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ulture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K-Beauty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화장품시장 산업규모는 세계 9위로 코로나19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0612
2024
Korean
Lifestyle ; Market Segmentation ; Cosmetics Market ; Cluster Analysis ; 라이프스타일 ; 시장세분화 ; 화장품시장 ; 군집분석
KCI등재
학술저널
113-127(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K-Culture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K-Beauty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화장품시장 산업규모는 세계 9위로 코로나19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
K-Culture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K-Beauty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화장품시장 산업규모는 세계 9위로 코로나19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품산업은 강한 수입구조를 지니기는 하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다품종소량생산이라는특징 때문에 중소기업에게도 충분한 시장성이 존재하는 시장이다. 현재까지 국내 화장품시장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이나 판매원의 판매전략과 관련된 것으로 라이프스타일이나 소비성향에따른 시장세분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해서 군집별 특성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이다. 최근 3개월 이내에 화장품을구매한 적이 있는 총 394명의 여성들로부터 설문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K-means Clustering을 한 결과 (1)기초화장품 중심형, (2)젊은학생형, (3)성분중시형, (4)화장품 애호가형 등 네 가지 군집으로 시장을 세분화 할 수있었다. 각각의 군집에 대해 설명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global interest in K-Culture rising, attention to the K-Beauty market has also grown significantly. As of2022, the Korean cosmetics market ranked ninth globally, showing substantial annual growth, even post-COVID-19. While the cosmetics indus...
With the global interest in K-Culture rising, attention to the K-Beauty market has also grown significantly. As of2022, the Korean cosmetics market ranked ninth globally, showing substantial annual growth, even post-COVID-19.
While the cosmetics industry has a strong import structure, it is an industry capable of generating high added value. Dueto its characteristic of small-batch, multi-product production, the market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even for small and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o date, studies on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have primarily focused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or salesstrategies of vendo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lifestyle and consumptiontendencies. This study analyzes the lifestyles of cosmetics consumers and segments the market accordingly to identify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94 women who had purchased cosmetics in the past three months. Using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the market was segmented into four clusters: (1)Skincare-FocusedGroup, (2)Young Student Group, (3)Ingredient-Conscious Group, and (4)Cosmetics Enthusiast Group. The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explain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부산 신항 물류창고의 ESG 경영이 기업이미지, 기업신뢰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급업자와의 이해관계 불일치가 관계해지 의향에 미치는 영향-공급업자에 대한 의존성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보험 서비스업에서 지각된 고객파워가 창의적 판매행동에미치는 영향-직무관련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TV홈쇼핑산업의 발전을 위한 규제 적정화 연구-라이브커머스 산업과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