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남서원(道南書院)의 강회(講會)와 강학(講學) = Ganghoi[講會] and the Pursuit of Study[講學] at the Donam Seowon[道南書院]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6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onam Seowon was founded by the Nakdong River under the patronage of the Sangjumoksa and Gyeongsanggamsa as Jeong Gyeong-se took the initiative and gathered opinions from the local nobility in 1605. This was the first Seowon of Sangju, which means that it is an important place to determine the study atmosphere of the Sangju area.
      Jeong Gyeong-se led the Donam Seowon project. Believing that there were greater effects when people studied together, he wanted to build a Seowon for study purposes. He also believed that a Seowon should be founded by the local nobility to discus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providing resource support. Built for this purpose, a Seowon would be a place of gathering and study by local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This is how the Donam Seowon was established.
      However, since its foundation, the Donam Seowon made diverse changes according to the academic atmosphere of the time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100 years after its foundation, the Seowon underwent changes to its study direction and management style. Gwon Sang-il took the lead in these changes. He passed the state exam in 1710 and served in the government before becoming the director of the Donam Seowon in 1723. During his leadership, Seowon faced one of its biggest changes, which was the application of internal regulations of the Isan Seowon. According to the rules, a Seowon should have resident Confucian scholars whose main duties were to promote reading and give lessons about Ui-ri and were forbidden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 on the job. Seowons even banned essay contests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 Gwon believed that Seowons should be a research institute to pursue academics, and criticized that the study atmosphere of Sangju was rather distant from his ideal in those days.
      The Donam Seowon regained its vitality thanks to the effects of the willing director, but it lost its vitality once again. One of the main reasons might have been the restriction of study for the state exam. The financial burden of keeping resident Confucian scholars would have been huge as well. It was Jeong Jong-ro that went back to this atmosphere, resumed study meetings, and created a mood for constant study at the Donam Seow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Jeong emphasized the pursuit of study at the Seowon and prepared a set of rules. He organized a Ganghoi at the Myeon level and made a list of questions for superior students so that they would discuss and contemplate for themselves. Such questions were sent to the Donam Seowon and used at discussions during Hoigang. Jeong Jong-ro believed that a Seowon should promote active pursuit of study to fulfill its original purpose, and it was in line with Jeong Gyeong-se's fundamental problematic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he Seowon's foundation.
      번역하기

      The Donam Seowon was founded by the Nakdong River under the patronage of the Sangjumoksa and Gyeongsanggamsa as Jeong Gyeong-se took the initiative and gathered opinions from the local nobility in 1605. This was the first Seowon of Sangju, which means...

