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이흠, "종교와 의례" 16 : 2-3, 1998
2 임민혁, "조선후기 영조의 孝悌 논리와 私親追崇" 조선시대사학회 (39) : 112-152, 2006
3 송지원, "정조의 음악정책" 태학사 192-, 2007
4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현모, "영조의 위기극복 리더십 연구: ‘이인좌의 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47-172, 2010
6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9-, 1988
7 송지원, "영조대 국가전례정책의 제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89-212, 2008
8 이원균, "영조 무신란에 대하여" 부산대 사학회 2 : 1971
9 이종범, "여러 지역의 항쟁과 무신란" 국사편찬위원회 36 : 1997
10 "성종실록"
1 윤이흠, "종교와 의례" 16 : 2-3, 1998
2 임민혁, "조선후기 영조의 孝悌 논리와 私親追崇" 조선시대사학회 (39) : 112-152, 2006
3 송지원, "정조의 음악정책" 태학사 192-, 2007
4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현모, "영조의 위기극복 리더십 연구: ‘이인좌의 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47-172, 2010
6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9-, 1988
7 송지원, "영조대 국가전례정책의 제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89-212, 2008
8 이원균, "영조 무신란에 대하여" 부산대 사학회 2 : 1971
9 이종범, "여러 지역의 항쟁과 무신란" 국사편찬위원회 36 : 1997
10 "성종실록"
11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궁정사회" 한길사 2003
12 함재학, "경국대전이 조선의 헌법인가?" 한국법철학회 7 (7): 263-288, 2004
13 "英祖實錄"
14 "經國大典"
15 고수연, "淸州地域 英祖 戊申亂의 動向" 조선시대사학회 (42) : 159-189, 2007
16 송지원, "朝鮮 中華主義의 음악적 실현과 淸 文物 수용의 의의" 11 : 1999
17 "國朝續五禮儀序例"
18 "國朝續五禮儀"
19 "'承政院日記' 영조 16년 6월 3일(壬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