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입법자는 위장도급의 방지책의 하나로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내용으로 하는 공개의무를 파견법에 규정하여 이를 2017년 4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9235
오윤식 (-)
2025
Korean
the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emporary agency workers ; fiction of an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a user undertaking ; sham contracts for work ; sham service contracts ; temporary agency work contracts ; temporary agency work employment contracts ; 근로자파견표기의무 ; 신원특정의무 ; 근로관계의제 ; 위장도급계약 ; 위장고용계약 ; 근로자파견계약 ; 파견근로계약
KCI등재
학술저널
315-34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입법자는 위장도급의 방지책의 하나로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내용으로 하는 공개의무를 파견법에 규정하여 이를 2017년 4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독...
독일 입법자는 위장도급의 방지책의 하나로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내용으로 하는 공개의무를 파견법에 규정하여 이를 2017년 4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독일 파견법상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고찰한 글이다. 또한 독일 파견법 제9조, 제10조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가 동법 제1조 제1항 제5문과 제6문으로 규정된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견근로자와 파견사업주 간의 파견근로계약의 무효(제9조) 그리고 파견근로자와 사용사업주 간의 근로관계의제(제10조)를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규율에 따르면, 해당 법률관계의 실질이 근로자파견임에도, 파견법상 규제를 잠탈하기 위하여 도급계약 또는 고용계약으로 의도적으로 가장(假裝)하는 경우(이른바 ‘위장도급계약 또는 위장고용계약’)뿐만 아니라, 그러한 가장 의도가 없는 경우까지 일률적으로 그러한 무효 및 근로관계의제의 법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규율하고 있다. 본고에서 후자의 경우에 대해서도 그러한 무효 및 의제를 적용하는 것은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성이 상당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위헌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독일 민법전상 가장행위에 기초하여 독일 파견법의 관련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정안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파견법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근로자파견표기의무와 신원특정의무를 수용하는 법안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함으로 우리 법하에서도 위장도급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akes a critical view of the duty to designate the supply of personnel as temporary agency work(hereafter “the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and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he temporary agency workers (TAW...
This article takes a critical view of the duty to designate the supply of personnel as temporary agency work(hereafter “the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and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he temporary agency workers (TAWs) to be assigned to the user undertaking(hereafter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he TAWs”) under the German Act on Temporary Agency Work. In order to prevent sham contracts for work and sham service contracts, the German legislature had introduced the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and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AWs in the Act on Temporary Agency Work. This Act has been in effect since 1 April 2017.
Sections 9 and 10 of the Act on Temporary Agency Work state that if a temporary work agency and a user undertaking fail to perform the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and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AWs as required in section 1(1) sentences 5 and 6 of the same Act, a temporary agency work employment contract between a temporary work agency and a TAW is invalid (Section 9) and an employment relationship is deemed to exist between the TAW and the user undertaking (Section 10).
However, these regulations apply not only to cases where the legal relationship is intentionally disguised as contracts for work or service contracts to evade regulations under the Act on Temporary Agency Work (so-called sham contracts for work or sham service contracts), but also to cases where there is no intention to sham the legal relationship as a sham contract for work or a sham service contract.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the application of invalidity and fiction of an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a user undertaking in the latter case is unconstitutional as it infringes on the occupational freedom of temporary work agencies and user undertakings.
Additionally, this article proposes amendments to the Act on Temporary Agency Work to address its potential unconstitutionality based on a sham transaction under the German Civil Code, and according to these amendments, this article suggests a bill to adopt the above-mentioned duty to designate temporary agency work and the duty to specify the personal details of TAWs, taking into account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AWs.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pe with sham contracts for work and sham service contracts under Korean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