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 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56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공연예술경영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 형태사항

        114 p.: 삽화, 표; 26 cm.

      • 일반주기명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남규
        참고문헌: p. 97-10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achievement

      Jaeincheong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ctivities of the clowns with the craft of Changak(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ong), Kiak(instrumental music), Mooak(dance music), Jaedam(witticism), Jultagi(funambulism) in the Joseon dynasty.
      Hwasungjaeincheong is a geographical environment as factor located in Suwon, Gyeonggi Province and was mobilized at various events held in the centr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dancers and characters of Hwasungjaeincheong derived from the above are in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performing art history. According to this, academic researches on the dances of Hwasungjaeincheong a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character of dance and the related person are mostly studied. However, Hwasungjaeincheong dance is a performing arts content in which the core factors of the performance itself and the factors that accompany viewing the work are complex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factor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content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viewer `s behavior structure after watching on Visitor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In this study, six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ing arts, and measured the universally valid and trustworthy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reflecting the three behaviors structure of the audi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k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82 audie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visitor's behavior structure, audience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are 150 male and 235 female total out of 382 audience were visited and was revealed that visitors of high age group with highly educated and consistent income visited the theater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only playfulness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Third, the audience satisfaction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Fourth, the intention of word of mouth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roved in this study were adopted with significant influence except playfulness. The rejection of playfulness may also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the performance planning professionals of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visitors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by recruiting professional performers who can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leading to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intention to re – visit).
      Seco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to select Hwasungjaeincheong dance as a municipal arts organization in the hardware of Suwon Hwaseong which is listed as UNESCO in Suwon city. It is to secure the publicness that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given importance of meaning and value.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a public character meaning that it has public benefit and the public is satisfied convenience through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to secur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which will lead to positiv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as well as audience satisfaction.

      Keywords : Hwasungjaeincheong, characteristics factor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immediacy, reliability, innovativeness, word-of-mouth intention, economic achievement
      번역하기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achievement Jaeincheong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ctivities of the clowns w...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achievement

      Jaeincheong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ctivities of the clowns with the craft of Changak(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ong), Kiak(instrumental music), Mooak(dance music), Jaedam(witticism), Jultagi(funambulism) in the Joseon dynasty.
      Hwasungjaeincheong is a geographical environment as factor located in Suwon, Gyeonggi Province and was mobilized at various events held in the centr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dancers and characters of Hwasungjaeincheong derived from the above are in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performing art history. According to this, academic researches on the dances of Hwasungjaeincheong a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character of dance and the related person are mostly studied. However, Hwasungjaeincheong dance is a performing arts content in which the core factors of the performance itself and the factors that accompany viewing the work are complex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factor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content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viewer `s behavior structure after watching on Visitor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In this study, six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ing arts, and measured the universally valid and trustworthy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reflecting the three behaviors structure of the audi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k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82 audie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visitor's behavior structure, audience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are 150 male and 235 female total out of 382 audience were visited and was revealed that visitors of high age group with highly educated and consistent income visited the theater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only playfulness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Third, the audience satisfaction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Fourth, the intention of word of mouth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roved in this study were adopted with significant influence except playfulness. The rejection of playfulness may also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the performance planning professionals of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visitors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by recruiting professional performers who can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leading to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intention to re – visit).
      Seco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to select Hwasungjaeincheong dance as a municipal arts organization in the hardware of Suwon Hwaseong which is listed as UNESCO in Suwon city. It is to secure the publicness that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given importance of meaning and value.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a public character meaning that it has public benefit and the public is satisfied convenience through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to secur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which will lead to positiv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as well as audience satisfaction.

