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창의적 학습 환경에 대한 지각이 무용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창의성 동기와창의적 프로세스 참여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창의적 학습 환경에 대한 지각이 무용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창의성 동기와창의적 프로세스 참여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창의적 학습 환경에 대한 지각이 무용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창의성 동기와창의적 프로세스 참여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총 414명의 무용학과 대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남학생 54명, 여학생 360명),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결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창의성 동기와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창의성 동기는 창의적 학습 환경 지각과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대학생들의창의적 프로세스 참여는 창의적 학습 환경 지각과 무용 창의성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대학생들의창의적 프로세스 참여는 창의성 동기와 무용 창의성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대학생들의 창의성동기와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는 창의적 학습환경 지각과 무용 창의성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결론 이들 결과는 창의성이 요구되는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창의적 성취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용시간에 대학생들의 창의성을지지하는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창의성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모든 학습과정에 창의적으로 적극 참여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on dance creativity and whether creativi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medi ate the relationship b...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on dance creativity and whether creativi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medi 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s A total of 414 dance majors responded to the survey (54 males and 360 females), and the data were ana 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creativity motivation positively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 ceived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Second, college students' creative proc ess engagement positivel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perceptions and dance creativity. Third,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positivel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motivation and dance creativity. Fourth, college students' creativi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statically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reative learn ing environment and dance creativity.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create a learning at mosphere that supports creativity, motivate creativity, and actively engage students in all learning processes in dance in order to promote creative achievement in dance majors who require creativity.
음악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실천적 연계 방안 연구
대학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유연성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고도화: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생중심교육의 진화와 변이: 학생 주체성 담론의 특성 탐색을 위한 역사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