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포렌식 관점의 안드로이드 Lock 기능 분석 방안 연구 = Study on Digital Forensic Methodology of Android Lock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2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use of smartphone increased, smartphon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medium that handles or archives digital evidence, which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 criminal case.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collect and process relevant evidence in case of using the lock func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OS or an application easily downloaded from the App Market, since such function enables anti-forensic techniques that conceal or encrypt certain files or block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examiing methods of collecting and archiving passwords required for using various lock functions in Android OS smartphones. This study is to facilitate the process and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archived in smartphone and to help decipher an encrypted file or a password needed for a user to control the access to other digital devices.
      번역하기

      Since the use of smartphone increased, smartphon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medium that handles or archives digital evidence, which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 criminal case.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collect and process relevan...

      Since the use of smartphone increased, smartphon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medium that handles or archives digital evidence, which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 criminal case.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collect and process relevant evidence in case of using the lock func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OS or an application easily downloaded from the App Market, since such function enables anti-forensic techniques that conceal or encrypt certain files or block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examiing methods of collecting and archiving passwords required for using various lock functions in Android OS smartphones. This study is to facilitate the process and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archived in smartphone and to help decipher an encrypted file or a password needed for a user to control the access to other digital de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범죄 사건과 연관된 직/간접적 디지털 증거를 처리 ․ 보관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운영체제 자체에서 제공하는 잠금 기능을 사용하거나 앱마켓 등에서 쉽게 다운 받을 수 있는 잠금 기능의 어플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파일에 대한 은닉, 암호화 또는 특정 어플 실행 방지 등 디지털 증거를 부정(Anti-Forensic) 할 수 있게 되어 관련 증거를 수집 ․ 처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스마트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OS기반 스마트폰에서 각종 잠금 기능을 사용할 때 설정하는 비밀번호에 대한 저장 방식과 획득 방법을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보관되는 디지털증거에 대한 수집 ․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스마트폰에서 확보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다른 디지털 기기의 접근 제어 암호 해독 또는 암호화된 파일을 해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범죄 사건과 연관된 직/간접적 디지털 증거를 처리 ․ 보관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운영체제 자체에서 제공하는 잠금 ...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범죄 사건과 연관된 직/간접적 디지털 증거를 처리 ․ 보관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운영체제 자체에서 제공하는 잠금 기능을 사용하거나 앱마켓 등에서 쉽게 다운 받을 수 있는 잠금 기능의 어플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파일에 대한 은닉, 암호화 또는 특정 어플 실행 방지 등 디지털 증거를 부정(Anti-Forensic) 할 수 있게 되어 관련 증거를 수집 ․ 처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스마트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OS기반 스마트폰에서 각종 잠금 기능을 사용할 때 설정하는 비밀번호에 대한 저장 방식과 획득 방법을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보관되는 디지털증거에 대한 수집 ․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스마트폰에서 확보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다른 디지털 기기의 접근 제어 암호 해독 또는 암호화된 파일을 해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정훈, "안드로이드 사용정보 추출기법 연구" (6) : 73-88, 2010

      2 김선영, "비밀번호의 안전성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5 (5): 27-40, 2011

      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082201030927216002"

      4 Jansen, W., "Guidelines on Cell Phone Forensics"

      5 방송통신위원회, "2011 년 정보보호 실태조사(개인편)" 2012

      6 경찰청, "2011 경찰백서" 2011

      1 오정훈, "안드로이드 사용정보 추출기법 연구" (6) : 73-88, 2010

      2 김선영, "비밀번호의 안전성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5 (5): 27-40, 2011

      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082201030927216002"

      4 Jansen, W., "Guidelines on Cell Phone Forensics"

      5 방송통신위원회, "2011 년 정보보호 실태조사(개인편)" 2012

      6 경찰청, "2011 경찰백서"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Digital Forensics Societ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1 0.6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