      Keywords : Hwasungjaeincheong, characteristics factor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immediacy, reliability, innovativeness, word-of-mouth intention, economic achie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인청은 조선시대 창악·기악·무악·재담·줄타기 곡예 등의 기예를 가진 광대들의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했던 지리적 환경 요인으로 조선시대 중앙에서 개최되었던 여러 행사에 동원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화성재인청의 연희와 인물들은 공연예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성재인청 춤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성재인청 춤의 이론적 배경과 춤의 특성 및 관련 인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화성재인청 춤은 공연작품자체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요인들과 작품 관람에 따르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콘텐츠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특성요인을 추출하고 관람 후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연작품 관점에서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의 특성 요인 6가지를 추출하였고, 작품관람 관점에서 관람객의 행동 구조 3가지를 반영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보편 타당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관람객 382명을 대상으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으로서의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과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관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총 382명 중 남성이 150명, 여성이 235명으로 고학력이면서 소득이 일정한 높은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공연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 중 가격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은 관람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희성만이 관람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화성재인청 춤의 관람객 만족은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구전 의도는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검증한 화성재인청 춤 특성 요인 중 유희성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영향으로 채택이 되었다. 유희성의 기각은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연기획 전문인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연기획 전문인 영입으로 차별화 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기획 및 개발을 통해 관람객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구전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로 이어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공의 가치 및 예술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수원시가 유네스코로 등재된 수원 화성이라는 하드웨어 안에 화성재인청 춤 이라는 소프트웨어를 공공기관인 시립 예술 단체로 선정하는 정책적 대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화성재인청 춤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의 중요성을 부여하여 공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성을 갖는 다는 것은 공공적 편익을 갖는다는 의미로 편익은 화성재인청 춤을 통해서 대중들이 만족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의 가치와 예술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의 만족은 물론 긍정적인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제어 : 화성재인청, 특성 요인,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즉시성, 신뢰성, 혁신성, 관람객 만족, 구전 의도, 경제적 성과
      번역하기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인청은 조선시대 창악·기악·무악·재담·줄타기 곡예 등의 기예를 가진 광대들의 예능�...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인청은 조선시대 창악·기악·무악·재담·줄타기 곡예 등의 기예를 가진 광대들의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했던 지리적 환경 요인으로 조선시대 중앙에서 개최되었던 여러 행사에 동원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화성재인청의 연희와 인물들은 공연예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성재인청 춤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성재인청 춤의 이론적 배경과 춤의 특성 및 관련 인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화성재인청 춤은 공연작품자체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요인들과 작품 관람에 따르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콘텐츠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특성요인을 추출하고 관람 후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연작품 관점에서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의 특성 요인 6가지를 추출하였고, 작품관람 관점에서 관람객의 행동 구조 3가지를 반영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보편 타당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관람객 382명을 대상으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으로서의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과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관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총 382명 중 남성이 150명, 여성이 235명으로 고학력이면서 소득이 일정한 높은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공연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 중 가격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은 관람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희성만이 관람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화성재인청 춤의 관람객 만족은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구전 의도는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검증한 화성재인청 춤 특성 요인 중 유희성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영향으로 채택이 되었다. 유희성의 기각은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연기획 전문인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연기획 전문인 영입으로 차별화 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기획 및 개발을 통해 관람객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구전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로 이어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공의 가치 및 예술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수원시가 유네스코로 등재된 수원 화성이라는 하드웨어 안에 화성재인청 춤 이라는 소프트웨어를 공공기관인 시립 예술 단체로 선정하는 정책적 대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화성재인청 춤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의 중요성을 부여하여 공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성을 갖는 다는 것은 공공적 편익을 갖는다는 의미로 편익은 화성재인청 춤을 통해서 대중들이 만족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의 가치와 예술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의 만족은 물론 긍정적인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제어 : 화성재인청, 특성 요인,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즉시성, 신뢰성, 혁신성, 관람객 만족, 구전 의도, 경제적 성과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8
      • 1.3. 연구의 한계점 11
      • 1.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8
      • 1.3. 연구의 한계점 11
      • 2. 이론적 고찰 12
      • 2.1. 화성재인청 12
      • 2.2. 화성재인청 춤의 콘텐츠 특성 요인 33
      • 2.3. 화성재인청 춤 공연 관람객의 행동 구조 45
      • 2.4. 선행연구 검토 49
      • 3. 연구 방법 55
      • 3.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55
      • 3.2.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57
      • 3.3. 측정도구 57
      • 3.4. 자료분석 59
      • 4. 결과 및 논의 60
      • 4.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0
      • 4.2. 구성개념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62
      • 4.3. 변수간의 상관관계 75
      • 4.4. 가설검증 76
      • 4.5. 검증결과 논의 81
      • 5. 결론 및 제언 93
      • 5.1. 결론 93
      • 5.2. 제언 95
      • 참고문헌 97
      • 부록(설문지) 107
      • ABSTRACT 11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복련의, "null", 증언 :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 승무 살풀이춤 예능보유자, 2017

