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리관련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식조리전공 만족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Which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 makes on a Choice of Career with High School Students Relevant to Coo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66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Korean young people are in agony of school work and future career according to the related survey. The fact that young people have trouble with decision-making such as choice of career shows that a choice of career is serious work and major interests with young people. Schools have not provid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the necessary information of future career to students.
      In particular, existing job technical high schools have become a prime mover for Korean rapid economic development for short periods by providing continuously manpower indispensable for maintenance of country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job technical high schools are required to be changed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ith a deepening avoidance of technical schools as an education for studies at a higher level has been raised by a respect of human knowledge spread generally over our society, a social ignorance of journeyman, a decease of children and a rise of financial income.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how superiority of Korean food, strategies for competition and infinite possibilities of Korean food to students by making them to recognize an accurate and upright values for individual work world, with seeing the influence which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in high school relevant to cooking makes on a choice of career.
      Literature study and demonstration study were carried out side by side in this study. For the literature study, the research into if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existing major study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oice of career had been conducted with the job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ee hypotheses were formed for this research. First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in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Second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ental conflicts for choice of career. Third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In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major study was relatively high with most of students. And they were undergoing mental conflicts for choice of career but not much sense of insecur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high schools to show an accurate vision of a Korean food cook and a way to go to work through the curriculum. The fact that the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 was a major factor to lower students' sense of in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and to raise their sense of security for decision of career was showed by hypotheses testing. But it would be premature for students to decide their careers with the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because they don't have any convic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ir major study yet.
      번역하기

      Most of Korean young people are in agony of school work and future career according to the related survey. The fact that young people have trouble with decision-making such as choice of career shows that a choice of career is serious work and major...

      Most of Korean young people are in agony of school work and future career according to the related survey. The fact that young people have trouble with decision-making such as choice of career shows that a choice of career is serious work and major interests with young people. Schools have not provid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the necessary information of future career to students.
      In particular, existing job technical high schools have become a prime mover for Korean rapid economic development for short periods by providing continuously manpower indispensable for maintenance of country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job technical high schools are required to be changed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ith a deepening avoidance of technical schools as an education for studies at a higher level has been raised by a respect of human knowledge spread generally over our society, a social ignorance of journeyman, a decease of children and a rise of financial income.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how superiority of Korean food, strategies for competition and infinite possibilities of Korean food to students by making them to recognize an accurate and upright values for individual work world, with seeing the influence which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in high school relevant to cooking makes on a choice of career.
      Literature study and demonstration study were carried out side by side in this study. For the literature study, the research into if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existing major study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oice of career had been conducted with the job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ee hypotheses were formed for this research. First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in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Second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ental conflicts for choice of career. Third hypothesis was that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study and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with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cooking woul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In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major study was relatively high with most of students. And they were undergoing mental conflicts for choice of career but not much sense of insecur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high schools to show an accurate vision of a Korean food cook and a way to go to work through the curriculum. The fact that the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 was a major factor to lower students' sense of insecurity for choice of career and to raise their sense of security for decision of career was showed by hypotheses testing. But it would be premature for students to decide their careers with the prospects of their major study because they don't have any convic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ir major study y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의 고민문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학업성적과 진로문제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직업선택 등 의사결정을 돕는 진로에 관한 문제라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진로라는 것이 큰 과제이며 관심사라는 것을 나타내준다. 학생들은 학교로부터 필요한 진로정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의 전문계 고등학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가의 유지 및 산업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계속해서 제공해주어 짧은 기간 동안에 급속한 경제발전을 하는데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러나 사회전반에 자리 잡고 있는 인문숭상과 기능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부족, 자녀수의 감소와 경제적 소득향상으로 진학위주의 교육이 더욱 고조되어 실업계 기피 현상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져 앞으로 전문계 고등학교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 관련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한식조리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전공에 대한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 학생들 개인별 직업세계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인식시켜 학생들에게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경쟁전략 및 한국음식의 무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실증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한식조리사의 진로결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1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불안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갈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3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안정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대부분이 전공과정에 대해서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감을 크게 겪고 있지는 않지만 아직까지 진로결정에 대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한식조리사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취업에 대한 길을 제시하여 주는 것이 교육과정에 중요한 과제라고 보여 진다.
