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정주 시의 여성 이미지 변천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Changing Images of Women in Poetic Works of Seo, Ju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07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 Jungju(1915~2000), the most famous Korean poet, has the outstanding ability to transform his real and imagined experiences he wish to send into aesthetical aspects. We pays much attentions on images in the poetry that are transformed through th...

      Seo, Jungju(1915~2000), the most famous Korean poet, has the outstanding ability to transform his real and imagined experiences he wish to send into aesthetical aspects. We pays much attentions on images in the poetry that are transformed through the poet's imagination, when we study or read poetry. Image, with the help of the rhythmic element, is the pivotal principle of poetry, leads to the sensitive experience on the object by appealing to the hearer's/reader's sensitivity. The study on image, therefore, plays great role to clarify the poet's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Seo, Jungju there appear many women, who are performing as a beacon light to understand his poetic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search the poetic ego on women Seo, Jungju shows, through which I find out the archetypal image on woman and its changing aspect in his poetry. The poetic works I take as an object of my study are from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花蛇集)≫ to ≪The Myth of Jilmajae(질마재 神話)≫, in which I mainly study the changing moment of woman's image. Above all, in his poetic works I focus my interest in how to change the woman into various images. And in main body of this dissertation I study the process of changing woman's imag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Way to Heaven(歸蜀途)≫, ≪The Ode to Shilla(新羅抄)≫ and ≪The Myth of Jilmajae≫.
      Seo, Jungju uses the wide scopes of women from Sunnae(순네) to Maria of Magdalene, irrespective of space, time, race and creed, whose images shows us sensual or innocent impression and, in some sense, willingly give us some mystic impression.
      Firstly, Finding Gasinae(가시네) Concealed in Passion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花蛇集)≫ : The poet, in his first poetical work,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casts away anxiety and unrest in his younger days through a sensual woman called Sunnae. In <Flower Snake(花蛇)> he shows the sensual desire through Sunnae and flower snake as a substitute for the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Adam, Eve and snake, which means the western literary element may give a great impact on him.
      Secondary, Making Nunim(누님) by flower and light in ≪The Way to Heaven≫ :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main color took control of the poetic work is red, while green is the dominant color in ≪The Way to Heaven≫. Green symbolizes the openness such as life, hope and daily lives, which implies the contributive and stable image that is quite different image from the closed and physical desir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most important image in the poetry of Seo, Jungju is Nunim, and he describes Nunim, flower and green light as a traditional Korean woman image, furthermore, as a maternal space with the image of endurance and abstinence.
      Thirdly, Rebirth of the Shilla woman in History in ≪The Ode to Shilla≫ : The main interest Seo, Jungju focuses in his ≪The Ode to Shilla≫ is the pursuit of eternity based on Buddhism in Shilla. He resurrects the old Shilla woman and imposes the spirituality on her, which is supposed to be the expansion of his poetic sphere. In ≪The Ode to Shilla≫, the eternity his poetic ego pursues shows the harmony among the history, the myth and the religion, through which he tries to show the circular aspect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e eternity. I find, in ≪The Ode to Shilla≫, the changing the image of women from the woman as the image of basic instinct to that of Korean traditional woman, furthermore to that of the Shilla woman who has the basic spirit of Shilla.
      Fourthly, Pursuing the woman into the Nature in ≪The Myth of Jilmajae≫ : ≪The Myth of Jilmajae≫ is the poet's early native place and the source for his poetic energy. Seo, Jungju shows this work in his 60th birthday and in it he reveals his desire for returning ≪The Myth of Jilmajae≫ from the long outcast life of his own. By returning to the myth and the nature he dreams the renewed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n this work there appear many women grandmother, mother, Almoe(알뫼), Hanmul(한물), and the widow called Seolmakdong's (설막동) mother, they all have the du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vinity and the snobbism. But they all have the ability to harmonize these dualism. The poet's early image of woman, Sunnae, the image of the basic poetic ego turns into the image of production, the sherman in Jilmajae. The woman of sloth and sexuality is changed into the woman of the basic instinct and physicality of man who reflects the harmony with nature in ≪The Myth of Jilmajae≫.
      As a result of my study, I sum up my research. Sunna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symbolizes the poet's sexual desire in his youth. And he writes ≪The Way to Heaven≫ that implies his psychological stability at home from the long period of outcast life, 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woman, Nunim. This image of Nunim is expanded in the Buddhism and the history of Shilla in his later work, ≪The Ode to Shilla≫. In ≪The Way to Heaven≫ Seo, Jungju's main interest is to overcome the reality and transcend into the eternity. Through this changing image the poet accepts the positive side of life by demolishing the borderlin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is circular image of woman starts from Sunnae in <Flower Snake> through Nunim to the Shilla woman and returns to the women in ≪The Myth of Jilmaja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정주(徐廷柱, 1915~2000)는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관념이나 실제의 경험 또는 상상적 체험들을 미학적으로 변형시켜 표현하는 데 매우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시인이다. 시인의 상상력...

      서정주(徐廷柱, 1915~2000)는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관념이나 실제의 경험 또는 상상적 체험들을 미학적으로 변형시켜 표현하는 데 매우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시인이다. 시인의 상상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미학적 변용 중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것이 이미지다. 이미지란 리듬과 함께 시의 대표적인 구성 원리이며 청자의 감각에 호소하고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시인의 의식세계의 심상을 파헤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서정주의 詩 속에는 많은 여성들이 등장하는 데 이들은 서정주의 詩 世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적 자아가 지향하는 여성성을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시 세계에 침잠되어 있는 여성 이미지의 원형을 살펴보고, 변천 과정과 유기적 관계까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시집은 ≪花蛇集≫에서 ≪질마재 神話≫까지로 하였으며, 여성 이미지가 변모하는 시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서정주의 시 세계에서 많은 여성들이 어떤 대상으로 어떻게 이미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花蛇集≫, ≪歸蜀途≫, ≪新羅抄≫, ≪질마재 神話≫ 등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의 시점을 章으로 묶어 고찰하였다.