      2 박황, "창극사연구", 백록출판사, 백록출판사, 1976

      3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의 굿」",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1999

      4 태지호,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 동문선, 1991

      6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 한길사, 1995

      7 사진실, "『한국연극사연구", 태학사, 1997

      8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학연사, 2005

      9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2002

      10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1961

      1 김복련의, "null", 증언 :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 승무 살풀이춤 예능보유자, 2017

      2 박황, "창극사연구", 백록출판사, 백록출판사, 1976

      3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의 굿」",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1999

      4 태지호,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 동문선, 1991

      6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 한길사, 1995

      7 사진실, "『한국연극사연구", 태학사, 1997

      8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학연사, 2005

      9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2002

      10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1961

      11 김계수, "인과분석 연구방법론", 청람, 2007

      12 정주미, "“이동안 춤세계 연구”",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박인배, 채치성, "전통공연의 관객과 눈 맞추기",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한국전통공연예술학 회」, 2, 2013

      14 전경욱,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 문화", 도서출판 월인, 2007

      15 전경욱, "『화성재인청의 역사와 위상』", 화성재인청 재조명, 수원문화재단, 2017

      16 서희진, "스포츠 수용자의 소비행동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17 심우성, "소중한 민속예술인과의 만남", 도서출판 우리마당, 2011

      18 김임영, "“화성재인청류 승무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6

      19 신현숙,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살풀이춤』", 경기문화재단, 2008

      20 신현숙, "“화성재인청류 승무의 구조적 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3

      21 신현숙,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 제32권, 2014

      22 정함문, "“孔子의 孝사상 연구 : 論語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한선연, "“구전이 관객의 공연 구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4 허용호, "『재인청』,『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9

      25 조은아, "“교향악단의 서비스품질측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노정환, "“해외 태권도시범공연의 경쟁력 요인탐색”",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6

      27 김영태(Kim, Young-Tae), 김미리(Kim, Mee-Rhee),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대한회계학회, 「회계 연구학회지」, Vol.21, No.1, 2016

      28 김지수, "“공연예술의 관객개발을 위한 마케팅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2

      29 김태연, "“미디어 광고를 통한 무용공연 홍보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배병렬, "『LISREL구조방정식모델 –이해활용 프로그램』", 청람, 2006

      31 강봉희, "“마케팅자극이 충동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 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2012

      32 허영호, "『재인자치조직의 역사와 재인청예술의 형성』", 수원문화재단, 2017

      33 정옥조, "「무용 공연의 관람환경과 고객애호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4 류설아, "‘송악 김복련과 제자들의 춤판, 15일 펼쳐진다’", 경기일보 기사, 2016

      35 장수정, "“무용공연의 효율적 기획을 위한 마케팅 전략”",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6 송시연, "‘신명나는 우리가락, 봄바람타고 세계로 얼쑤~’", 경기일보 기사, 2016.5.1., 2016

      37 안대회, "『18ㆍ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제33권 제4호,『정신문화연 구』, 2010

      38 김홍설, 김상두, "프로스포츠 관람 정도가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 국체육학회지」, 40(1), 2001

      39 채재성, "“스포츠동호인 활동의 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40 강미선, 심우갑, "“공연장의 로비 및 외부공간의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학술발행표논문집」 제9권 제1호, 1989

      41 문영주, 이종호, 손앙, "“모바일 블로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012

      42 강지혜, "“화성재인청 이동안류 엇중모리 신칼대신무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3 한윤희, "“무용의 무대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연구”", 용인대학교, 「용인대학 교 논문집」, 25, 2007

      44 류설아, "‘가무악으로 풀어보는 화성재인청–정조대왕의 효’", 경기신문 기 사, 2006

      45 조선하, "“무용 공연예술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객 유입 전략”", 목포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6 임학선, "“화성재인청류의 춤 특성 연구 : 이동안을 중심으로”", 「한국무 용연구회」, 제19호, 2001

