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의 경영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강의 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 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상업교육의 당면 과제를 위한 주요 요소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의 경영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강의 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 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상업교육의 당면 과제를 위한 주요 요소인...
본 연구는 대학의 경영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강의 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 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상업교육의 당면 과제를 위한 주요 요소인 영어 강의의 활성화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Ajzen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그가 소개한 2 단계 조사 방법론을 적용하여, 1단계 예비설문조사에서는 영어강의와 관련된 부각된 신념, 규범적 준거인 그리고 통제요인을 도출 하여 설문 문항을 설계하고, 이를 2단계 본 설문조사에서 실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기법으로는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계획된 행동이 론이 대학생들의 영어강의 수강의도를 예측하고 설명하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대학생 들의 영어강의 수강의도는 영어강의에 대한 그들의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지각된 행동 통제는 중간 정도의 영향을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한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광희, "재무회계 영어 강의가 강의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43-64, 2011
2 진성희, "영어활용능력, 영어학습동기, 영어성취욕구, 영어자신감이 영어강의 만족도 및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16-23, 2011
3 유경애, "영어전용강의(EMI)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영어학학회 (28) : 67-89, 2009
4 강소연, "영어강의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 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17 (17): 33-53, 2004
5 유근선, "실무영어교과에 대한 학습자 인식조사 - 전문대학 비서 · 사무 관련학과 현황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1 (11): 31-51, 2002
6 이기호, "상업정보계 고등학교 회계교육으로의 영어 몰입교육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1 : 1-22, 2008
7 김주은, "비상경계열 전공자들의 교양회계교과에 대한 인식과 개선에 관한 분석: 비전공자 대상 공학회계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41-170, 2017
8 박분주, "대학전공교육에 있어서 영어 원어강의의 효과 :원어민과 비원어민교수 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비교" 현대문법학회 (69) : 223-260, 2012
9 박혜숙, "대학에서의 전공영어강의 수강 경험,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경험, 고3 때의 특성, 대학에서의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진로결정 유형과 고용상태와의 관계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42-452, 2014
10 김민정, "대학 영어전용 교과의 수업 방법 개선 방안 탐색과 적용: 수행공학 모형(HPT Model)을 바탕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1-57, 2007
1 조광희, "재무회계 영어 강의가 강의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43-64, 2011
2 진성희, "영어활용능력, 영어학습동기, 영어성취욕구, 영어자신감이 영어강의 만족도 및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16-23, 2011
3 유경애, "영어전용강의(EMI)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영어학학회 (28) : 67-89, 2009
4 강소연, "영어강의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 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17 (17): 33-53, 2004
5 유근선, "실무영어교과에 대한 학습자 인식조사 - 전문대학 비서 · 사무 관련학과 현황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1 (11): 31-51, 2002
6 이기호, "상업정보계 고등학교 회계교육으로의 영어 몰입교육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1 : 1-22, 2008
7 김주은, "비상경계열 전공자들의 교양회계교과에 대한 인식과 개선에 관한 분석: 비전공자 대상 공학회계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41-170, 2017
8 박분주, "대학전공교육에 있어서 영어 원어강의의 효과 :원어민과 비원어민교수 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비교" 현대문법학회 (69) : 223-260, 2012
9 박혜숙, "대학에서의 전공영어강의 수강 경험,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경험, 고3 때의 특성, 대학에서의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진로결정 유형과 고용상태와의 관계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42-452, 2014
10 김민정, "대학 영어전용 교과의 수업 방법 개선 방안 탐색과 적용: 수행공학 모형(HPT Model)을 바탕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1-57, 2007
11 황종배, "대학 영어강의의 효과: 전공지식과 영어 능력 측면에서" 한국영어학회 11 (11): 77-97, 2011
12 이선영, "대학 영어강의의 현황 탐색과 실천적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교수·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6 (56): 419-446, 2014
13 한경희, "글로벌 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영어강의의 역할과 과제"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53-60, 2010
14 홍주운, "교육중심 대학의 회계교육 발전에 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7 (27): 21-43, 2013
15 강소연·, "공학분야에서의 영어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에 대한 기초 연구" 7 (7): 87-96, 2004
16 강소연, "공학 전공과목의 영어강의에 관한 연구" 11 (11): 54-58, 2004
17 이부형, "공학 전공과목 영어강의에서 효율적인 교수법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188-194, 2010
18 박혜숙, "공과대학에서의 전공 영어강의의 효과" (33) : 86-119, 2006
19 문선정,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한방의료 이용 의도 분석" 한국산업경영학회 32 (32): 21-43, 2017
20 문석환, "경영학 전공에 대한 EMI 서비스 품질평가와 개선 우선순위 도출"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156-175, 2014
21 문석환, "경영학 전공과목에 대한 영어강의 서비스품질과 선행요인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149-168, 2015
22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Inc. 1980
23 Ajzen, I.,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24 Sommer, L., "Internationalization Processe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a Matter of Attitude" 8 : 288-317, 2010
25 최수정, "English as an Instructional Medium in Korean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Professors"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8 (18): 25-51, 2012
26 Ajzen, I.,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27 Hair, J.,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2014
현금보유가 공격적 세무보고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재무건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황요인에 따른 경영전략과 관리통제시스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영학 교육 혁신과 전문자격사 제도 선진화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1.378 | 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