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대통사 창건의 불교사상적 배경 = Buddhism -thoughtful Meaning Behind establishing Daetongsa(大通寺) of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61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etongsa[大通寺] is established by King Seong[聖王]. According to Samguk yusa, it is said that Daetong-sa was established for Emperor Muje in Yang[梁武帝]. But it is not true. Meanwhile a place of Daetong-sa is not correct. After excavation t...

      Daetongsa[大通寺] is established by King Seong[聖王]. According to Samguk yusa, it is said that Daetong-sa was established for Emperor Muje in Yang[梁武帝]. But it is not true. Meanwhile a place of Daetong-sa is not correct. After excavation there are no remains of Baekje, But according to Hoseoeubji(18c) Daetong-bridge[大通橋] exists in Jemin stream. Maybe on the opposite side of it Daetong-sa’s Main Gate can be located.
      Daetong-sa is the temple to pray far the repose of King Mureng’s soul and to pray for King Seong’s son. Daetong-sa is not named by the chronological era[年號], Daetong[大通], of Emperor Muie. In fact Its name is derived from Daetong-Buddha[大通佛] in the Sutra of Rotus. Daetong-Buddha is the son of cakravartirazan[轉輪聖王]. Grandsons of cakravartirajan are Jijeok[智積] and Sakyamuni. In Baekje there are King Seong named cakravartirazan, the temple of Daetong-sa, the Sataekjijeokbi monument[砂宅智積碑] of Jijeok. Grandson of King Seong is King Beop named Sakyamuni. It is Daetong-sa that correlates the sacredness of the Royal family of Baekje as the lineage of Sakyamuni in the Sutra of Rot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대통사 관련자료의 검토
      • Ⅲ. 대통과 대통사
      • Ⅳ. 대통사의 창건연대와 창건목적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대통사 관련자료의 검토
      • Ⅲ. 대통과 대통사
      • Ⅳ. 대통사의 창건연대와 창건목적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 1999

      2 한보식, "한국연력대전" 영남대학교출판부 1987

      3 정경희, "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90

      4 조경철,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백제 웅진 대통사(大通寺)와 대통신앙(大通信仰)" 백제문화연구소 (36) : 45-66, 2007

      5 조원창,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대통사지(大通寺址) 출토 백제 와당의 형식과 편년" 백제문화연구소 (36) : 45-66, 2007

      6 김현숙,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동아세아와 백제" 서경 2003

      7 문동석, "양 무제의 불교정책에 대하여-백제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2 : 2006

      8 노중국, "신라와 백제의 교섭과 교류" 17 : 2000

      9 이강래, "삼국유사에 있어서 구삼국사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66 : 1990

      10 정경희, "삼국시대 사회와 불경의 연구" 63 : 1988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 1999

      2 한보식, "한국연력대전" 영남대학교출판부 1987

      3 정경희, "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90

      4 조경철,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백제 웅진 대통사(大通寺)와 대통신앙(大通信仰)" 백제문화연구소 (36) : 45-66, 2007

      5 조원창,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대통사지(大通寺址) 출토 백제 와당의 형식과 편년" 백제문화연구소 (36) : 45-66, 2007

      6 김현숙,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동아세아와 백제" 서경 2003

      7 문동석, "양 무제의 불교정책에 대하여-백제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2 : 2006

      8 노중국, "신라와 백제의 교섭과 교류" 17 : 2000

      9 이강래, "삼국유사에 있어서 구삼국사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66 : 1990

      10 정경희, "삼국시대 사회와 불경의 연구" 63 : 1988

      11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12 이도학,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003

      13 이병호, "부여 정림사지의 창건배경과 도성내 위상, In 백제와 금강" 서경 2007

      14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15 김수태, "백제의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36 : 19-64, 2004

      16 조경철, "백제의 지배세력과 법화사상" 12 : 1999

      17 김두진, "백제의 정신세계" 주류성 2006

      18 김수태, "백제의 사비천도와 불교" 대구사학회 95 : 73-101, 2009

      19 양기석, "백제의 사비천도와 그 배경, In 백제와 금강" 서경 2007

      20 이기백, "백제왕위계승고" 11 : 1959

      21 近藤浩一, "백제시대의 효은상 수용과 그 의미" 백제연구소 42 (42): 113-139, 2005

      22 이기동, "백제사연구" 일조각 1996

      23 조경철, "백제불교의 수용과 전개" 연세대학교 1996

      24 조경철, "백제불교사의 전개와 정치변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5 김영태, "백제불교사상연구" 동국대출판부 1985

