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안가정공동체 위기 청소년의 변화경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5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안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살 펴보는 것으로, 대안가정공동체 청소년의 변화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대안 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들의 변화경험을 이해하고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기 위 해 지오르지(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경기도 B시 소재 e공동체에서 2년 이 상 생활한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안가정공동체에 입소 청소년의 변화경험은 167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범주 화하였다. 핵심구성요소는 <열악한 가정환경>, <위기경험>, <기회선택>, <적응갈등>, <변 화의지>, <변화경험>, <새로운 목표가 생김>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대안가정공동체 에 입소한 청소년의 위기경험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상황 에서 e공동체 입소와 적응갈등을 통해 변화의지가 생기고 변화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구체적 성장과 변화를 촉진시킨 힘과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은 생활습관, 학업습관, 관계, 신앙생활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돌봄의 부재 속에서 위 기경험을 한 청소년이 대안가정공동체를 통해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개입, 돌봄, 교육을 통 해 긍정적 변화경험이 나타났다. 이에 대안가정공동체가 안전한 울타리가 되면서 위기청소 년들의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가정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목 회적 가정공동체 운영에 대한 긍정적 적용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사회를 위해 기독교 교 회가 청소년들을 위한 가정공동체 적용의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안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살 펴보는 것으로, 대안가정공동체 청소년의 변화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대안 가정...

      본 연구는 대안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살 펴보는 것으로, 대안가정공동체 청소년의 변화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대안 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들의 변화경험을 이해하고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기 위 해 지오르지(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경기도 B시 소재 e공동체에서 2년 이 상 생활한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안가정공동체에 입소 청소년의 변화경험은 167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범주 화하였다. 핵심구성요소는 <열악한 가정환경>, <위기경험>, <기회선택>, <적응갈등>, <변 화의지>, <변화경험>, <새로운 목표가 생김>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대안가정공동체 에 입소한 청소년의 위기경험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상황 에서 e공동체 입소와 적응갈등을 통해 변화의지가 생기고 변화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구체적 성장과 변화를 촉진시킨 힘과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은 생활습관, 학업습관, 관계, 신앙생활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돌봄의 부재 속에서 위 기경험을 한 청소년이 대안가정공동체를 통해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개입, 돌봄, 교육을 통 해 긍정적 변화경험이 나타났다. 이에 대안가정공동체가 안전한 울타리가 되면서 위기청소 년들의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가정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목 회적 가정공동체 운영에 대한 긍정적 적용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사회를 위해 기독교 교 회가 청소년들을 위한 가정공동체 적용의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evolving experiences of several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m while living in this alternative hom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ir evolv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and to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1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living in the E community based in B city, Gyeonggi Province for 2 years or longer were surveyed according to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at the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167 meaning units, 22 subcomponents, and 7 core components. The core components are comprised of poor family circumstances, experiencing a crisis, choosing an opportunity, adaptation and conflict, the will to change, experiencing a change, and achieving a new goal.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risis in adolescents who entered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started from poor family circumstances. In moments of crisis, they gained a will to change through adaptation and conflict after entering the E community and experienced a change. The strength that stimulated the concrete growth and change in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evolving experiences in these adolescents in crisis were demonstrated in their daily habits, study habits, relationships, and religious l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dolescents, who underwent a crisis in the absence of care due to their poor family circumstances, demonstrated positive evolving experiences through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 care, an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is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became a safe refuge for adolescents in crisis and a turning point in their lif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include this type of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ies for families and adolescents going through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is valuable for the Korean society in that it is the foundational study that examines the Christian church’s applica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for adolesc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evolving experiences of several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m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evolving experiences of several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m while living in this alternative hom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ir evolv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and to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1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living in the E community based in B city, Gyeonggi Province for 2 years or longer were surveyed according to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at the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167 meaning units, 22 subcomponents, and 7 core components. The core components are comprised of poor family circumstances, experiencing a crisis, choosing an opportunity, adaptation and conflict, the will to change, experiencing a change, and achieving a new goal.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risis in adolescents who entered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started from poor family circumstances. In moments of crisis, they gained a will to change through adaptation and conflict after entering the E community and experienced a change. The strength that stimulated the concrete growth and change in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evolving experiences in these adolescents in crisis were demonstrated in their daily habits, study habits, relationships, and religious l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dolescents, who underwent a crisis in the absence of care due to their poor family circumstances, demonstrated positive evolving experiences through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 care, an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is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became a safe refuge for adolescents in crisis and a turning point in their lif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include this type of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ies for families and adolescents going through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is valuable for the Korean society in that it is the foundational study that examines the Christian church’s applica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for adolesc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상담목회적 대안가정공동체의 이해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요약
      • Ⅰ. 서론
      • Ⅱ. 상담목회적 대안가정공동체의 이해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Ⅳ. 연구결과
      • 1. 구성요소 및 도출과정
      • 2. 경험의 상황적 구조 기술
      • 3. 경험의 일반적 구조 기술
      • Ⅴ. 결론 및 논의
      • 1. 결론
      • 2.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