      서정주 詩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花蛇>에 나오는 ‘순네’로부터 ‘막달라 마리아’까지 동서양과 신분 여하를 불문하고 주연과 조연, 또는 엑스트라로 다양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들 여성들이 보여주고 있는 여성 이미지들은 육감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청순하고 온화하며 실루엣처럼 아득하게 신비감을 주기도 한다.
      첫째, 서정주는 ≪花蛇集≫에서 욕망 속에 감추어진 ‘가시내’ 찾기를 하고 있다. 서정주는 첫 시집 ≪花蛇集≫에서 관능적인 여성 ‘순네’를 등장시켜 젊은 날의 울분과 불안을 해소하려 하였다. 서정주는 <花蛇>에서 아담과 이브, 그리고 뱀의 삼각관계의 대체물로 ‘순네’와 ‘꽃뱀’을 등장시켜 관능적인 욕망을 보여주고 있는데, 초기 시에 나타나는 서정주의 詩心이 서구적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정주는 ≪歸蜀途≫에서 꽃과 빛으로 ‘누님’ 만들기를 시도하고 있다. ≪花蛇集≫에서는 붉은색이 많이 나타나는 반면 ≪歸蜀途≫에서는 푸른빛을 많이 드러내고 있다. 푸른색의 이미지는 삶, 희망, 생명과 같이 개방성을 의미한다. ≪花蛇集≫에서 보여주었던 폐쇄성과 육체적 욕망과는 전혀 다른, 헌신적이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서정주 시에서 가장 중요한 이미지는 ‘누님’의 이미지다. 서정주는 ≪歸蜀途≫에서 ‘누님’, ‘꽃’, ‘푸른빛’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 이미지, 즉 인고와 절제를 통해 모성적 공간을 그려내고 있다.
      셋째, 서정주는 ≪新羅抄≫에서 역사 속의 ‘신라여인’ 부활시키기를 시도하고 있다. ≪新羅抄≫에서 서정주가 지향하는 시 세계는 신라정신(불교)에 근본을 둔 영원성 추구이다. 고대 신라 여인들을 환생시켜 영(靈)과 혼(魂)이 공존하는 초월의 세계로 시 세계를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新羅抄≫에서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영원성은 신화와 종교와 역사가 잘 조합된 것으로, 죽음과 탄생을 순환으로 삼아 ‘영생’을 획득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新羅抄≫에 와서 서정주의 시 세계에 나타나고 있는 여성상이 원초적 본능의 이미지에서, 한국 전통의 여성 이미지로, 그리고 신라정신에 바탕을 둔 ‘신라여성’으로 변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서정주는 ≪질마재 神話≫에서 자연 속으로 ‘여신’ 따라가기를 시도하고 있다. ‘질마재’는 서정주 유년의 고향이며, 시료(詩料)를 공급받는 詩心의 원천이다. 서정주는 ≪질마재 神話≫를 회갑 되던 해에 발표하였는데, 오랜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 ‘질마재’로 돌아가고픈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신화와 자연 속으로 회귀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복원을 꿈꾼 것이다. ≪질마재 神話≫에는 외할머니, 어머니, ‘알묏댁’, ‘한물댁’, ‘설막동이네 과부 어머니’ 등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신성성과 천박성을 동시에 소유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 여성들은 천박함과 숭고함을 갈등 없이 잘 조화시킬 줄 아는 능력을 지녔다. 초기 시에서 시적 자아를 유혹하던 ‘순네’가 ≪질마재 神話≫에 와서는 무신(巫神)이 되고 생산성을 갖는 여인으로 변모한다. 애욕과 탐닉의 여성들이 인간의 원초성과 육체성이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질마재’로 돌아온 것이다.
      서정주의 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花蛇集≫에서 ‘순네’는 서정주가 젊은 시절 가지고 있었던 성적 욕망의 대상이었다. 그 후 서정주는 오랜 방황에서 가정으로 돌아와 심리적 안정 속에 ≪歸蜀途≫를 발표한다. 그는 ≪歸蜀途≫에서 한국의 전통 여인상인 ‘누님’ 만들기를 한다. ≪新羅抄≫에서도 불교와 역사 속의 ‘신라 여인’들을 부활시켜 ‘누님’의 이미지를 확대하고 있다. ≪歸蜀途≫를 통해 서정주가 지향하는 핵심은 현실을 초월하여 영원으로 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모는 ≪질마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향 = 7
      • Ⅱ. 여성 이미지의 생성 과정 = 13
      • Ⅲ.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 = 21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향 = 7
      • Ⅱ. 여성 이미지의 생성 과정 = 13
      • Ⅲ.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 = 21
      • 1. ≪花蛇集≫에서 욕망 속에 감추어진 ‘가시내’ 찾기 = 21
      • 2. ≪歸蜀途≫에서 꽃과 빛으로 ‘누님’ 만들기 = 29
      • 3. ≪新羅抄≫에서 역사 속의 ‘신라 여인’ 부활시키기 = 40
      • 4. ≪질마재 神話≫에서 자연 속으로 ‘여신’ 따라가기 = 54
      • Ⅳ. 여성 이미지의 상호 유기성 = 63
      • Ⅴ. 결 론 = 67
      • 참고문헌 = 71
      • ABSTRACT =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