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 상대량(相对量) 표현에서의 공간 은유 표현 대조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Spatial Orientation in the Relative Quantity Categ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47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denoting quantit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may be described as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and “expressions of quantities that fluctuates around the base v...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denoting quantit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may be described as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and “expressions of quantities that fluctuates around the base value”. In both languages, most of those two usages take the form of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and orientational schemas.
      For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Korean and Chinese show similarity between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and orietiantional schemas, which usually take symmetrical forms in both languages. There are two such types of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schema. First, expressions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re significant, such as “이외[i-oe]/이내[i-nae]” and “以外[yiwai]/以内[yinei]”, “밖[bakk]/안[an]”, “외[oe]/내[nae]” and “外[wai]/內[nei]”, “开外[kaiwai]”; the others are expressions in which the container boundary is significant, such as “만[man]” and “滿[man]”, “미만[mi-man]” and “未满[weiman]/不满[buman]”. Both languages are also similar in orientational expressions such as “이상[i-sang]/이하[i-ha]” and “以上[yishang]/以下[yixia]”, “위[wi]-아래[a-rae]” and “上[shang]/下[xia]”. This article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age of these counterpart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he two languages, when they occur with expressions of material quantity, amounts of substance, spatial quantity, time capacity, amounts of behavior and degrees.
      Korean and Chinese are different in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In Korean, there ar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schema, such as “내외[na-eoe]” and “안팎[an-bakk]”. However, there are no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The major orientational metaphorical expression in Korean is “전후[jeon-hu]” referring to front or back, and in Chinese the counterparts are represented as “左右[zuoyou]”, which means “left and right”, and “上下[shangxia]”, which means “up and down”.
      This article analyzes whether or not these abovementioned expressions can occur with expressions of material quantity, amounts of substance, spatial quantity, time capacity, amounts of behavior and degrees. This paper claims that language contact can account for similarities in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oth languages, whereas uniqueness in people’s ways of thinking can help us interpret the differences. The present comparative study can prove significant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Chinese students,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for Kore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어떤 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량(相对量) 표현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의 언어 표현’이고 다른 하나는 ‘기준 수량...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어떤 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량(相对量) 표현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의 언어 표현’이고 다른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든 적든 불확정한 경우의 언어 표현’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러한 상대량(相对量) 표현은 대부분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으로 나타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에서의 표현’에는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이 있다. 이런 표현은 흔히 대칭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릇 도식 표현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릇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이외/이내’와 ‘以外/以内’,‘밖/안’, ‘외/내’와 ‘外/內’,그리도 ‘开外’가 있다. 또 하나는 그릇의 경계에 못 미치는 것과 그릇의 경계에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만’과 ‘满’,‘미만’과‘未满/不满’등이 그것이다. 두 언어에서 같은 방향 도식 은유 표현은 ‘이상/이하’와 ‘以上/以下’,‘위/아래’와 ‘上/下’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두 언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는 공간 은유 표현들이 제각기 물량, 공간량, 시간량, 행위량, 등급량 표현과 어울릴 때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한·중 두 언어에서 ‘기준 수량보다 많든 적든 불확정한 경우의 언어 표현’에서 쓰이는 공간 은유 표현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그릇 도식 표현은 ‘내외’와 ‘안팎’이지만 중국어에는 이런 그릇 도식 표현이 없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방향 도식 표현은 주로 앞과 뒤를 표시하는 ‘전후’지만 중국어에서 쓰인 방향 도식 표현은 왼쪽과 오른쪽을 표시하는 ‘左右’와 위와 아래를 표시하는 ‘上下’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표현들이 물량, 공간량, 시간량, 행위량, 정도량, 등급량 표현과 함께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같은 공간 은유 상대량(相对量) 표현이 쓰이는 것은 언어의 접촉(language contact)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고 다른 공간 은유 상대량(相对量) 표현이 쓰이는 것은 한국 사람과 중국 사람들의 사유 방식이나 언어적인 습관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작업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학습, 한국어권 학습자의 중국어 교수-학습과 같은 제2언어의 학습과 교수에도 일정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옥자, "한국어의 수량범주와 그 표현 양상" 국어학회 (68) : 225-251, 2013

      2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3 임지룡, "영상 도식의 인지적 의미 특성" 한국어문학회 60 : 189-211, 1997

      4 김해연, "국어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안팎’과 ‘내외’의 의미와 용법의 비교 연구" 언어연구소 (60) : 23-53, 2013

      5 손평효, "공간말 ‘위’, ‘아래’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9 : 291-317, 2012

      6 췌이펑웨이,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7 : 293-310, 2012

      7 方经民, "现代汉语方位参照聚合类型" 语言研究编辑部 13 : 3-13, 1987

      8 李宇明, "汉语量范畴研究" 华中师范大学出版社 2000

      9 유성은, "中國語와 韓國語의 空間槪念 隱喩에 關한 一考" 동아인문학회 (9) : 299-320, 2006

      10 邢福义, "‘X以上’格式在现代汉语中的演进" 语言研究编辑部 30 : 1-10, 2010

      1 채옥자, "한국어의 수량범주와 그 표현 양상" 국어학회 (68) : 225-251, 2013

      2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3 임지룡, "영상 도식의 인지적 의미 특성" 한국어문학회 60 : 189-211, 1997

      4 김해연, "국어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안팎’과 ‘내외’의 의미와 용법의 비교 연구" 언어연구소 (60) : 23-53, 2013

      5 손평효, "공간말 ‘위’, ‘아래’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9 : 291-317, 2012

      6 췌이펑웨이,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7 : 293-310, 2012

      7 方经民, "现代汉语方位参照聚合类型" 语言研究编辑部 13 : 3-13, 1987

      8 李宇明, "汉语量范畴研究" 华中师范大学出版社 2000

      9 유성은, "中國語와 韓國語의 空間槪念 隱喩에 關한 一考" 동아인문학회 (9) : 299-320, 2006

      10 邢福义, "‘X以上’格式在现代汉语中的演进" 语言研究编辑部 30 : 1-10, 2010

      11 이홍매, "‘이상’, ‘이하’의 의미 연구 -범위 한정의 뜻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3 : 229-257, 2010

      12 曾传禄, "‘里、中、内、外’方位隐喻的认知分析" 贵州师范大学学报编辑部 132 : 104-107, 2005

      13 张豫峰, "‘X+前后/左右/上下’的分析" 语言教学与研究编辑部 3 : 30-36, 2004

      14 Lakoff, George,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