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stylistic coexistence in the ‘Kasa-style version’ of The Nine Cloud Dream from the perspective of diglossia. The style of the Kasa-style version shows a mixture of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stylistic coexistence in the ‘Kasa-style version’ of The Nine Cloud Dream from the perspective of diglossia. The style of the Kasa-style version shows a mixture of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stylistic coexistence in the ‘Kasa-style version’ of The Nine Cloud Dream from the perspective of diglossia. The style of the Kasa-style version shows a mixture of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n’t thoroughly examined about the tendency of this stylistic mixture as well as the correlation of the narrative consciousness of the ‘literary Chinese version’ which became the original script of Kasa-style version. In this regard, this thesis revealed that the literary Chinese version which became the original script of the Kasa-style version is the line of the Eulsa version series, and tried to identify the tendency of the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mixed in the inserted text, utterances of the characters and narrato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writer of the Kasa-style version had an greater consciousness of the use of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compared to the other versions of The Nine Cloud Dream circulated at the same time. The Hangeul-style was chosen to adequately describe the character’s emotions or narrative situation, or the literary Chinese-style was chosen so that the character’s utterances match the character’s personality or world of work. This rewriting aspect is recognized within the context of accepting The Nine Cloud Dream, which sought to fi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Nine Cloud Dream in the joy and beauty of life that Yang Soyu and eight wives had enjoyed. It is believed that the thematic consciousness was heavily emphasized by the rewriter of the Kasa-style using both Hangeul-style and literary Chinese-style properly.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구운몽>의 ‘가사체 이본’에 나타난 문체적 혼재 양상을 양층언어현상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가사체 이본의 문체는 ‘한글투’와 ‘한문투’가 혼재되는 양상을 보이는...
이 글은 <구운몽>의 ‘가사체 이본’에 나타난 문체적 혼재 양상을 양층언어현상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가사체 이본의 문체는 ‘한글투’와 ‘한문투’가 혼재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체적 혼재가 어떠한 경향성을 지니며, 이것이 가사체 이본의 저본이 된 ‘한문본’의 서술의식과 어떠한 상관성을 지니는지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가사체 이본의 저본이 된 한문본이 을사본 계열임을 밝히고, 이를 중심으로 가사체 이본의 삽입문은 물론, 인물과 서술자의 발화 안에 혼재된 한글투와 한문투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사체 이본의 개작자는 비슷한 시기에 유통된 다른 <구운몽> 이본에 비해 한글투와 한문투의 활용에 적극적인 의식을 지닌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물의 정서나 서사적 상황을 적실히 묘사하기 위해 한글투를 택하거나, 인물의 발화가 인물의 성격이나 작품 세계와 어울리도록 한문투를 택한 것이다. 이러한 개작 양상은 <구운몽>의 주제의식을 양소유와 팔부인이 보여주는 삶의 즐거움이나 아름다움 등에서 찾고자 했던 <구운몽> 수용의 맥락 안에서 이해되며, 가사체 이본의 개작자는 한글투와 한문투를 적절히 활용해 이 같은 주제의식을 더욱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태웅, "金光淳本 <구운몽>을 통해 본 ‘<구운몽> 판소리 계열 異本群’ 成立 可能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9 (49): 135-160, 2021
2 최호석,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 보고사 2017
3 정병설, "주제 파악의 방법과 『구운몽』의 주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315-337, 2013
4 정병설, "조선시대 한문과 한글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一考 - 心身寓言의 비교를 통하여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3-20, 2009
5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회 (104) : 179-208, 2007
6 이익석,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7 엄태웅, "대중들과 만난 구운몽" 소명출판 2018
8 김진세, "낙선재본 소설의 특성" 정신문화연구원 44 : 1991
9 김광순,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9" 경인문화사 435-600, 2004
10 김광순,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67" 박이정출판사 259-364, 2004
1 엄태웅, "金光淳本 <구운몽>을 통해 본 ‘<구운몽> 판소리 계열 異本群’ 成立 可能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9 (49): 135-160, 2021
2 최호석,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 보고사 2017
3 정병설, "주제 파악의 방법과 『구운몽』의 주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315-337, 2013
4 정병설, "조선시대 한문과 한글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一考 - 心身寓言의 비교를 통하여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3-20, 2009
5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회 (104) : 179-208, 2007
6 이익석,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7 엄태웅, "대중들과 만난 구운몽" 소명출판 2018
8 김진세, "낙선재본 소설의 특성" 정신문화연구원 44 : 1991
9 김광순,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9" 경인문화사 435-600, 2004
10 김광순,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67" 박이정출판사 259-364, 2004
11 엄태웅,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 소재 <구운몽>에 대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2 : 439-522, 2020
12 이윤석,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 재론" 국학연구원 (190) : 357-393, 2020
13 정병설, "구운몽" 문학동네 2013
14 경일남,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양상과 수용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50 (50): 5-28, 2014
15 한국어문학회, "고전소설선" 형설출판사 239-282, 1975
16 서인석, "고전산문교육의 이론" 집문당 2002
17 서인석, "가사와 소설의 갈래 교섭에 대한 연구 : 소설사적 관심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8 "演訂 九雲夢(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19 "新飜 九雲夢(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0 "九雲曲"
21 "九雲夢, 규장각 소장본"
22 "九雲夢(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
23 "九雲夢"
24 정길수, "『구운몽』 原典 연구사" 인문학연구원 (55) : 163-190, 2018
25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998
26 서인석, "<구운몽>의 문체적 변주: 김광순본 <구운몽>의 경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 : 2003
27 서인석, "<구운몽> 후기 이본의 문체 변이와 그 의미 : 가사체 이본의 경우"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992
28 정규복, "<구운몽> 자료 집성 2: 방각본 을사본・방각본 계해본" 보고사 6-342, 2010
29 정규복, "<구운몽> 원전의 연구" 보고사 2010
30 안창수, "<구운몽> 연구" 영남대학교 1989
31 정규복, "<구운몽> 연구" 보고사 2010
존재(存齋) 박윤묵(朴允默) 한시 연구 -정조의 문치와 19세기 여항문학의 흥기-
『동호문답』을 통해 본 율곡의 대동(大同)과 소강(少康)의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2-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es -> Academia Koreana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1 | 1.133 | 0.03 |
Chris Styles: Applications Engineer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Glass Blowing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works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s Out of Control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 Walking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