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연구는 모두 3부구성으로 되어있다.제1부는 '文을 어떻게 보았는가'라는 제목으로, 일본어연구에 있어서의 文파악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1장에서는 先學들이 文을 어떻게 보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116604
[토호쿠] : 東北大學 大學院, 2004
2004
일본어
730 판사항(4)
301p. : Illustrations ; 26cm.
References: p. 293-3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연구는 모두 3부구성으로 되어있다.제1부는 '文을 어떻게 보았는가'라는 제목으로, 일본어연구에 있어서의 文파악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1장에서는 先學들이 文을 어떻게 보았는...
본연구는 모두 3부구성으로 되어있다.제1부는 '文을 어떻게 보았는가'라는 제목으로, 일본어연구에 있어서의 文파악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1장에서는 先學들이 文을 어떻게 보았는지를, 특히 文성립의 문제를 중심으로 개관하였다.2장에서는 일본어모달리티론의 '모달리티'의개념과 진술론의'진술'개념의 상관에 대해서 文파악의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제2부에서는,'文을 어떻게 볼것인가'라는 제목으로, 제1부의 검토를 토대로, 본연구가 생각하는, 話者를 文의 중심에 둔 文파악을 구체적으로 전개하였다.3장에서는 일본어文연구에 있어서의 '명제'에 대해, 4장에서는 화자의 사태내용에 대한 '판단'에 대해, 그리고 5장에서는 文과 發話에 있어서의 인식적단계의 구조와 형식의 단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3부는,'화자의 인식적판단과 형식의 多義性에 관련된 현상'이라는 제목으로,발화의 사태내용에 관한 화자의 인식적판단의 카테고리로서의'질문''의문''추량'과,그것과 관련되는 언어의 형식적요소가, 서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발화의 의미용법이 정해지는 현상을 고찰하였다.6장에서는 질문문에는 화자의 인식적판단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하였고, 7장에서는 의문의 형식[까나][까시라][다로오까][노데와나이까]의 형식을, 8장에서는[다로오],9장에서는[요오다],10장에서는[라시이],그리고 11장에서는'부사'와 화자의 인식적판단과의 관련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 12장에서는 본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본연구는, 화자가 말하는 發話나 文은, 사태와 인식, 그리고 형식의 삼위일체이라고 생각한다.동시에, 발화의 중심은 화자이며, 따라서 발화의 구조는 다름아닌 화자주체의 인식적파악에서 그 근거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아래 왼쪽은 종래연구의 일본어文에 대한 파악을, 오른쪽은 본 연구의 文에 대한 파악을 간략히 표시한 것이다. |----명제(사태) |----사태에의 인식 언어형식--| 화자--| |----주체(화자) |----언어형식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