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용 어휘 선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56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a systematic framework and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tailored to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onstructing a meaningful cultural vocabulary list based on this framework.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ir academic and social goals have become more diverse. This shift underscores the growing need for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that not only deepens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supports their academic success and social adaptation. Specifically,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require cultural and academic knowledge beyond basic communication skills to navigate their academic pursuits and social activities effectively. To fulfill these needs,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ed framework and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compiled a meaningful vocabulary list.
      In the initial phase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discussed, and the status of foreigner-exclusive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directions for cultural education suitable for these learners were identified. The study confirmed that Korean cultural education should encompass Everyday Cultural Knowledge, University Life Cultural Knowledge, and Korean Studies-Related Cultural Knowledge, the latter of which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academic understanding.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viewed frameworks for classifying cultural topic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established a systematic structure and thematic categories aligned with the proposed directions. Using these categories, the study compiled a preliminary vocabulary list, drawing from existing cultural vocabulary lists, cultural textbooks for foreigners, and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textbooks.
      Each vocabulary item in the preliminary list was syste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osed cultural classification framework. To select vocabulary items that meet the criteria for cultural vocabulary, the study applied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vocabulary closely related to learners' academic purposes and goals, vocabulary representing specific aspects of Korean culture, vocabulary with sociocultural or historical value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Korea, vocabulary effectively representing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vocabulary containing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beyond its basic meaning, vocabulary unique to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existing in other languages but carrying symbolic meanings related to Korean culture, and vocabulary universally recognized and understood by Koreans. Through this process, a secondary vocabulary list containing 1,523 items was created.
      After reviewing the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secondary list, gaps were identified and supplemented using major thematic keywords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se textbooks contain foundational content widely familiar to Koreans, making them suitable for academic-purpose Korean cultural education. Additional resources were consulted to refine the vocabulary, and a final cultural vocabulary list consisting of 1,690 items was completed.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utilizing the selected vocabulary. A syllabus for Korean cultural classes was designed with “Korean History” and “University Life” as themes, structured for one semester at the university level. To teach the vocabulary effectively to academic-purpose learners, educational cont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me was developed and presented as practical examples. Additionally,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methodologies, including theme-based and adjunct models, were applied to propose concrete cultural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offers a systematic and detailed cultural education model based on cultural vocabulary, providing valuable resources for both learners and educators. However, a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syllabi for two themes, develop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diverse topics and applying it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remain tasks for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a systematic framework and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tailored to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onstructing a meaningful cultural vocabulary list based on this framework. With the increas...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a systematic framework and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tailored to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onstructing a meaningful cultural vocabulary list based on this framework.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ir academic and social goals have become more diverse. This shift underscores the growing need for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that not only deepens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supports their academic success and social adaptation. Specifically,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require cultural and academic knowledge beyond basic communication skills to navigate their academic pursuits and social activities effectively. To fulfill these needs,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ed framework and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compiled a meaningful vocabulary list.
      In the initial phase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discussed, and the status of foreigner-exclusive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directions for cultural education suitable for these learners were identified. The study confirmed that Korean cultural education should encompass Everyday Cultural Knowledge, University Life Cultural Knowledge, and Korean Studies-Related Cultural Knowledge, the latter of which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academic understanding.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viewed frameworks for classifying cultural topic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established a systematic structure and thematic categories aligned with the proposed directions. Using these categories, the study compiled a preliminary vocabulary list, drawing from existing cultural vocabulary lists, cultural textbooks for foreigners, and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textbooks.
      Each vocabulary item in the preliminary list was syste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osed cultural classification framework. To select vocabulary items that meet the criteria for cultural vocabulary, the study applied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vocabulary closely related to learners' academic purposes and goals, vocabulary representing specific aspects of Korean culture, vocabulary with sociocultural or historical value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Korea, vocabulary effectively representing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vocabulary containing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beyond its basic meaning, vocabulary unique to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existing in other languages but carrying symbolic meanings related to Korean culture, and vocabulary universally recognized and understood by Koreans. Through this process, a secondary vocabulary list containing 1,523 items was created.