      The Donam Seowon was founded by the Nakdong River under the patronage of the Sangjumoksa and Gyeongsanggamsa as Jeong Gyeong-se took the initiative and gathered opinions from the local nobility in 1605. This was the first Seowon of Sangju, which means that it is an important place to determine the study atmosphere of the Sangju area.
      Jeong Gyeong-se led the Donam Seowon project. Believing that there were greater effects when people studied together, he wanted to build a Seowon for study purposes. He also believed that a Seowon should be founded by the local nobility to discus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providing resource support. Built for this purpose, a Seowon would be a place of gathering and study by local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This is how the Donam Seowon was established.
      However, since its foundation, the Donam Seowon made diverse changes according to the academic atmosphere of the time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100 years after its foundation, the Seowon underwent changes to its study direction and management style. Gwon Sang-il took the lead in these changes. He passed the state exam in 1710 and served in the government before becoming the director of the Donam Seowon in 1723. During his leadership, Seowon faced one of its biggest changes, which was the application of internal regulations of the Isan Seowon. According to the rules, a Seowon should have resident Confucian scholars whose main duties were to promote reading and give lessons about Ui-ri and were forbidden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 on the job. Seowons even banned essay contests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 Gwon believed that Seowons should be a research institute to pursue academics, and criticized that the study atmosphere of Sangju was rather distant from his ideal in those days.
      The Donam Seowon regained its vitality thanks to the effects of the willing director, but it lost its vitality once again. One of the main reasons might have been the restriction of study for the state exam. The financial burden of keeping resident Confucian scholars would have been huge as well. It was Jeong Jong-ro that went back to this atmosphere, resumed study meetings, and created a mood for constant study at the Donam Seow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Jeong emphasized the pursuit of study at the Seowon and prepared a set of rules. He organized a Ganghoi at the Myeon level and made a list of questions for superior students so that they would discuss and contemplate for themselves. Such questions were sent to the Donam Seowon and used at discussions during Hoigang. Jeong Jong-ro believed that a Seowon should promote active pursuit of study to fulfill its original purpose, and it was in line with Jeong Gyeong-se's fundamental problematic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he Seowon's found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남서원(道南書院)은 1605년 정경세(鄭經世)가 주도하여 지역 사대부들의 의견을 모으고, 상주목사와 경상감사의 지원을 받아서 낙동강 가에 설립되었다. 상주에 생긴 최초의 서원이고, 으뜸 서원이다. 그러므로 도남서원은 상주지역에서 학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남서원의 설립을 주도한 것은 정경세였다. 공부는 여럿이 모여 함께 할 때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서원을 설립하여 공부하자고 하였다. 정경세는 서원은 지역 사대부가 논의를 일으키고, 지방관이 자원을 지원해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렇게 만든 도남서원에서 상주 사대부들과 지방관은 함께 공부하였다.
      이후 도남서원은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서원이 설립되고 100여 년이 지난 18세기 전반 변화를 주도한 것은 권상일(權相一)이었다. 권상일은 1710년 과거에 합격하고 관직에 있다가, 1723년 도남서원 원장이 되었다. 이 시기의 가장 큰 변화는 이산서원(伊山書院)의 원규(院規)를 도남서원에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서원은 거재유생(居齋儒生)을 유지하고, 거재유생은 강독하고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주로 하며, 거재하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해서는 안 되었다. 심지어 서원에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백일장을 개설하는 것도 금지하였다. 대신 거재유생과 별도로 응강(應講)과 제술(製述)유생을 두어 원생의 역할을 세분화 하였다. 거재유생은 서원의 본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응강과 제술유생은 현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권상일은 서원이 순수학문 연구기관이 되기를 바랐다.
      도남서원의 강학은 약화되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 과거공부를 제한한 것도 중요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또 거재유생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역시 적지 않은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이런 분위기를 돌려 다시 강회를 열고, 상시로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은 정종로(鄭宗魯)이다. 19세기 전반 정종로는 서원에서 강학을 강조하였고, 규칙을 마련하였다. 각 면(面)을 단위로 강회(講會)를 조직하고, 우수한 학생을 중심으로 문목(問目)을 작성하여 스스로 논의하고 고민하도록 하였다. 이 문목은 도남서원으로 보내서 회강(會講)할 때 함께 논의하도록 하였다. 정종로는 강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서원을 세운 본래 목적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정경세가 서원을 설립할 때 가졌던 근본적인 지향과 닿아 있었다.
      번역하기

      도남서원(道南書院)은 1605년 정경세(鄭經世)가 주도하여 지역 사대부들의 의견을 모으고, 상주목사와 경상감사의 지원을 받아서 낙동강 가에 설립되었다. 상주에 생긴 최초의 서원이고, 으...

      도남서원(道南書院)은 1605년 정경세(鄭經世)가 주도하여 지역 사대부들의 의견을 모으고, 상주목사와 경상감사의 지원을 받아서 낙동강 가에 설립되었다. 상주에 생긴 최초의 서원이고, 으뜸 서원이다. 그러므로 도남서원은 상주지역에서 학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남서원의 설립을 주도한 것은 정경세였다. 공부는 여럿이 모여 함께 할 때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서원을 설립하여 공부하자고 하였다. 정경세는 서원은 지역 사대부가 논의를 일으키고, 지방관이 자원을 지원해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렇게 만든 도남서원에서 상주 사대부들과 지방관은 함께 공부하였다.
      이후 도남서원은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서원이 설립되고 100여 년이 지난 18세기 전반 변화를 주도한 것은 권상일(權相一)이었다. 권상일은 1710년 과거에 합격하고 관직에 있다가, 1723년 도남서원 원장이 되었다. 이 시기의 가장 큰 변화는 이산서원(伊山書院)의 원규(院規)를 도남서원에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서원은 거재유생(居齋儒生)을 유지하고, 거재유생은 강독하고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주로 하며, 거재하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해서는 안 되었다. 심지어 서원에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백일장을 개설하는 것도 금지하였다. 대신 거재유생과 별도로 응강(應講)과 제술(製述)유생을 두어 원생의 역할을 세분화 하였다. 거재유생은 서원의 본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응강과 제술유생은 현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권상일은 서원이 순수학문 연구기관이 되기를 바랐다.
      도남서원의 강학은 약화되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 과거공부를 제한한 것도 중요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또 거재유생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역시 적지 않은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이런 분위기를 돌려 다시 강회를 열고, 상시로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은 정종로(鄭宗魯)이다. 19세기 전반 정종로는 서원에서 강학을 강조하였고, 규칙을 마련하였다. 각 면(面)을 단위로 강회(講會)를 조직하고, 우수한 학생을 중심으로 문목(問目)을 작성하여 스스로 논의하고 고민하도록 하였다. 이 문목은 도남서원으로 보내서 회강(會講)할 때 함께 논의하도록 하였다. 정종로는 강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서원을 세운 본래 목적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정경세가 서원을 설립할 때 가졌던 근본적인 지향과 닿아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목, "立齋 鄭宗魯의 생애, 성리사상, 문제의식" 동방한문학회 25 : 43-80, 2003

