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어린이 그림책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 급속히 성장해 왔다. 또한 출판시장의 개방과 세계 아동 도서전의 참가와 더불어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604872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학위논문(석사) --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 2002
2002
한국어
657.5 판사항(4)
서울
69 p. : 삽도 ; 26 cm.
참고문헌: p. 56-5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어린이 그림책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 급속히 성장해 왔다. 또한 출판시장의 개방과 세계 아동 도서전의 참가와 더불어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어린이 그림책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 급속히 성장해 왔다. 또한 출판시장의 개방과 세계 아동 도서전의 참가와 더불어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시점에 있다. 하지만 무엿보다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것은 우리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정서가 담긴 그림책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양적인 증가는 물론, 질적으로도 우수한 그림책을 우리 어린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림책을 만드는 사람들, 즉 글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편집인 모두에게 그림책에 대한, 그리고 한국적인 것에 대한 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그림책 만들기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람은 그림을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당연하다. 한국적인 그림책에 의문을 갖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오늘날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독립된 장르로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작가의 내면이 그대로 작품에 투영된다는 점에선 순수회화와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순수회화 작가의 작가론을 토대로 예술가로서 또는 창작의 주체로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의 유추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세 작가는 향토적, 민족적 정서를 담고 있는 소재를 개성있고 독특한 조형언어로 표현하여 누구에게나 애착을 주는 작품을 구현하는 데 성공한 작가이다. 세 작가의 작가론을 통해서 우리는 그 주된 원인이 한국인으로서의 주체의식과 한국적인, 또 주변적인 것에 대해 집착하고 몰두했다는 데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한국적인 작품 표현을 위한 작가 정신을 보다 심도있게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는 그림책을 통해서 어린이의 문화를 생산하는 주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책이라는 매체에 대한 장르적 인식에 철저해야 한다. 류재수, 이억배, 정승각, 권윤덕은 한국 창작 그림책의 질적 향상을 가져온 몇 안 되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림책 작가이다. 한국적 그림책을 모색하는 이들의 작가론은 우리에게 오늘의 어린이들이 처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어린이들에게 생산적·창조적 문화를 만들어 주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투철한 작가 정신을 일깨워 준다.
예술가로서, 또 한국인으로서 주체의식을 갖고, 그림책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한국의 그림책 분야에서 지금 무엇이 문제인가를 인식하고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자세는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의 시작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나름의 그림책관을 정립하고, 그림책을 통해서 어린이에게 무엇을 어떠한 표현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연구할 때, 비로소 우리 어린이에게는 물론 세계 어린이들에게도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전할 수 있는 우리다운 그림책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90th, Korean children's books have improved sharply in the quality as well as in the quantity. Publishing industry has opened for overseas and is participating the World Children's Book Fare are encouraging people to publish original Korean chi...
In the 90th, Korean children's books have improved sharply in the quality as well as in the quantity. Publishing industry has opened for overseas and is participating the World Children's Book Fare are encouraging people to publish original Korean children books. But most important things of all is providing books those should include Korean Cultures and Korean Mind to our Children.
For providing lots of good Picture books to our children, Children books maker such as writers, illustrators, or editors should study for goo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Specially, illustrators have most important role for making picture book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need right spirit for those illustrators. Having questions for Korean style Picture books and Trying harder to find answers are coming from writers professionalism
Now a days, Picture Books illustrations are independent Genre that recognized as a value of art, and it is almost same as fine art, representing writers' mind in the book. On this point of view, based on theory of fine artist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spirits of illustrators as an Artists or as the main body of creators. For example, Su Kun Park, Jung Sup Lee and Whan Ki Kim are successful to express contents of their tender of local color and race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of language appearing to any of readers. Through above three Writers' ideology, we can confirm the main reasons those are cause of cling and concentrating on the subjective awareness as a Koran and circumstance. with this reveal, this is a good opportunity to consider expressing more like Korean for Illustrators.
Picture books illustrators are main body to guide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therefore they have to make sure recognition of Genre about media as Picture books. Jae Su Ryu, Uk Bae Lee, Seung gak Jung, and Yuri Duk Kwon are the illustrators who contribute better quality Koran Picture books to publishing industry. The Ideology of The people who looking for Korean style Picture Books are knowing the problems of environments that our children are in, and encourage themselves to make productive and creative culture for our children.
As an Artist, as a Korean who having subjective awareness, or as a Picture book maker, to recognize what the problems this industry has and try to improve those problems are real first step to make proper Korean Picture books. On the this circumstance, setting right ideology for Picture books, and when considering what messages passing to the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finally we can create real Korean Picture books those can appeal and introduce our culture and mind to our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in the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