      After reviewing the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secondary list, gaps were identified and supplemented using major thematic keywords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se textbooks contain foundational content widely familiar to Koreans, making them suitable for academic-purpose Korean cultural education. Additional resources were consulted to refine the vocabulary, and a final cultural vocabulary list consisting of 1,690 items was completed.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utilizing the selected vocabulary. A syllabus for Korean cultural classes was designed with “Korean History” and “University Life” as themes, structured for one semester at the university level. To teach the vocabulary effectively to academic-purpose learners, educational cont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me was developed and presented as practical examples. Additionally,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methodologies, including theme-based and adjunct models, were applied to propose concrete cultural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offers a systematic and detailed cultural education model based on cultural vocabulary, providing valuable resources for both learners and educators. However, a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syllabi for two themes, develop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diverse topics and applying it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remain tasks for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문화어휘 목록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와 함께 유학생들의 학문적·사회적 목표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이 한국 사회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학문적 성공과 사회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단순한 의사소통 능력을 넘어 학업과 사회적 활동에 필요한 문화적·학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의미한 어휘 목록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대학에서 운영되는 외국인 전용 교과목의 개설·운용 현황을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문화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문화교육은 일상적 문화 지식, 대학 생활과 관련된 문화 지식, 그리고 학문적 이해를 위한 한국학적 문화 지식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한국문화교육에서 문화를 분류하는 체계를 검토하여 본고에서 제안하는 방향성에 맞는 문화교육의 체계와 주제 범주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으로 활용할 문화어휘 목록을 구성하였다. 어휘 선정 과정에서는 기존 문화어휘 목록, 외국인 대상 문화 교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1차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1차 어휘 목록에 포함된 각 어휘를 본고에서 제안한 문화 분류 방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어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문화어휘로서 기준에 부합하는 어휘를 선정하고, 부합하지 않는 어휘는 제외하였다. 이를 위한 어휘 선정 기준은 ‘학습자의 학습 목적과 목표에 밀접하게 연계된 어휘’, ‘특정 한국문화의 속성을 대표하는 어휘’, ‘한국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 문화적·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어휘’, ‘한국의 현대 문화를 잘 보여 주는 동시에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 ‘기본 의미 외에 한국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포함하는 어휘’,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어휘’, ‘다른 언어에도 존재하지만 한국문화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어휘’이다. 그리고 ‘한국인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의 어휘’라는 기준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1,523개의 어휘를 2차 어휘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2차 어휘 목록의 주제별 분류 결과를 검토한 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어 목록을 참고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주제어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익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문 목적 한국문화교육의 어휘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여러 자료를 추가로 참고하여 어휘를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1,690개의 어휘로 구성된 문화어휘 목록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본고는 문화어휘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된 문화어휘를 바탕으로 ‘한국 역사’와 ‘대학 생활’을 주제로 한 한국문화 수업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는데 해당 교수요목은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운영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각 주제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 사례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내용 중심 언어 교수(Content-Based Instruction, CBI)의 방법론 중 주제 중심 언어 교수와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적합한 문화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어휘를 기반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문화교육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시된 어휘 목록과 교수요목은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두 가지 주제에 국한된 교수요목 구상에 머물렀기에 다양한 주제의 한국문화교육 구성과 실제 교육 현장 적용은 향후 과제로 남기며 본 연구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문화어휘 목록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 한국 내 외국인 유학...