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 강점기 華東 金漢翼의 금강산 유람 = A study on the excursion to Mt. Geumgang by Kim Han-i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Han-ik(金漢翼) departed from Jangseong(長城), Jeollanam-do(全羅南道) on April 20, 1924, passed through Gyeongseong(京城), and toured Mt. Geumgang(金 剛山) and the East Sea(東海) from April 23 to May 2,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of Jangseong on May 5, via Gyeongseong. The record of his 15-day excursions is included in 「Records of excursions to Mt. Geumgang(金剛遊錄)」 in the first volume of his 󰡔Hwadong Yugo(華東遺稿)󰡕. The 「Records of excursions to Mt. Geumgang」 has a total of 4,197 characters, which is not much in terms of length, but has not yet been reported to academia. So I took a rough look at its features.
      The first thing to be noticed is Kim Han-ik's mention of taking Kim Changhyeop'(金昌協)s 「Dongyugi(東遊記)」. The fact that Kim Chang-hyeop's work was taken out of the numerous records of Mt. Geumgang can give an answer to how later writers perceived Kim's work.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re is no detailed explanation. During his excursion to Mt. Geumgang and the East Sea, he briefly compressed or omitted the parts introduced in 「Dongyugi」. This is probably because he felt there was no need to repeat the part mentioned in 「Dongyugi」. However, he did describe in some detail what was not mentioned in 「Dongyugi」. This is a conscious effort to fill in the shortcomings of 「Dongyugi」.
      The next characteristic thing is that the sorrow of losing the country is seen everywhere. He could only be immersed in the excitement of the Mt. Geumgang excursion, but he expressed the sorrow of losing his country while excursions around the changed Gyeongseong and the unchanged Mt. Geumgang and the East Sea. In the end, for Kim Han-ik, the tour of Mt. Geumgang was an opportunity to repeatedly confirm the sorrow of losing the country, and such examinations are recorded in the record,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other travels to Mt. Geumgang. This is also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and it seems necessary to approach how the status of Mt. Geumgang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번역하기

      Kim Han-ik(金漢翼) departed from Jangseong(長城), Jeollanam-do(全羅南道) on April 20, 1924, passed through Gyeongseong(京城), and toured Mt. Geumgang(金 剛山) and the East Sea(東海) from April 23 to May 2,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

      Kim Han-ik(金漢翼) departed from Jangseong(長城), Jeollanam-do(全羅南道) on April 20, 1924, passed through Gyeongseong(京城), and toured Mt. Geumgang(金 剛山) and the East Sea(東海) from April 23 to May 2,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of Jangseong on May 5, via Gyeongseong. The record of his 15-day excursions is included in 「Records of excursions to Mt. Geumgang(金剛遊錄)」 in the first volume of his 󰡔Hwadong Yugo(華東遺稿)󰡕. The 「Records of excursions to Mt. Geumgang」 has a total of 4,197 characters, which is not much in terms of length, but has not yet been reported to academia. So I took a rough look at its features.
      The first thing to be noticed is Kim Han-ik's mention of taking Kim Changhyeop'(金昌協)s 「Dongyugi(東遊記)」. The fact that Kim Chang-hyeop's work was taken out of the numerous records of Mt. Geumgang can give an answer to how later writers perceived Kim's work.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re is no detailed explanation. During his excursion to Mt. Geumgang and the East Sea, he briefly compressed or omitted the parts introduced in 「Dongyugi」. This is probably because he felt there was no need to repeat the part mentioned in 「Dongyugi」. However, he did describe in some detail what was not mentioned in 「Dongyugi」. This is a conscious effort to fill in the shortcomings of 「Dongyugi」.
      The next characteristic thing is that the sorrow of losing the country is seen everywhere. He could only be immersed in the excitement of the Mt. Geumgang excursion, but he expressed the sorrow of losing his country while excursions around the changed Gyeongseong and the unchanged Mt. Geumgang and the East Sea. In the end, for Kim Han-ik, the tour of Mt. Geumgang was an opportunity to repeatedly confirm the sorrow of losing the country, and such examinations are recorded in the record,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other travels to Mt. Geumgang. This is also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and it seems necessary to approach how the status of Mt. Geumgang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金漢翼은 일제 치하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1924년 4월 20일 전라남도 장성을 출발하여 京城을 경유하고 4월 23일부터 5월 2일까지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했으며, 다시 경성을 경유해 5월 5일 고향인 장성으로 돌아왔다. 총 15일 간의 유람 기록이 그의 문집인󰡔華東遺稿󰡕권1 <金剛遊錄>에 실려 있다. 총 4,197 자로, 분량 면에서 그리 많지 않은 기록이다. 하지만 아직 학계에 보고된 바가없어, 거칠게나마 <금강유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주목되는 부분은 金昌協의 <東遊記>를 유람하면서 가지고 갔다는 것이다. 수많은 금강산 유기 중 김창협의 작품을 취한 것은, 김창협의 작품을 후대 문인들이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이 없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김한익은 실제 금강산과 동해의 유람 과정에서 < 동유기>에서 소개한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압축하거나 혹은 생략했다. 이는 <동유기>에서 언급한 부분에 대해 반복해서 부연할 필요성이 없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동유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풍경에 대해서는 이전의 서술 방식과 달리 다소 상세하게 묘사했다. 이는 <동유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는 의식적인 서술 태도로 보인다.
      다음으로, 망국의 한이 산견된다는 점이다. 일생일대의 금강산 유람으로 흥취에만 젖어 있을 수 있었지만, 변화된 경성과 불변의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하면서 망국의 한을 토로했다. 신라의 麻衣太子나 金時習을, 楚나라 義帝와 齊나라 왕 및 魯仲連, 陸秀夫를 언급하면서 망국의 한을 외돌려 표현한 바 있다. 결국 김한익에게 금강산 유람은 망국의 한을 재삼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러한 심사가 고스란히 기록에 담겨 있어, 여타의 금강산 유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금강산의 표상과도 관련된다. 시대에 따라 금강산의 위상이 어떻게달라지고 있는지에 대한 접근도 필요해 보인다. 다소 거친 호흡으로 김한익의 <금강유록>을 살펴보았는데, 금강산 유기의편폭을 넓힐 수 있길 기대하며 김한익에 대한 접근의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金漢翼은 일제 치하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1924년 4월 20일 전라남도 장성을 출발하여 京城을 경유하고 4월 23일부터 5월 2일까지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했으며, 다시 경성을 경유해 5월 5일 고향...

