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19년‘생활SOC 3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생활SOC 시설이 부족한 지역은 확충하고 노후화된 기존 시설은 리모델링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생활SOC 시설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87958
2024
Korean
생활SOC ; 복합화 ; 공용공간 ; 영역성 ; 중간영역 ; Life SOC ; Complexities ; Common-Use Space ; Territoriality ; Intermediate Territory
KCI등재
학술저널
57-6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19년‘생활SOC 3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생활SOC 시설이 부족한 지역은 확충하고 노후화된 기존 시설은 리모델링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생활SOC 시설을 ...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19년‘생활SOC 3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생활SOC 시설이 부족한 지역은 확충하고 노후화된 기존 시설은 리모델링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생활SOC 시설을 하나의 부지 또는 건물에 모아 단일 혹은 연계 시설물로 건립하는 생활SOC 복합화 사업을 핵심과제로 수립하였고, 그 결과 530건의 복합화 시설을 선정하고, 전국 228개 시군구 중 202개에 1곳 이상 복합화 시설 조성을 추진하였다. 생활SOC 3개년계획이 종료된 이후에도 생활SOC 복합화 시설은 각 지자체에서 꾸준히 계획되면서 그 수요와 기대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현재 생활SOC 복합화 시설의 공간 계획에 대한 기준의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사례를 통해 복합화 시설의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영역성 분석을 통해서 공용공간의 계획적 방법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2개 이상의 시설이 하나의 부지 또는 건물에 복합화 된 복합화 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국내·외 선진 사례는 공공시설이 복합화된 우수한 사례를 선정하였고, 국내 사례는 생활SOC 복합화 시설이 복합화 된 사례에 집중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생활SOC의 개념과 생활SOC 복합화 유형, 공용공간의 개념을 정리한 후, 영역성 측면에서 공용공간의 활용 방법을 파악한다. 이후 국내·외 선진사례의 복합화 유형과 시설 간 결합유형 분석을 통해 복합화 시설에서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용공간의 이용 프로그램과 건축 계획 방법을 분석하여, 복합화 시설의 공용공간에 중간영역을 형성하는 계획적 방법을 탐색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공용공간의 활용 방법에 따라 복합화 시설의 물리적·기능적 통합의 수준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공용공간이 단순히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되거나 아트리움 등 보이드 공간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시각적인 연결성만 형성한다면, 각 시설이 물리적·기능적으로 연계되지 않고 공용공간도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용공간을 매개로 물리적 경계 없이 공간을 연결하고. 내부에 이용자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중간영역을 형성할 때, 각 시설의 물리적·기능적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 공용공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역설적으로 그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SOC 또한 지역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는 시설로, 생활SOC 복합화 시설에서 공용공간은 더 중대한 역할을 맡게 된다. 연구를 통해 공용공간을 매개로 한 생활SOC 복합화 시설의 계획적 방법의 중요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9,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Life SOC Three-Year Plan’ to resolve the shortage of Life SOC facilities and to renovate aged facilities. A core business of this plan was the Life SOC complex project, which aimed ...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9,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Life SOC Three-Year Plan’ to resolve the shortage of Life SOC facilities and to renovate aged facilities. A core business of this plan was the Life SOC complex project, which aimed to construct facilities by combining two or more Life SOC facilities on a single site or building, either as single or interconnected structures. Consequently, 530 complex facilities were selected, with at least one planned in 202 of 228 regions nationwide. Even after the plan ended, the demand and expectation for Life SOC complex facilities continued to grow, with municipalities planning new one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t enough standards for the spatial planning of complex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rritoriality in the common-use spaces of complex facilities based on advanced cases and derive planning methods for common-use spaces.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facilities where two or more structures are combined on a single site or within a single build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dvanced cases were selected as superior cases with complex public facilities, and the domestic cases focused on cases with life SOC complex facili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reviewing previous studies to organize the concepts of Life SOC, Life SOC complex types, and common use spaces, and then identifying how these spaces are util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erritoriality. Following this, an analysis of the complex types and types of integration between faciliti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s conducted to deriv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use spaces in these complex fac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nalyzes the utilization programs and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s for common-use spaces and explores planning methods that make intermediate territories within these spac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d functional integration of complex facilities varies depending on how common-use spaces are utilized. When these spaces are merely used for circulation or are visually connected by voids like atriums without physical connection, the facilities remain functionally and physically disconnected, and the common-use spaces are underutilized. However, when common-use spaces are used to connect areas without physical boundaries and programs that activate user activities are introduced to form intermediate territories, it can lead to the physical and functional integration of the facilities. (Conclusions) Although common-use spaces are intended for everyone’s free use, their role and significance are often overlooked. Similarly, Life SOC facilities are designed for everyday use by local residents, and the common-use spaces in Life SOC complex facilities play an even more important role.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planning methods that utilize common-use spaces as intermediaries in Life SOC complex facilities.
프랙털(Fractal) 특성을 적용한 형상 문법 생성 연구 - 프랙털 기하학 특성이 적용된 형상 문법 건축 조형의 미의식 중심으로 -
형태기반코드를 통한 한국 도시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테헤란로 일대 스카이라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