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분리저장 방법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0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재 최근 막걸리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막걸리의 경우 유통 중 발효현상에 따른 저장 안정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저장을 위한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장 시료로는 대조구 및 원심분리를 하여 얻은 상층액(SS), 침전물(SD)로 하였다. 저장 실험은 10oC에서 30일 동안 시행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취한 시료에 대해 이화학 분석 및 미생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군에 대해서 환원당은 10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도 및 색도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침전물 부분은 yellowness value가 저장 초기보다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미생물의 경우 유산균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효모는 저장 15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의차는 크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원심분리한 후 저장한 시료군에 대하여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저장 방법이 저장 유통 중 막걸리의 품질변화 개선 효과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막걸리 제품에 대해 분리형 포장 기법이 막걸리 유통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재 최근 막걸리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막걸리의 경우 유통 중 발효현상에 따른 저장 안정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재 최근 막걸리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막걸리의 경우 유통 중 발효현상에 따른 저장 안정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저장을 위한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장 시료로는 대조구 및 원심분리를 하여 얻은 상층액(SS), 침전물(SD)로 하였다. 저장 실험은 10oC에서 30일 동안 시행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취한 시료에 대해 이화학 분석 및 미생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군에 대해서 환원당은 10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도 및 색도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침전물 부분은 yellowness value가 저장 초기보다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미생물의 경우 유산균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효모는 저장 15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의차는 크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원심분리한 후 저장한 시료군에 대하여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저장 방법이 저장 유통 중 막걸리의 품질변화 개선 효과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막걸리 제품에 대해 분리형 포장 기법이 막걸리 유통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there are great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foods. Thus, the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makgeolli processing have been constantly accomplished. In case of makgeolli, the storage stabi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 during distribution is still progress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orage stability of makgeolli by separation storage methods. During the 30-day storage at 10oC, pH value, titratable acidity, color value, sugar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alcohol content were measured. Microbial cell counts were also evaluated. Reducing sugar content was decreased after 10 days for all the samples. In the case of titratable acidity and color, these values were constantl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Especially, the yellowness value of the precipitate of makgeolli was increased by two times than that of the beginning.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for lactic acid bacteria with storage time. In case of yeast,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after 15 days, but the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The quality changes in the samples from centrifugal separation were relatively less than the control. Therefore, the separation storage method could affect the enhancement of makgeolli quality during distribution
      번역하기

      Du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there are great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foods. Thus, the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makgeolli processing have been constantly accomplished. In case of makgeolli, the storage stability is very impor...

      Du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there are great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foods. Thus, the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makgeolli processing have been constantly accomplished. In case of makgeolli, the storage stabi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 during distribution is still progress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orage stability of makgeolli by separation storage methods. During the 30-day storage at 10oC, pH value, titratable acidity, color value, sugar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alcohol content were measured. Microbial cell counts were also evaluated. Reducing sugar content was decreased after 10 days for all the samples. In the case of titratable acidity and color, these values were constantl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Especially, the yellowness value of the precipitate of makgeolli was increased by two times than that of the beginning.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for lactic acid bacteria with storage time. In case of yeast,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after 15 days, but the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The quality changes in the samples from centrifugal separation were relatively less than the control. Therefore, the separation storage method could affect the enhancement of makgeolli quality during distribu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