의 감정이 유익한 경험 자극에 대해 반복행위를 유도하여 아동의 발달을 지원한다는 이론적 배경을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발달 단계에서주요한 과제를 1. 신체조작 능력의 증대, 2. 의미기억능력의 증대, 3. 사회성 증대로 설정하였고 각 과제의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 놀이 또는 교육 공간 디자인에 앞서 아동발달에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적 환경적 요소들을 제시하고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는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 문헌 연구를 근거로 각 과제별 사례 분석을 위해 아동의 호감 정서를 살펴볼 수 있는 놀이와 체험공간의 디자인 및 실험 과정을 기술한 문헌사례를 바탕으로 호감 요소와 발달 과제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아동 발달에 대한 보상적 환경조건으로 1. 자유롭고 다양한 신체조작의 경험을 제공하는 환경, 2. 호기심을 유도하는 복합적 정보를 제공하며 탐색을 유도하는 환경, 3. 또래 놀이를 통해 성장과 다양한 지능 활용의 전략을 습득하는 놀이 환경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위의 놀이 환경에서 아동이 호감 정서를 표출하는 요소와 아동의 신체 및 두뇌 발달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발달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살펴보았다.
      이로써 호감 정서가 아동의 발달 영역에서 보상 체계로서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 아동 발달에 유의미한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적, 환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리, "행동 억제/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을 조절 변인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명준, "학습영역의 분석을 통한 도덕교육 영역의 가능성 모색(칸트의 윤리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1 (31): 71-91, 2004

      3 계영희,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30 (30): 453-468, 2016

      4 데이비드 버스, "진화심리학" 웅진지식하우스 2012

      5 권인애, "절차기억 학습에서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2014

      6 윤성아, "자연의 형상질서 이해와 보편적 아름다움으로서의 공공 공간디자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29-36, 2011

      7 이순형, "자연물 중심 숲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활동 및 운동능력, 자연친화적 태도 및 환경감수성, 자연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6 (26): 139-170, 2019

      8 박병권, "유아의 신체활동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유아운동발달지침서"

      10 심재연,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사회적·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유리, "행동 억제/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을 조절 변인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명준, "학습영역의 분석을 통한 도덕교육 영역의 가능성 모색(칸트의 윤리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1 (31): 71-91, 2004

      3 계영희,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30 (30): 453-468, 2016

      4 데이비드 버스, "진화심리학" 웅진지식하우스 2012

      5 권인애, "절차기억 학습에서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2014

      6 윤성아, "자연의 형상질서 이해와 보편적 아름다움으로서의 공공 공간디자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29-36, 2011

      7 이순형, "자연물 중심 숲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활동 및 운동능력, 자연친화적 태도 및 환경감수성, 자연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6 (26): 139-170, 2019

      8 박병권, "유아의 신체활동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유아운동발달지침서"

      10 심재연,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사회적·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광모, "우수정책사례_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엉뚱발뚱. 엉뚱하지만 매력 넘치는 놀이터" 135 : 2017

      12 민병호, "아파트 단지의 단지계획 특성이 아동의 외부활동에 미치는 영향" 12 (12): 1996

      13 윤승환, "아동의 놀이 행태 및 환경심리를 고려한 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14 경기대학교 대학원 건축설계학과 커뮤니티 디자인 연구실, "세화어린이공원 최종보고서" 세이브더칠드런 2015

      15 조택연, "뜬금없이 나타난 디자인 인류" 컬쳐코드 2019

      16 박문호, "뇌과학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2013

      17 양옥승, "뇌과학 관점에서 본 영유아의 자기조절 발달"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135-156, 2017

      18 신은수, "놀이와 유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19 정길택, "놀이 속성과 어린이 놀이시설의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2015

      20 이종희, "놀 이" 한국아동학회 30 (30): 309-321, 2009

      21 장래혁, "감정의 뇌과학" 5 : 2007

      22 "http://www.channelnewsasia.com/news/video-on-demand/when-we-play/let-the-children-play-11258586?fbclid=IwAR3bFx64xRq5jjbeGKYlcFuDXkurPzXlG-DD-ITawKnMCKKsvyUd5AA7joc"

      23 "http://www.aurum.re.kr/Bits/BuildingDoc.aspx?num=6590#.XhJItEczY2w"

      24 Ingunn Fjørtoft,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The Impact of Outdoor Play Actives in Pre-Primary School Children" 29 (29):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