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문화어휘 목록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와 함께 유학생들의 학문적·사회적 목표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이 한국 사회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학문적 성공과 사회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단순한 의사소통 능력을 넘어 학업과 사회적 활동에 필요한 문화적·학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의미한 어휘 목록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대학에서 운영되는 외국인 전용 교과목의 개설·운용 현황을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문화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문화교육은 일상적 문화 지식, 대학 생활과 관련된 문화 지식, 그리고 학문적 이해를 위한 한국학적 문화 지식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한국문화교육에서 문화를 분류하는 체계를 검토하여 본고에서 제안하는 방향성에 맞는 문화교육의 체계와 주제 범주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으로 활용할 문화어휘 목록을 구성하였다. 어휘 선정 과정에서는 기존 문화어휘 목록, 외국인 대상 문화 교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1차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1차 어휘 목록에 포함된 각 어휘를 본고에서 제안한 문화 분류 방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어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문화어휘로서 기준에 부합하는 어휘를 선정하고, 부합하지 않는 어휘는 제외하였다. 이를 위한 어휘 선정 기준은 ‘학습자의 학습 목적과 목표에 밀접하게 연계된 어휘’, ‘특정 한국문화의 속성을 대표하는 어휘’, ‘한국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 문화적·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어휘’, ‘한국의 현대 문화를 잘 보여 주는 동시에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 ‘기본 의미 외에 한국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포함하는 어휘’,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어휘’, ‘다른 언어에도 존재하지만 한국문화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어휘’이다. 그리고 ‘한국인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의 어휘’라는 기준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1,523개의 어휘를 2차 어휘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2차 어휘 목록의 주제별 분류 결과를 검토한 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어 목록을 참고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주제어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익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문 목적 한국문화교육의 어휘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여러 자료를 추가로 참고하여 어휘를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1,690개의 어휘로 구성된 문화어휘 목록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본고는 문화어휘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된 문화어휘를 바탕으로 ‘한국 역사’와 ‘대학 생활’을 주제로 한 한국문화 수업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는데 해당 교수요목은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운영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각 주제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 사례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내용 중심 언어 교수(Content-Based Instruction, CBI)의 방법론 중 주제 중심 언어 교수와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적합한 문화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어휘를 기반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문화교육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시된 어휘 목록과 교수요목은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두 가지 주제에 국한된 교수요목 구상에 머물렀기에 다양한 주제의 한국문화교육 구성과 실제 교육 현장 적용은 향후 과제로 남기며 본 연구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차례 ⅲ
      • 그림 차례 ⅵ
      • 국문 요약 ⅶ
      • 1. 서론 1
      • 표 차례 ⅲ
      • 그림 차례 ⅵ
      • 국문 요약 ⅶ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4
      • 1.2.1.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연구 5
      • 1.2.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연구 9
      • 1.2.3. 문화어휘 관련 연구 12
      • 1.3. 논의의 구성 16
      • 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이론과 현황 18
      • 2.1. 문화교육의 필요성 18
      • 2.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분석 29
      • 2.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목표와 방향성 47
      • 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체계화 56
      • 3.1. 문화 분류와 문화교육 체계 56
      • 3.2. 한국문화교육의 내용 64
      • 3.3.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어휘 76
      • 4.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 81
      • 4.1. 연구 대상 82
      • 4.2. 어휘 선정 방안 92
      • 4.2.1. 문화어휘 추출 방안 93
      • 4.2.2. 문화어휘 분류 및 선정 방안 95
      • 4.2.3. 문화어휘 목록 보완 방안 103
      • 4.3. 어휘 선정 과정의 실제 105
      • 4.3.1. 문화어휘 추출 106
      • 4.3.2. 문화어휘 분류 및 선정 107
      • 4.3.3. 문화어휘 목록 보완 111
      • 4.4. 주제별 어휘 선정의 결과 113
      • 5. 문화어휘의 교육적 활용 방안 139
      • 5.1. 문화어휘를 활용한 교수요목 구성 방안 139
      • 5.2.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안 151
      • 5.2.1. 교육 내용 구체화를 위한 원리 151
      • 5.2.2. 교육 내용 구체화의 예시 159
      • 5.3. 교육 방법론의 구체화 방안 168
      • 5.3.1. 내용 중심 언어 교수에 기반한 한국문화교육 168
      • 5.3.2. 교육 방법론 구체화의 실제 172
      • 6. 결론 181
      • 참고 문헌 185
      • 부록 199
      • ABSTRACT 2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