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19세기 朝鮮性理學의 心學化 傾向에 대한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53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 조선 학술계의 핵심적 논객인 南塘 韓元震(1682~1751)은 「心純善論證」에서 그의 논적 巍巖 李柬(1677~1737)을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이간이 ‘심은...

      18세기 조선 학술계의 핵심적 논객인 南塘 韓元震(1682~1751)은 「心純善論證」에서 그의 논적 巍巖 李柬(1677~1737)을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이간이 ‘심은 순선하다[心純善]’라고 주장하였는데, ‘心純善論’이야말로 선불교의 宗旨이며 육왕학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리고 불교로부터 상산학이 되고 상산학이 양명학이 되었는데 이들은 ‘심’을 종주로 삼는다고 강조한다. 불교의 ‘卽心卽佛’과 양명의 ‘心卽理’와 이간의 ‘心純善’을 같은 레벨의 이론으로 간주하고, 이것은 ‘심은 기이고 성은 리이며, 리는 선하지만 기는 고르지 않아 청탁수박이 있다’는 유교[성리학]의 종지, 즉 ‘性=無不善, 心=有善惡’에 위배되는 학설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한원진의 비판이 정당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좀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栗谷-尤菴을 계승하여 정통 성리학파를 자처하는 老論 내부에, 적어도 한원진이 볼 때에,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레벨의 ‘心學的 傾向’이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16세기 중엽에서 17세기 초 조선학계에 심학적 경향의 흐름이 포착된다. 이 시기의 심학적 경향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理學과 대립된 의미의 심학이 아니라 조선 학계의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나타난 내향적 경향을 말한다. 퇴계도 심학이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그는 “밖으로 삼감을 다하는 것이 안을 함양하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공자 문하에서 심학을 말한 적이 없으나 심학이 그 가운데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엄밀한 의미에 ‘심학’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른 하나는 양명학의 유입에 의하여 촉발된 것이다. 이 시기 양명학을 辨斥하는 것이 주류였지만 趙翼(1579~1655), 李?光(1563~1628) 등 일부 학자들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토대로 일정 부분 양명학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이 발전하여 18세기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파[江華學派]가 형성된다.
      한원진과 그의 논적 이간은 기호학파의 정맥을 계승한 權尙夏(1641~1721)의 제자들이다. 그러므로 이간의 학설이 양명학을 수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주자학의 내향적 경향’이라고 한다면 한원진이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했다고 극단적으로 비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간의 학설은 조선성리학이 자생적ㆍ내재적으로 발전하여 반주자학적인 심학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아니면 한원진의 비판이 역으로 오류를 범한 것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간의 ‘심순선설’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심순선설’은 ‘理氣同實 心性一致’라는 이간의 중심 명제에서 도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 명제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리고 이 명제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왜냐하면 심과 성[리]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성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에 ‘심성일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心是氣’를 종지로 하는 기호학파에서 심이 성, 곧 리와 일치한다는 주장은 자체 모순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18세기 남당/외암 미발논변과 이후 호락논쟁에서 이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서 논의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간의 ‘심성일치’와 이 명제를 발전시킨 임성주의 ‘심성일치론’을 분석하여 ‘조선성리학의 심학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조선성리학의 심학화’라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유학사를 검토해 볼때에 주목되는 명제는 영남학파의 대표적 학자 가운데 하나인 李震相(1818~1851)의 ‘心卽理’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육왕학의 핵심적 명제이다. 그러나 이진상은 양명의 ‘심즉리’를 비판하고 이 명제의 근거를 주자학에 두고 있다. 그의 ‘심즉리’는 기호학파의 ‘심시기’에 대한 비판이론으로 정립된 것이지만 영남학파의 기본 이론인 ‘心合理氣’설과 충돌하여 학파 내부에서도 극심한 비판을 받았다. 그의 학설은 19세기말~20세기 초 ‘심설논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기호학파의 비판을 통하여 정밀하게 검토되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 검토하려는 ‘심성일치’와 ‘심즉리’라는 명제는 호락논쟁과 심설논쟁이라는 조선성리학의 대규모 학술논쟁에서 핵심적 쟁점으로 논의된 것이다. 우리는 이 두 명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유학사상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心具理’ ‘心與理一’ ‘心卽理’
      • 3. ‘心是氣’에서 ‘心性一致’로
      • 4. ‘心合理氣’에서 ‘心卽理’로
      • 〈국문초록〉
      • 1. 서론
      • 2. ‘心具理’ ‘心與理一’ ‘心卽理’
      • 3. ‘心是氣’에서 ‘心性一致’로
      • 4. ‘心合理氣’에서 ‘心卽理’로
      • 5. 결론
      • 참고문헌
      • 〈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2 "論語"

      3 "鹿門集"

      4 이형성,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 연구" 성균관대 2001

      5 금장태, "한국유학의 심설" 서울대출판부 2002

      6 小島毅, "주자학과 양명학" 동아시아 2004

      7 大濱浩, "주자의 철학" 예문서원 1997

      8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2003

      9 趙成山,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10 具萬玉,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1" 혜안 2004

      1 "栗谷全書"

      2 "論語"

      3 "鹿門集"

      4 이형성,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 연구" 성균관대 2001

      5 금장태, "한국유학의 심설" 서울대출판부 2002

      6 小島毅, "주자학과 양명학" 동아시아 2004

      7 大濱浩, "주자의 철학" 예문서원 1997

      8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2003

      9 趙成山,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10 具萬玉,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1" 혜안 2004

      11 김현, "조선후기 未發心論의 心學的 전개 - 종교성의 강화에 의한 조선 성리학의 이론 변화 -" 민족문화연구원 37 : 347-371, 2002

      12 최영진, "조선조 유학사상사의 양상" 성대출판부 2005

      13 김경호, "양명 심즉리에 대한 조선유학의 응전-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50) : 159-188, 2007

      14 "陶庵集"

      15 "退溪全書"

      16 "考訂朱子世家"

      17 "王陽明全書"

      18 陳來, "朱熹哲學硏究"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88

      19 "朱子語類"

      20 진래, "有無之境" 藝文書院 2004

      21 "延平答問"

      22 "巍巖遺稿"

      23 "宋子大全"

      24 "孟子集註"

      25 최영진, "南塘/巍巖 未發論辨의 再檢討 ― 退溪/高峯의 四端七情論爭과 對比하여 ―" 한국동양철학회 9 (9): 49-91, 2008

      26 "傳習錄"

      27 "二程遺書"

      28 이종우, "19ㆍ20세기 한국성리학의 심성논쟁" 심산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