      가설검증을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한식조리전공과정에 대해서 만족도는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진로를 선택하였을 때 매우 안정적인 결정이라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공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공에 대한 이해와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진로를 결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느끼는 것으로 보여 진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의 고민문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학업성적과 진로문제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직업선택 등 의사결정을 돕는 진로에 관한 문제라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의 고민문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학업성적과 진로문제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직업선택 등 의사결정을 돕는 진로에 관한 문제라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진로라는 것이 큰 과제이며 관심사라는 것을 나타내준다. 학생들은 학교로부터 필요한 진로정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의 전문계 고등학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가의 유지 및 산업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계속해서 제공해주어 짧은 기간 동안에 급속한 경제발전을 하는데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러나 사회전반에 자리 잡고 있는 인문숭상과 기능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부족, 자녀수의 감소와 경제적 소득향상으로 진학위주의 교육이 더욱 고조되어 실업계 기피 현상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져 앞으로 전문계 고등학교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 관련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한식조리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전공에 대한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 학생들 개인별 직업세계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인식시켜 학생들에게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경쟁전략 및 한국음식의 무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실증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한식조리사의 진로결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1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불안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갈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3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한식조리전공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결정의 안정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대부분이 전공과정에 대해서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감을 크게 겪고 있지는 않지만 아직까지 진로결정에 대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한식조리사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취업에 대한 길을 제시하여 주는 것이 교육과정에 중요한 과제라고 보여 진다.
      가설검증을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한식조리전공과정에 대해서 만족도는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진로를 선택하였을 때 매우 안정적인 결정이라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공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공에 대한 이해와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진로를 결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느끼는 것으로 보여 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 표 목차 ⅳ
      • 그림 목차 ⅴ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50
      • 목차 ⅰ
      • 표 목차 ⅳ
      • 그림 목차 ⅴ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50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1
      • 1. 문제의 제기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범위 와 연구의 방법 3
      • 1. 연구의 범위 3
      • 2. 연구의 방법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교과과정과 만족도의 이론적 배경 5
      • 1. 만족의 개념 5
      • 2. 만족도의 정의 6
      • 3. 교과과정 만족도의 개념 7
      • 4. 조리과 고등학교 교육의 특징 8
      • 제2절 세계 속의 우리나라 음식 9
      • 1. 한국의 전통음식 10
      • 2. 한국음식의 특성과 우수성 11
      • 3. 한국음식의 문화상품화 12
      • 4. 한국음식의 세계화 13
      • 5. 한국음식의 국제화 가능성과 성공사례 14
      • 6. 한국음식의 국제화방안 14
      • 7. 한류속의 음식문화 14
      • 8.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국음식 15
      • 제1절 진로결정 이론 16
      • 1. 진로결정의 개념 16
      • 2. 진로결정의 이론적 특성 17
      • 제3장 연구모형 28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8
      • 1. 연구모형 28
      • 2. 가설설정 28
      • 제2절 조사의 설계 29
      • 1. 자료의 수집 29
      • 2. 설문지의 구성 29
      • 제3절 분석방법 31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31
      • 2. 분석방법 32
      • 제4장 실증분석 33
      • 제1절 표본의 특성 33
      • 제2절 측정항목의 기술통계 33
      • 제3절 분석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35
      • 제4절 연구가설의 검증 39
      • 1. 연구가설1의 검증 39
      • 2. 연구가설2의 검증 40
      • 3. 연구가설3의 검증 40
      • 제5장 요약 및 결 론 42
      • 제1절 실증분석결과요약 42
      • 제2절 결 론 44
      • 참고문헌 47
      • Abstract 50
      • 설문지 53
      • 감사의 글 56
      • <표 목차>
      • <표 1> 가설설정의 내용 28
      • <표 2> 설문지의 구성 29
      • <표 3> 표본의 특성 33
      • <표 4> 측정항목의 기술통계분석결과 34
      • <표 5> 전공에 대한 만족도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결과 36
      • <표 6> 진로결정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결과 37
      • <표 7> 연구가설1의 검증결과 39
      • <표 8> 연구가설2의 검증결과 40
      • <표 9> 연구가설3의 검증결과 41
      • <표 10> 연구결과요약 44
      • <그림 목차>
      • <그림 1> 연구모형 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