      2 李世東, "立齋 鄭宗魯의 經學과 經學觀" 동방한문학회 25 : 81-108, 2003

      3 "청대집(淸臺集), 한국문집총간"

      4 "청대일기(淸臺日記)"

      5 우인수, "조선후기 상주 존애원의 설립과 의료 기능" 대구사학회 104 : 99-132, 2011

      6 송석현, "조선시대 상주지역 서원의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81) : 125-162, 2022

      7 "제암집(制庵集), 한국문집총간"

      8 "입재집(立齋集), 한국문집총간"

      9 우인수, "입재 정종로의 영남남인 학계내의 위상과 그의 현실대응" 25 : 2003

      10 김명자, "임진왜란 이후 柳成龍과그의 문인들의 의료 활동과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0) : 107-134, 2018

      1 최재목, "立齋 鄭宗魯의 생애, 성리사상, 문제의식" 동방한문학회 25 : 43-80, 2003

      2 李世東, "立齋 鄭宗魯의 經學과 經學觀" 동방한문학회 25 : 81-108, 2003

      3 "청대집(淸臺集), 한국문집총간"

      4 "청대일기(淸臺日記)"

      5 우인수, "조선후기 상주 존애원의 설립과 의료 기능" 대구사학회 104 : 99-132, 2011

      6 송석현, "조선시대 상주지역 서원의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81) : 125-162, 2022

      7 "제암집(制庵集), 한국문집총간"

      8 "입재집(立齋集), 한국문집총간"

      9 우인수, "입재 정종로의 영남남인 학계내의 위상과 그의 현실대응" 25 : 2003

      10 김명자, "임진왜란 이후 柳成龍과그의 문인들의 의료 활동과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0) : 107-134, 2018

      11 김형수, "임란직후 상주 지역질서의 재편과 존애원存愛院" 한국국학진흥원 (30) : 451-484, 2016

      12 최은주, "월간 이전‧창석 이준 형제의 전쟁체험과 애민정신, 그리고 존애원" 한국국학진흥원 (30) : 485-516, 2016

      13 채광수, "우복학단의 성격과 계보학적 갈래" 10 : 2020

      14 "우복집(愚伏集), 한국문집총간"

      15 도남서원, "심원록"

      16 채광수,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상주 道南書院의 詩會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2) : 7-48, 2021

      17 "백하집(白下集), 한국문집총간"

      18 "모당일기(慕堂日記)"

      19 "도남서원강학계안"

      20 김학수, "鄭經世․李埈의 穌齋觀-鄭經世의 비판적 흡수론과 李埈의 계승적 변호론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71) : 111-159, 2019

      21 이수환,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민족문화연구소 (62) : 67-101, 2016

      22 송석현,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도남서원의 운영과 상주 사족의 동향" 조선시대사학회 (79) : 483-515, 2016

      23 김형수, "17세기 초 西厓學團과 상주지역 사회의 재건" 민족문화연구원 (69) : 351-380, 2015

      24 정호훈, "17세기 전반 류성룡 후학의 활동과 학문 세계: 정경세・이준" 55 : 2014

      25 송석현, "17세기 상주지역 사족의 동향" 영남문화연구원 (27) : 321-367, 2015

      26 김학수,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27 유기선, "17~18세기 상주향교의 청금유생" 5 : 2017

      28 박소희, "17~18세기 상주지역 남인・노론계 서원의 인적구성 분석 -도남・흥암서원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89-124, 2022

      29 이병훈, "16~18세기 문경 近嵒書院의 변천-조선후기 서원 변천의 한 사례-" 영남문화연구원 (71) : 191-21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