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재목, "立齋 鄭宗魯의 생애, 성리사상, 문제의식" 동방한문학회 25 : 43-80, 2003
2 李世東, "立齋 鄭宗魯의 經學과 經學觀" 동방한문학회 25 : 81-108, 2003
3 "청대집(淸臺集), 한국문집총간"
4 "청대일기(淸臺日記)"
5 우인수, "조선후기 상주 존애원의 설립과 의료 기능" 대구사학회 104 : 99-132, 2011
6 송석현, "조선시대 상주지역 서원의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81) : 125-162, 2022
7 "제암집(制庵集), 한국문집총간"
8 "입재집(立齋集), 한국문집총간"
9 우인수, "입재 정종로의 영남남인 학계내의 위상과 그의 현실대응" 25 : 2003
10 김명자, "임진왜란 이후 柳成龍과그의 문인들의 의료 활동과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0) : 107-134, 2018
1 최재목, "立齋 鄭宗魯의 생애, 성리사상, 문제의식" 동방한문학회 25 : 43-80, 2003
2 李世東, "立齋 鄭宗魯의 經學과 經學觀" 동방한문학회 25 : 81-108, 2003
3 "청대집(淸臺集), 한국문집총간"
4 "청대일기(淸臺日記)"
5 우인수, "조선후기 상주 존애원의 설립과 의료 기능" 대구사학회 104 : 99-132, 2011
6 송석현, "조선시대 상주지역 서원의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81) : 125-162, 2022
7 "제암집(制庵集), 한국문집총간"
8 "입재집(立齋集), 한국문집총간"
9 우인수, "입재 정종로의 영남남인 학계내의 위상과 그의 현실대응" 25 : 2003
10 김명자, "임진왜란 이후 柳成龍과그의 문인들의 의료 활동과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0) : 107-134, 2018
11 김형수, "임란직후 상주 지역질서의 재편과 존애원存愛院" 한국국학진흥원 (30) : 451-484, 2016
12 최은주, "월간 이전‧창석 이준 형제의 전쟁체험과 애민정신, 그리고 존애원" 한국국학진흥원 (30) : 485-516, 2016
13 채광수, "우복학단의 성격과 계보학적 갈래" 10 : 2020
14 "우복집(愚伏集), 한국문집총간"
15 도남서원, "심원록"
16 채광수,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상주 道南書院의 詩會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2) : 7-48, 2021
17 "백하집(白下集), 한국문집총간"
18 "모당일기(慕堂日記)"
19 "도남서원강학계안"
20 김학수, "鄭經世․李埈의 穌齋觀-鄭經世의 비판적 흡수론과 李埈의 계승적 변호론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71) : 111-159, 2019
21 이수환,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민족문화연구소 (62) : 67-101, 2016
22 송석현,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도남서원의 운영과 상주 사족의 동향" 조선시대사학회 (79) : 483-515, 2016
23 김형수, "17세기 초 西厓學團과 상주지역 사회의 재건" 민족문화연구원 (69) : 351-380, 2015
24 정호훈, "17세기 전반 류성룡 후학의 활동과 학문 세계: 정경세・이준" 55 : 2014
25 송석현, "17세기 상주지역 사족의 동향" 영남문화연구원 (27) : 321-367, 2015
26 김학수,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27 유기선, "17~18세기 상주향교의 청금유생" 5 : 2017
28 박소희, "17~18세기 상주지역 남인・노론계 서원의 인적구성 분석 -도남・흥암서원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89-124, 2022
29 이병훈, "16~18세기 문경 近嵒書院의 변천-조선후기 서원 변천의 한 사례-" 영남문화연구원 (71) : 191-217,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