      26 박중환, "백제금석문연구" 전남대학교 2007

      27 이기동, "백제국의 정치이념에 대한 일고찰-특히 ‘주례’주의적 정치이념과 관련하여" 17 : 1990

      28 최연식, "백제 후기 불교교학의 변천과 미륵사상의 성격" 2010

      29 조경철, "백제 익산 彌勒寺 창건의 신앙적 배경 —彌勒信仰과 法華信仰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32) : 1-37, 2009

      30 조경철,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역사연구소 (70) : 1-28, 2010

      31 조경철, "백제 왕실의 3년상 - 무령왕과 성왕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45 (145): 105-139, 2009

      32 조경철, "백제 성왕대 유불정치이념-육후와 겸익을 중심으로" 15 : 2000

      33 조경철, "백제 성왕대 대통사 창건의 사상적 배경" 98 : 2002

      34 조경철, "백제 사택지적비에 나타난 불교신앙" 한국역사연구회 (52) : 149-177, 2004

      35 길기태, "백제 사비시대의 불교신앙 연구" 서경 2006

      36 조경철,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36) : 51-78, 2010

      37 김수태, "백제 법왕대의 불교" 15 : 2000

      38 김주성, "백제 법왕과 무왕의 불교정책" 15 : 2001

      39 김상현, "백제 무왕대 불교계의 동향과 미륵사" 고려사학회 (37) : 7-31, 2009

      40 차용걸, "백제 도성과 주변국 도성과의 비교, In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2002

      41 문동석, "백제 노귀족의 불심-사택지적비, In 고대로부터의통신" 푸른역사 2004

      42 권오영, "무령왕릉" 돌베개 2005

      43 조경철, "동아시아 불교식 왕호 비교-4~8세기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3) : 5-38, 2006

      44 공주대학교박물관, "대통사지" 2000

      45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도록" 2010

      46 이강래, "구삼국사론, In 삼국사기 전거론" 민족사 1997

      47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2" 가산연구원 1994

      48 정구복, "고려 초기의 삼국사 편찬에 대한 일고" 45 : 1993

      49 손영종, "고구려사" 1990

      50 "順興浮石寺圓融國師碑"

      51 "開闢"

      52 "觀世音菩薩授記經"

      53 "莊子疏"

      54 "莊子"

      55 "與地圖書"

      56 "續高僧傳"

      57 經部慈恩, "百濟遺跡の硏究" 吉天弘文館 1971

      58 輕部慈恩, "百濟美術" 寶雲舍 1946

      59 淸水昭博, "百濟「大通寺式」수막새의 성립과 전개-中國 南朝系 造瓦技術의 전파-" 백제연구소 38 : 57-83, 2003

      60 이남석, "百濟 大通寺址와 그 出土遺物" 호서고고학회 (6집) : 275-294, 2002

      61 張總, "白佛山等十六王子像槪述" 3 : 1998

      62 "無量壽經連義述文贊"

      63 "湖西邑誌"

      64 "淮南子"

      65 "法華經"

      66 小玉大圓, "求法僧謙益とその周邊(上・下)" 8 : 1987

      67 "梁書"

      68 소현숙, "梁 武帝와 同泰寺" 불교문화연구원 (54) : 153-186, 2010

      69 양은경, "梁 武帝시기 불교사찰, 불교조각과 사회변화"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3 : 241-276, 2009

      70 "日本書紀"

      71 "承政院日記"

      72 "忠淸道邑誌"

      73 小玉大圓, "彌勒思想의 本質과 展開(文山 金三龍博士 古稀紀念), In 韓國思想史學 6" 瑞文文化社 1994

      74 "彌勒寺舍利奉安記"

      75 "妙法蓮華經玄義"

      76 "大藏經"

      77 "大漢和辭典"

      78 "各司謄錄"

      79 "佛說佛名經"

      80 陳垣, "二十史朔閏表" 中華書局出版發行 1999

      81 林道心, "中國古代万年曆" 河北人民出版社 2003

      82 "三才圖會"

      83 "三國遺事"

      84 田中俊明, "三國史記 撰進と舊三國史" 83 : 1977

      85 "三國史記"

      86 "三十八分功德疏經"

      87 Jonathan W. Best, "Diplomatic and Cultural Contacts Between Paek- che and China" 42 (42): 1982

      88 Jonathan W. Best, "A history of the early Korean kingdom of Paek- che together with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Paekche annals of the Samguk sagi"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 Distributed b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89 김주성, "7세기 백제불교와 그 정치적 확대" 2000

      90 최연식, "6세기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 확산 과정에 대한 재검토" 2011

      91 정재윤, "5~6세기 백제의 南朝 중심 외교정책과 그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2 (2): 173-19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