      金漢翼은 일제 치하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1924년 4월 20일 전라남도 장성을 출발하여 京城을 경유하고 4월 23일부터 5월 2일까지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했으며, 다시 경성을 경유해 5월 5일 고향인 장성으로 돌아왔다. 총 15일 간의 유람 기록이 그의 문집인󰡔華東遺稿󰡕권1 <金剛遊錄>에 실려 있다. 총 4,197 자로, 분량 면에서 그리 많지 않은 기록이다. 하지만 아직 학계에 보고된 바가없어, 거칠게나마 <금강유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주목되는 부분은 金昌協의 <東遊記>를 유람하면서 가지고 갔다는 것이다. 수많은 금강산 유기 중 김창협의 작품을 취한 것은, 김창협의 작품을 후대 문인들이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이 없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김한익은 실제 금강산과 동해의 유람 과정에서 < 동유기>에서 소개한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압축하거나 혹은 생략했다. 이는 <동유기>에서 언급한 부분에 대해 반복해서 부연할 필요성이 없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동유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풍경에 대해서는 이전의 서술 방식과 달리 다소 상세하게 묘사했다. 이는 <동유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는 의식적인 서술 태도로 보인다.
      다음으로, 망국의 한이 산견된다는 점이다. 일생일대의 금강산 유람으로 흥취에만 젖어 있을 수 있었지만, 변화된 경성과 불변의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하면서 망국의 한을 토로했다. 신라의 麻衣太子나 金時習을, 楚나라 義帝와 齊나라 왕 및 魯仲連, 陸秀夫를 언급하면서 망국의 한을 외돌려 표현한 바 있다. 결국 김한익에게 금강산 유람은 망국의 한을 재삼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러한 심사가 고스란히 기록에 담겨 있어, 여타의 금강산 유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금강산의 표상과도 관련된다. 시대에 따라 금강산의 위상이 어떻게달라지고 있는지에 대한 접근도 필요해 보인다. 다소 거친 호흡으로 김한익의 <금강유록>을 살펴보았는데, 금강산 유기의편폭을 넓힐 수 있길 기대하며 김한익에 대한 접근의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361-411, 1999

      2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연구소 24 : 242-280, 2004

      3 鄭胤永, "천하제일명산 금강산 유람기-瀛嶽錄" 수류화개 2021

      4 심경호, "조선후기 문인의 동류 체험과 한시" 한국한시학회 6 : 53-88, 1998

      5 이종묵, "조선 전기 문인의 금강산 유람과 그 문학" 한국한시학회 6 : 21-52, 1998

      6 박은정, "유산기(遊山記)로 보는 승(僧)의 삶과 소수자적 실상 — 금강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54) : 105-131, 2018

      7 박종훈, "수원박물관 소장 ≪金剛錄≫ 一考察" 한국언어문화학회 (56) : 109-134, 2015

      8 육재용, "산수유람록에 나타난 先人들의 觀光意識 일고찰 - 금강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20, 2010

      9 윤재환, "매산과 옥동의 금강산기행시문의 비교 연구-'금강도록기'와 '동유록', '동유편'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8) : 89-110, 2005

      10 池尙殷, "金剛錄"

      1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361-411, 1999

      2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연구소 24 : 242-280, 2004

      3 鄭胤永, "천하제일명산 금강산 유람기-瀛嶽錄" 수류화개 2021

      4 심경호, "조선후기 문인의 동류 체험과 한시" 한국한시학회 6 : 53-88, 1998

      5 이종묵, "조선 전기 문인의 금강산 유람과 그 문학" 한국한시학회 6 : 21-52, 1998

      6 박은정, "유산기(遊山記)로 보는 승(僧)의 삶과 소수자적 실상 — 금강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54) : 105-131, 2018

      7 박종훈, "수원박물관 소장 ≪金剛錄≫ 一考察" 한국언어문화학회 (56) : 109-134, 2015

      8 육재용, "산수유람록에 나타난 先人들의 觀光意識 일고찰 - 금강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20, 2010

      9 윤재환, "매산과 옥동의 금강산기행시문의 비교 연구-'금강도록기'와 '동유록', '동유편'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8) : 89-110, 2005

      10 池尙殷, "金剛錄"

      11 金昌協, "農巖集"

      12 金漢翼, "華東遺稿"

      13 박종훈, "后山 鄭胤永의 『瀛嶽錄』 一考察" 온지학회 (67) : 109-144, 2021

      14 이경수, "6세기 금강산 기행문의 작자와 저술배경" 국문학회 4 : 185-211, 2000

      15 강혜선, "17ㆍ8세기 金剛山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 관악어문연구 17 : 91-111,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47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