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리더십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주도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리더십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650097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 2009. 2
2009
한국어
자기 리더십 프로그램 ; 자아존중감 ; 가족관계
158.3 판사항(22)
광주
58 p. : 삽도 ; 26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오수성
참고문헌 : p.27-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리더십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주도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리더십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리더십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주도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리더십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자신이 극복해야 할 한계와 더욱더 개발해야 할 강점을 인식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자신의 뿌리에 대해 자각함으로써 가족관계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게 하며, 가족 속에서 자신이 취하게 될 역할을 그려 봄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자각하고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 증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실험집단에, 같은 학교의 학년과 성별을 실험집단에 맞추어 24명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만 총 16회기의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 존중감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자아 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 가정적 자아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가족관계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인 가족결속력, 가족 내 갈등 수준, 가족 표현력 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가족 속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ystematical self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help the forth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as follows. First, it can bring up students' self esteem by realizing their potentials to overcome their limits. Se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ystematical self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help the forth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as follows.
First, it can bring up students' self esteem by realizing their potentials to overcome their limits. Secondl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selves as a part of their families by realizing their family origins. They can have optimistic visions for their roles in the families for improving their family relationships while imagining roles that they are going to take in families. In the program students can practice self-directed leadership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 the will and eager.
The question for this study was what effects the self-directed leadership have on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12 boy students and 12 gir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wang ju city in Chonla-do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mong the rest of the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boys and 12 girl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With these two groups, 16 week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score of self esteem had been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providing this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four 4 sub areas of self-esteem: general, social, academic and family self-concepts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as wel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ly, the score of family rel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came out higher than that of in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nalyzed results of this program on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of three sub areas of family relations: family cohesion, inner-family conflicts, family expression ability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o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self leadership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 esteems of children. Also, it suggests that it helps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students to have visions of their roles in their own families positivel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