      47 노동은, "『재인청의 조직과 전개』,『재인청의 역사를 찾아서』",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도당굿보존회, 1991

      48 채성희, "“퍼포먼스(Performance) 예술의 매체별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 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9 박승영, "“관광자 만족에 다른 관광서비스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관광 시스템품질경영학회」 ,61(1), 2000

      50 국승희, "“무용공연관람객의 공연선택 및 관람 후 행동모형분석”",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 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1 이영준, "“개신교문화원형 <김점동>의 공연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2 노은희, "“소극장 뮤지컬 마케팅연구 :마케팅 믹스 7P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3 오윤정, "“무용 공연시 관객동원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단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4 이지연,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현대춤의 가능성과 발전방안 탐색”", 세종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5 김설희, "“공연예술경영분야의 연구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중 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6 조진화, "“무용공연 선택요인에 따른 관람만족 및 재관람 의사의관계”", 대한무용학회,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7 이경희, "“축제의 서비스품질 평가분석 : 대전한밭문화제를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학회」, 2003

      58 안정훈, "“무용공연 활성화 촉진을 위한 전략과 관객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9 박승희, "“무용공연의 관람동기, 관람만족도, 재관람의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0 이병일, "지방자치단체 공연문화시설 운영성과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 구", 한국지방정부학회,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1 고희경,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공연예술 소비자의 정보 탐색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62 최재연, "“한국무용공연시장에서의 효율적인 마켓팅 전략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3 김창호, "『온라인 구전정보와 웹사이트 특성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e-비즈니스 연구, 제7권 5호, 2006

      64 김고운, "“경기도당굿 유형이 화성재인청 이동안류 춤 형성에 미친 영 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5 황순학, "“오페라 공연예술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객유형분석과 유 입전략”",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6 김현정, "“공연예술 관람객의 소비성향분석을 통한 무용공연 관객유치전 략”",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7 이민영, "“온라인 구전이 공연예술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8 신봉희, "“한국무용의 대중적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기초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69 박성휘, "“온라인 구전정보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0 서애승, "공연예술에 있어서 소비자 행동성향과 관람가치가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1 신현숙, "“민속춤에 내재된 정신세계에 관한 연구:화성재인청류 승무를 중 심으로”", 「비교민속학과」, 2017

      72 김인숙, "“공연예술관객의 충성도를 위한 활성화 요인분석:경기도지역을중 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3 박은영, "“무용공연관람객의 마켓팅믹스와 관여도, 관람만족, 추천의도의 관계분석”",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4 한진희, "“무용공연장의 서비스품질에 따른 관람객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 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5 정제윤, "공연예술서비스의 고객만족과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6 서휘석, 이동기,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구성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논법 12(3), 2000

      77 김우철, 이유재,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업종 간 비교”", 「마케팅 연구」 제13권 제1호, 1998

      78 정성숙, "“재인계통 춤의 특징과 무용사적 가치연구 : 한성준ㆍ이동안ㆍ김숙자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9 이예지, "“공연영상콘텐츠의 특성요인이 이용자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0 김석균, "“영화평가가 고객 만족도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인터넷 동호회 고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1 김병도, 심범준, 배정호, "“온라인 구전과 영화 매출 간 상호영향에 관한 연 구 : 한국 영화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한국마켓팅저널」, 12(2), 2010

      82 한승연, "“콜라보레이션 무용공연에 대한 관람욕구, 공연만족, 행 동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무용연구학회,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3 이연주, "“무용공연환경에 따른 공연 이용 만족도가 관람만족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4 김소영, "“ 무용공연관람객의 공연선택요인에 따른 관람몰입, 만족 도, 재관람 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85 김경선, "“뮤지컬공연에서 마켓팅믹스와 관람욕구가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6 이학식, 임지훈, "『CRM이 기업의 행동성과에 미치는 영향:고객의 지각된 관계적 편익과 관계몰입의 매개적 역할』", 한국연구재단(NRF)연구 성과물, 2007

      87 신계화, "“공공 공연장 CEO의 리더쉽과 사회적 책임, 사회적 자본이 품질 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88 윤유정, "“국악공연의 마켓팅믹스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9 박은하, "“공연예술 고객경험가치가 관계품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감정과 액션플로우의 매개역할”", 세종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